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종원
한자명
李宗遠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4 ~ 1940
본적
경기도 시흥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3.28밤 경기도(京畿道) 시흥군(始興郡) 서면(西面) 소하리(所下里) 독립만세시위에서 아들 이정석(李貞石)이 노온사리(老溫寺里) 경찰주재소(警察住在所)에 구금(拘禁)되어 있다는 말을 듣고 아들을 탈환(奪還)하기 위하여 리민(里民)시위자(者) 200여명과 함께 주재소 앞으로 몰려가서 함성을 울리고 게시판과 벽체(壁體)를 파괴(破壞)하며 활동하다 피체(被逮)되어 벌금(罰金) 30원(圓)을 받았으나 8월 2일간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종윤
한자명
李鍾淪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4 ~ 미상
본적
함경남도 이원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3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함남(咸南) 이원군(利原郡)에서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종윤
한자명
李鍾潤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78 ~ 미상
본적
함경북도 명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4년

공적개요

1919년 중국(中國) 길림(吉林)에서 대한의군부(大韓義軍府) 경위분국장(警衛分局長)으로 군자금을 모집하고 1920년 4월 서상덕(徐相德) 9명을 처단하다 체포되어 사형(死刑)을 선고 받고 재감 중 1924년 무기(無期) 징역으로 감형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종인
한자명
李宗仁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13 ~ 1947
본적
경상남도 하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하순(下旬) 경남 하동지구(慶南下東地區) 3.1 운동사건 주동자(運動事件主動者)로 1919. 5. 16 부산지법 진주지청(釜山地法晋州支廳)에서 2년 6개월 형(個月刑)을 받았으며 지역(地域)에서 사건(事件)을 주동(主動)한 사실이 확인됨.

이종인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종일
한자명
李鍾一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58 ~ 1925
본적
충청남도 태안
포상훈격
대통령장
포상년도
1962년

공적개요

1. 한말(韓末) 중추원 의관(中樞院議官) 학원신문사장 국문연구회장등으로 활약하고 2. 기미독립운동(己未獨立運動) 33인 중의 1인으로 3년 징역형을 받았고 1925년 7월 13일 별세하였음

인물정보

성명
이종주
한자명
李鍾柱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0 ~ 1968
본적
함경남도 안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중국(中國) 하남성(河南省) 육군교도(陸軍敎導)에 입단 6개월 졸업 준위(准尉)에 임명 2. 1925 중국 하남성 육군훈련처(陸軍訓練處) 군관반졸(軍官班卒) 대위(大尉)임명 3. 1927. 4 신민부 군사부(新民府軍事部) 위원(委員)겸 부관(副官)에 피임(被任) 4. 1930 한족총연합회 조직(漢族總聯合會組織) 군사위원(軍事委員) 피임 5. 1932. 6 한국독립군(韓國獨立軍)을 재편성 지청천(池淸天)은 사령관 이종주(李鍾柱)는 부사령이 되다. 6. 1933. 2 해림참(海林站)전투에서 왜병 3명 사살 7. 1933. 2 목단강(牧丹江)전투에서 왜병 86명과 군용견(軍用犬) 1필(匹)을 사살 (신민부사(新民府史)) 내무부장관 명에 의하여 치안국장이 제출한 첩보

인물정보

성명
이종주
한자명
李鍾株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1 ~ 1921
본적
전라북도 고창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0년 3월 10일 독립만세운동을 기념하기 위하여 태극기 12폭(幅)을 만들어「‘대한독립(大韓獨立)」이라 써넣은 다음 성내면사무소(星內面事務所) 광장에 게시(揭示)하였다가 피체되어 징역1년을 받아 복역 중 대구형무소 내(大邱刑務所內)에서 독립만세운동을 하려다가 고문으로 옥중사(獄中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이종주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종준
한자명
李鍾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4 ~ 1944
본적
경상남도 통영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8일 경남 통영군 부도정 시장에서 ‘조선독립만세’라고 쓴 시위용 깃발을 제작하였다가 체포되어 기소유예 처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종진
한자명
李鍾辰
운동계열
노령방면
생몰년도
1888 ~ 미상
본적
강원도 김화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2년

공적개요

1920년 3월 러시아 우수리스크에서 의군단(義軍團)에 가입하여 활동하다 1921년 3월 무정단(武政團) 선전집행위원(宣傳執行委員)이 되었고, 1923년 8월 함북(咸北) 무산군(茂山郡) 삼하구(三河口)에서 독립 사상 선전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종찬
한자명
李鍾瓚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3 ~ 1953
본적
경상남도 함안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3.1 운동 당시 함안군(咸安郡) 독립만세 사건(獨立萬歲事件)에 가담하여 군청(郡廳) 경찰서(警察署) 우편소(郵便所) 등기소(登記所)를 습격 기물(器物)을 파괴하여 3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종찬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종창
한자명
李宗昌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0 ~ 1966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8. 10. 5 제주도(濟州島) 남제주(南濟州)의 법정사(法井寺)에서 김연일(金連日), 강창규(姜昌奎), 방동화(房東華) 스님 등이 주도한 항일 무력시위에 참가하여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종철
한자명
李鍾喆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0 ~ 1950
본적
전라북도 고창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20년 3월 10일 밤 전북 고창군 성내면 월산리 이종주(李鍾株) 집에서 독립운동에 관한 협의를 하고, 태극기 12매를 제작하여 고창군 성내면사무소 내에 게양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음.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종원

한자명

李宗遠

생몰년도

1894 ~ 194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시흥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윤

한자명

李鍾淪

생몰년도

1864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3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이원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윤

한자명

李鍾潤

생몰년도

1878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4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북도 명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인

한자명

李宗仁

생몰년도

1913 ~ 194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하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일

한자명

李鍾一

생몰년도

1858 ~ 192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62대통령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태안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주

한자명

李鍾柱

생몰년도

1900 ~ 1968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남도 안변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주

한자명

李鍾株

생몰년도

1901 ~ 1921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고창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준

한자명

李鍾濬

생몰년도

1884 ~ 194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통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진

한자명

李鍾辰

생몰년도

1888 ~ 미상

운동계열

노령방면

포상훈격

2012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강원도 김화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찬

한자명

李鍾瓚

생몰년도

1883 ~ 195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함안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창

한자명

李宗昌

생몰년도

1880 ~ 1966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제주도 제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철

한자명

李鍾喆

생몰년도

1900 ~ 1950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1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고창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