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정현
한자명
李正鉉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17 ~ 1989
본적
충청남도 보령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1. 일본(日本) 동경(東京)지방에서 동지를 포섭 항일사상을 고취하다가 2년2월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정호
한자명
李庭浩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6 ~ 1952
본적
경상북도 영양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20년 음(陰) 8월경 경북(慶北) 영양(英陽)에서 흠치교(吽哆敎)에 가입하여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다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정호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정호
한자명
李貞浩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913 ~ 1990
본적
경상북도 대구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20. 8. 4 임시정부(臨時政府) 지방선전대(地方宣傳隊)에서 활동(活動)하고 1924년 중국(中國)에 망명(亡命)하여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 의용대(義勇隊) 한국청년회(韓國靑年會) 등에 가입(加入)하여 무력 항쟁(武力抗爭)하였으며 임시정부 의정원(臨時政府議政院) 의원(議員) 및 광복군(光復軍)으로 활동(活動)한 상당(相當)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정호
한자명
李庭鎬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4 ~ 미상
본적
함경남도 신흥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함남 신흥군 가평면(加平面) 중리(中里), 동흥리(東興里) 및 중양리(中陽里)와 원평시장(元平市場) 등에서 400여명이 참여한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1924년 7월경 함남 함흥(咸興)에서 적기단(赤旗團)의 간부로 중국 길림성에 소재한 동단 본부와 연락 유지를 위한 동 단원의 왕복, 비밀문서 교환, 신사상 선전 등의 편의 등을 제공하기 위한 거점을 마련하는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5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정환
한자명
李廷煥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5 ~ 미상
본적
함경남도 북청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0일 함남(咸南) 북청군(北靑郡) 신창면(新昌面) 신창리(新昌里) 천도교구당(天道敎區堂)에서 조인환(曺寅煥) 등과 천도교도(天道敎徒) 및 리민(里民) 등을 신창(新昌) 시장에 모이게 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기로 협의하고, 3월 13일 마을 주민 2백여명과 함께 신창 시장에서 조선독립만세를 외치며 활동하다 체포(逮捕)되어 징역 10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정후
한자명
李定厚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1 ~ 1950
본적
경상남도 창녕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곽종석(郭鍾錫) 등 유림 137명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국제평화회의(國際平和會議)에 독립청원서(獨立請願書)(파리장서(巴里長書))를 제출할 때 서명에 참여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정희
한자명
李庭禧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81 ~ 1955
본적
경상북도 청도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2년~1921년까지 10년간에 걸쳐 항일비밀결사대(抗日秘密決死隊)인 광복회(光復會)(경북지방(慶北地方))를 조직(組織) 항쟁(抗爭)한 것을 비롯하여 향리(鄕里)에서 사설학원(私設學院)을 설립(設立) 민족의식(民族意識)을 고취(鼓吹)하였으며 1921 경에는 임시정부(臨時政府) 후원단체(後援團體)인 의용단(義勇團)을 조직(組織) 군자금(軍資金) 모집(募集)에 활약(活躍)하다 왜경(倭警)에 피체(被逮) 3년형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제우
한자명
李濟宇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5 ~ 1931
본적
황해도 수안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1년 봉천성(奉天省) 장백현(長白縣) 18도구(道溝)로 이주하여 1926년 9월 만주(滿洲)에서 정의부(正義府)에 가입(加入)하여 동년(同年) 7월에 봉천성(奉天省) 장백현(長白縣)에서 일경(日警)의 밀정(密偵)을 처단(處斷)한 혐의(嫌疑)로 일경(日警)에 피체(被逮)되어 1931년 5월 11일 경성복심법원(京城覆審法院)에서 사형(死刑)을 언도받고 동년(同年) 6월 11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사형순국(死刑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조승
한자명
李肇承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3 ~ 1900
본적
충청북도 제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제천(堤川) 의병진(義兵陣)의 종사관(從事官)으로서 의병대장(義兵大將) 유인석(柳麟錫)을 보좌하고 당시 승지 급(承旨級)인 사회적 지위와 영향력을 발휘하여 몸소 5백 명의 민병(民兵)을 모집하여 대진(大陣)에 참가시켜 진세(陣勢)를 강화하는 등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조승
한자명
李潮承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8 ~ 미상
본적
충청남도 공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16년 4월 충남 공주군에서 청림교(淸林敎)에 입교하여 활동하다 1917년 2월 체포되어 태 9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조헌
한자명
李兆憲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900 ~ 1933
본적
경기도 진위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24년 8월경 독립운동단체의 단결을 도모하기 위하여 원세훈(元世勳)과 함께 중국 상해에서 함남 길주군으로 들어와 활동하였으며, 1925년부터 북경 도보사(導報社)에서 『도보』를 발간하고, 한교동지회 및 북경조선학생회 간부로 활동하였으며, 1926년 10월 한국독립유일당 북경촉성회(韓國獨立唯一黨 北京促成會)가 조직되자 자금을 지원함.

인물정보

성명
이존발
한자명
李存潑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8 ~ 미상
본적
전라북도 익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08년 음력 10월 전북 익산군에서 윤상문 의진(尹相文義陣)에 참여하여 의병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음.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정현

한자명

李正鉉

생몰년도

1917 ~ 1989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보령

자세히 보기

성명

이정호

한자명

李庭浩

생몰년도

1896 ~ 1952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0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양

자세히 보기

성명

이정호

한자명

李貞浩

생몰년도

1913 ~ 1990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대구

자세히 보기

성명

이정호

한자명

李庭鎬

생몰년도

1894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21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신흥

자세히 보기

성명

이정환

한자명

李廷煥

생몰년도

1865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6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북청

자세히 보기

성명

이정후

한자명

李定厚

생몰년도

1871 ~ 195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5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창녕

자세히 보기

성명

이정희

한자명

李庭禧

생몰년도

1881 ~ 1955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청도

자세히 보기

성명

이제우

한자명

李濟宇

생몰년도

1905 ~ 1931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수안

자세히 보기

성명

이조승

한자명

李肇承

생몰년도

1873 ~ 1900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제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조승

한자명

李潮承

생몰년도

1888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공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조헌

한자명

李兆憲

생몰년도

1900 ~ 1933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2019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진위

자세히 보기

성명

이존발

한자명

李存潑

생몰년도

1888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2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익산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