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인홍
한자명
李仁洪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1 ~ 1992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9. 3. 18 경북 안동군 안동읍내 시장에서 유동붕(柳東鵬) 송기식(宋基植) 등이 주도(主導)한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에 참여(參與)하여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인홍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인화
한자명
李仁和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1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의용대원(義勇隊員)으로 만주(滿洲) 관전현(寬甸縣) 대류하(大流河)에서 연통제(聯通制) 벽동군감(碧潼郡監)으로 활동하고 있던 중 일본군(日本軍)의 습격(襲擊)을 받아 1921. 6. 17 송석우(宋錫禹) 등 12명(名)과 함께 전사 순국(戰死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인화
한자명
李仁化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3 ~ 미상
본적
평안남도 덕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5일 평남(平南) 덕천군(德川郡) 덕천읍내(德川邑內)에서 김사진(金泗振), 방효준(方孝俊)이 주도한 독립만세시위운동에 참가하여 김사진(金泗振) 등의 연설이 끝난 뒤 약 100명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부르면서 읍내를 시위 행진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인화
한자명
李仁和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58 ~ 1929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고(故) 이인화(李仁和)는 전기(前期) 의병(義兵)으로 1896년대(年代)에는 의병장(義兵將)으로서 의병부대(義兵部隊)를 지휘(指揮)하여 남한산성 영남 관동지방(南漢山城嶺南關東地方)에서 적군(敵軍)과 전투(戰鬪)를 수차 감행(數次敢行)하는 등 독립운동(獨立運動)에 상당(相當)한 공적(功績)을 수립(樹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인희
한자명
李仁熙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24 ~ 2012
본적
경상남도 동래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40년 11월 23일 부산제2상업학교 재학 중 이른바 경남학도 전력증강 국방경기대회에서 부정심판으로 일본인학교가 우승하자, 심판장인 경남지구 위수사령관 노다이 겐지(乃台兼治)를 구타하고 관저를 파괴하다 체포되어 퇴학처분을 받고 징역 8월, 집행유예 3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일근
한자명
李一根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5 ~ 미상
본적
전라남도 진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8년 음력(陰曆) 6 - 9월 김율 의병진(金聿義兵陣)에 가담하여 전남(全南) 장성(長城)·영광군(靈光郡) 등지에서 정찰(偵察), 취사(炊事)등에 종사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일남
한자명
李壹男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비공개 ~ 생존
본적
비공개 비공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2. 6월 전주사범학교 재학시에 비밀결사「우리회(會)」를 조직하여 국내와 만주독립군(滿洲獨立軍)과 연계할 것을 기도하며 만주에서 활동하다가 군자금조달차 국내에 들어와서 활동하다 피체되어 옥고를 겪던중 8.15 광복(光復)으로 공소취하된 사실이 확인됨.

이일남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일록
한자명
李日錄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2 ~ 1908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4년

공적개요

1908. 7월 의병(진명(陣名) 미상(未詳))에 참여하여 전남(全南) 구례군(求禮郡) 등지에서 활동하던 중 일본군 수비대에 체포되어 압송 도중 탈출을 기도(企圖)하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일만
한자명
李一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3 ~ 1954
본적
경상북도 의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9년

공적개요

1919. 3. 12 경북(慶北) 의성군(義城郡) 비안면(比安面) 쌍계동(雙溪洞)에서 박영화(朴永和) 등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시위를 전개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일만
한자명
李一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1 ~ 1961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7일 충북(忠北) 옥천군(沃川郡) 이원면(伊院面) 장날에 모인 수백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 연창하며 시내를 누볏는데 일 헌병(日憲兵)들이 허상기(許相基) 등 주동자를 연행하는 것을 보고 시위군중이 주재소로 살도(殺到)하여 석방을 요구할 때 무자비한 일경(日警)의 발포로「동생」이 현장에서 순국하자 시체를 짊어지고 주재소로 가서 항의하며 격렬하게 시위하다 피체되어 징역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일범
한자명
李一凡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17 ~ 1973
본적
평안남도 평양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0.9~1942.2까지 1년5월간 중국(中國) 남경(南京)에서 학생시부터 한교 전지공작대장(韓僑戰地工作隊長)과 한족동맹회장(韓族同盟會長)으로 항일운동에 활동한 바 있으며 1943.7~1945.8.14까지 2년1월간 광복군(光復軍) 제2지대 제3구대(區隊)에 입대하여 남경지구 지하특파공작원(南京地區地下特派工作員)으로서 남경분대(南京分隊)에서 대일광파선전공작활동(對日廣播宣傳工作活動)함.

인물정보

성명
이일봉
한자명
李日奉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6 ~ 미상
본적
충청남도 기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4년

공적개요

1908년 7월중 충남(忠南) 서산(瑞山), 보령(保寧) 등지에서 장석홍 의진(張錫弘義陣)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인홍

한자명

李仁洪

생몰년도

1901 ~ 199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인화

한자명

李仁和

생몰년도

미상 ~ 1921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인화

한자명

李仁化

생몰년도

1863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덕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인화

한자명

李仁和

생몰년도

1858 ~ 192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인희

한자명

李仁熙

생몰년도

1924 ~ 2012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동래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일근

한자명

李一根

생몰년도

1875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남도 진도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일남

한자명

李壹男

생몰년도

비공개 ~ 생존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비공개 비공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일록

한자명

李日錄

생몰년도

1882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4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일만

한자명

李一萬

생몰년도

1903 ~ 195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의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일만

한자명

李一萬

생몰년도

1891 ~ 196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금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일범

한자명

李一凡

생몰년도

1917 ~ 1973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평양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일봉

한자명

李日奉

생몰년도

1886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4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기타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