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응몽
한자명
李應夢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4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04.7.18 안주(安州) 주재병참사령관(駐在兵站司令官)의 조회(照會)로 의병 남하 시(義兵南下時) 의병(義兵)과 동심(同心) 협력(協力)하여 군비품(軍備品)을 거두고 독립사상(獨立事想)을 고취(鼓吹)하여 민심(民心)을 동요(動搖)케 하였다는 이유(理由)로 피체(被逮)되어 총살(銃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응범
한자명
李應範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1 ~ 1957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40.1~9월 제주도(濟州島) 제주읍(濟州邑) 삼도리(三徒里) 소재(所在) 천주교회(天主敎會)의 전도사(傳道師)로 근무하면서 동 교회(同敎會) 영국인 선교사 손신부(孫神父) 집에서 일본(日本)은 신문(新聞)에서 승리(勝利)한다고 발표하나 반드시 패한다는 사실과 우도(牛島)의 해군비행장 군사시설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등 시국담(時局談)을 나누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1년, 금고(禁錮)10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응삼
한자명
李應三
운동계열
의열투쟁
생몰년도
1892 ~ 1963
본적
평안남도 평양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09년 11월경 친일단체인 일진회(一進會)에서 소위 한일합병(韓日合倂)을 주창하며 성명서를 공표하고 흉계에 착수하려 할 때 한일간(韓日間)의 국권에 관한 굴욕적인 협약을 맺은 당시 내각총리대신(內閣總理大臣)인 이완용(李完用)을 주살(誅殺)하려는 이재명(李在明)의 계획에 찬성하고 거사에 필요한 군자금 조달을 담당하며 활동하다가 1909년 12월 22일 이완용(李完用) 자살 미수(刺殺未遂)에 연루 피체되어 징역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응삼
한자명
李應三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58 ~ 1913
본적
전라북도 장수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09. 4월(음(陰))부터 전북 장수군 계북면 연동(蓮洞) 자택에서 문태서(文泰瑞) 의병장(義兵將) 등의 의병 지원 활동(義兵支援活動)을 하다가 피체(被逮)되어 1910. 3. 30 징역 1년 6월을 받아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응서
한자명
李應瑞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78 ~ 1932
본적
평안북도 강계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8년

공적개요

1. 재만주통의부(在滿洲統義府)(독립단체(獨立團體)) 책임자(責任者)로서 전급(前及) 15년간(年間) 계속하여 때로는 부하 영솔(部下領率) 때로는 단신(單身)으로 남북만주(南北滿洲)의 일본영사관(日本領事館) 경찰파견소(警察派遣所) 등 일본관공서(日本官公署) 백여개소(百余個所)를 방화(放火) 또는 파괴(破壞)하고 일인관민(日人官民) 합(合)하여 4백여명(百餘名)을 살상(殺傷) 2. 길림(吉林)에서 체포(逮捕) 신의주지방법원(新義州地方法院) 평양복심법원(平壤覆審法院)에서 사형 판결(死刑判決) 서울고등법원(高等法院)에 상고(上告) 무기형(無期刑) 판결(判決) 마포감옥소(麻浦監獄所)에서 복역(服役) 한국독립군사령(韓國獨立軍司令) 범행(犯行) 327건(件) 신의주지법(新義州地法)에서 방화(放火) 30건(件) 무기징역 언도(無期懲役言渡) 살인(殺人) 40건(件) 불법체포(不法逮捕) 90건(件) 군자모집(軍資募集) 200회 (동아일보(東亞日報) 1930.11.27)

인물정보

성명
이응선
한자명
李應善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5 ~ 1971
본적
평안북도 철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20년 3월경 최시흥(崔時興)의 천마산대(天摩山隊)에 입대하여 활동하고, 1922년 만주(滿洲)로 건너가 통의부(統義府)에서 활동하다가 참의부(參議府) 성립 후 참의부(參議府) 참사(參士)로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하던 중 1928년 10월 일경에 체포되어 징역 7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응선
한자명
李應善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4 ~ 1962
본적
강원도 화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3. 28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봉오리의 독립만세 운동(獨立萬歲運動)에 찬동(贊同)하여 화천읍(華川邑) 장날을 기(期)하여 파포리(巴浦里) 산록(山麓)에 모인 300여명(餘名)의 군중(群衆)과 함께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고 면사무소(面事務所)로 향(向)하여 행진 시위(行進示威)하였으며 면장(面長) 면서기(面書記)등에게 독립만세’(獨立萬歲)를 부르도록 요구하며 활동(活動)하다가 피체(被逮)되어 태(笞) 90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응선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응성
한자명
李應星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4 ~ 미상
본적
함경남도 풍산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2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함남(咸南) 풍산군(豊山郡)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8월을 받고 10개월(個月) 23일간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응수
한자명
李應洙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6 ~ 1922
본적
함경북도 명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의군단원(義軍團員)으로서 밀정(密偵) 박창근(朴昌根) 등을 처단(處斷)하고 피체(被逮)되어 1922. 4. 15 청진옥(淸津獄)에서 사형순국(死刑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이응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응수
한자명
李應洙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9 ~ 1950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21년 신태식(申泰植) 김찬규(金燦奎) 등과 더불어 임시정부(臨時政府) 후원 단체(後援團體)인 의용단(義勇團)을 조직 경북도단(慶北道團) 총무국장의 임무(任務)를 맡아 군자금(軍資金) 모금(募金)에 활약 중 피체(被逮) 2년 징역형(懲役刑)을 받아 옥고를 치름.

인물정보

성명
이응숙
한자명
李應淑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9 ~ 1931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20. 7월 임길규(林吉圭), 이남규(李南奎)와 함께 임시정부를 지원하고자 충남(忠南) 일대에서 독립운동 군자금을 모집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응식
한자명
李應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8 ~ 미상
본적
경기도 안성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2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1일 경기도(京畿道) 안성군(安城郡)에서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일경(日警)에 체포되어 징역 10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응몽

한자명

李應夢

생몰년도

미상 ~ 1904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응범

한자명

李應範

생몰년도

1901 ~ 1957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3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나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응삼

한자명

李應三

생몰년도

1892 ~ 1963

운동계열

의열투쟁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평양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응삼

한자명

李應三

생몰년도

1858 ~ 1913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3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장수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응서

한자명

李應瑞

생몰년도

1878 ~ 193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68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강계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응선

한자명

李應善

생몰년도

1905 ~ 1971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철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응선

한자명

李應善

생몰년도

1884 ~ 196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화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응성

한자명

李應星

생몰년도

1864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2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풍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응수

한자명

李應洙

생몰년도

1896 ~ 192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북도 명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응수

한자명

李應洙

생몰년도

1879 ~ 1950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영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응숙

한자명

李應淑

생몰년도

1879 ~ 1931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6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금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응식

한자명

李應植

생몰년도

1878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2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기도 안성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