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영출
한자명
李英出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3 ~ 미상
본적
전라북도 옥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27년 11월 전북 옥구군에서 이엽사농장(二葉社農場)의 높은 소작료와 옥구농민조합 간부의 검거에 항의하여 옥구면 서수리 주재소를 공격, 구금자를 구출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4월, 집행유예 2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영하
한자명
李永夏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2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2.9월 만주(滿洲) 관전현(寬甸縣)에서 한교민단(韓僑民團) 총무(總務)로서 독립 활동 중(獨立活動中) 일경(日警)에게 피체(被逮)되어 관전현(寬甸縣) 관문립자(關門砬子)에서 암살(暗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영학
한자명
李榮學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5 ~ 1989
본적
충청남도 서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4. 4 충남(忠南) 서산군(瑞山郡) 대호지면(大湖芝面)에서 800 여명(餘名)의 면민(面民)과 함께 만세 만위 운동(萬歲萬威運動)에 참가(參加)하여 동 면사무소(面事務所) 및 경찰관 주재소 앞에서 태극기를 앞세우고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다 피체(被逮)되어 태(笞) 90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영학
한자명
李永學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67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0.10.22 만주(滿洲) 흔춘현(琿春縣)에서 독립운동 단체(獨立運動團體)의 일원(一員)으로 활동(活動)하다가 일군(日軍)에게 피체(被逮)되어 석두하자(石頭河子)에서 총살(銃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영한
한자명
李暎漢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8 ~ 1938
본적
충청남도 공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충남(忠南) 공주군(公州郡) 정안면(正安面)에서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다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영헌
한자명
李英憲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3 ~ 1965
본적
경기도 가평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15 가평군(加平郡) 가평면(加平面) 사무소(事務所) 앞에서 다수(多數) 군중(群衆)과 함께 독립만세(獨立万歲)를 고창(高唱)하며 시위(示威)를 하다가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형(年刑)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영호
한자명
李永浩
운동계열
노령방면
생몰년도
1896 ~ 1938
본적
함경남도 단천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12년 노령(露領) 블라디보스톡 신한촌(新韓村)으로 건너가 한인신보사(韓人新報社) 서기 등의 활동을 하다가 1920년 3월 동지(同地) 한인사회당(韓人社會黨) 중앙총회에서 재정부장(財政部長)으로 호선되었고, 1922년 10월 19일 고려공산당(高麗共産黨) 통합 중앙위원회에서 비서국 위원으로 선정되어 활동하였으며, 1923년 니콜리스크에서 문창범(文昌範)이 조선내 관공서 폭파 등을 위해 편성한 결사대(決死隊)의 제2결사대장으로 선임되어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이영호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영호
한자명
李永浩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미상 ~ 1919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1년

공적개요

1919.3.10 함남(咸南) 단천군(端川郡) 읍내(邑內)에서 천도교구장(天道敎區長) 염원형(廉元亨) 등이 주도한 만세시위운동에 참여하여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부르며 군청과 헌병대로 쇄도하는 등 시위행진을 전개하다 일경(日警)의 총격으로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영호
한자명
李榮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1974
본적
충청북도 진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4.2 충북(忠北) 진천군(鎭川郡) 만승면(萬升面) 광혜원리(廣惠院里)에서 전(前) 육군 참위(陸軍參尉) 윤병한(尹炳漢)과 함께 식수(植樹)를 실시(實施)한다는 명목(名目)으로 회죽리 산간(會竹里山間)으로 리민(里民)을 집결시켜 태극기를 다량으로 제작케하고 이튿날인 4.3 광혜원(廣惠院) 장날에는 시위군중 2,000여명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활동(活動)하다가 주동자(主動者)의 1인(人)으로 피체(被逮)되어 징역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영호
한자명
李永浩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2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2.1.10 삼수군(三水郡) 호인면(好仁面)에서 독립군(獨立軍)과 밀통(密通)하였다는 혐의(嫌疑)로 일경(日警)에게 피체(被逮)되어 암살(暗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영호
한자명
李齡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1964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3.10.의병활동하다 순국한 이중린(李中麟)과 일제의 국권침탈을 분개하여 단식하다 순국한 이만도(李晩燾)의 친척(親戚)으로, 평소 의분(義憤)을 느끼고 국권회복을 위하여 각지로 다니며 항일사상을 고무하다가 전국 각지에서 3.1운동만세시위가 전개되고 있음을 알고 비밀리에 대구(大邱)로 가서 덕산(德山)시장에서독립만세를 고창하는 등 시위를 선동하다 체포되여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형을 언도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영호
한자명
李寧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5 ~ 1932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3.17 안동군(安東郡) 예안면(禮安面) 예안(禮安)장터에서 독립만세시위운동에 가담하여 태극기를 들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1년형을 언도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영출

한자명

李英出

생몰년도

1903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옥구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하

한자명

李永夏

생몰년도

미상 ~ 192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학

한자명

李榮學

생몰년도

1895 ~ 198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서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학

한자명

李永學

생몰년도

1867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한

한자명

李暎漢

생몰년도

1878 ~ 193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공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헌

한자명

李英憲

생몰년도

1873 ~ 196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가평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호

한자명

李永浩

생몰년도

1896 ~ 1938

운동계열

노령방면

포상훈격

2010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남도 단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호

한자명

李永浩

생몰년도

미상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호

한자명

李榮鎬

생몰년도

1899 ~ 197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진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호

한자명

李永浩

생몰년도

미상 ~ 192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호

한자명

李齡鎬

생몰년도

1893 ~ 196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호

한자명

李寧鎬

생몰년도

1885 ~ 193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