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순화
한자명
李順和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0 ~ 1936
본적
경기도 고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3.1운동 후 야소교인(耶蘇敎人) 박기운(朴氣運) 등 동지 규합하여 서울 사대문(四大門)에 일본천황규탄문 및 태극기와 유사한 팔괘기(八卦旗)와 십자기(十字旗)를 부착하고 독립만세 고창 등 활약하고 징역 2년6월 언도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승갑
한자명
李承甲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7 ~ 미상
본적
전라북도 기타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07년 11월 전북(全北) 용담(龍潭)․고산군(高山郡) 등지에서 노원섭 의진(盧元燮義陣)에 참여하여 소속 의진의 약 30명과 함께 의병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승구
한자명
李承九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0 ~ 1920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8년

공적개요

1909­1913년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영동면장(永同面長) 등으로 재직하다가 독립운동(獨立運動)에 뜻을 두고 자신 소유의 부동산을 매각한 후 중국(中國) 봉천성(奉天省) 유하현(柳河縣) 삼원포(三源浦)로 망명하여 1919년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이 결성되자 이에 참여,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 중앙총단(中央總團)의 서기장(書記長) 및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의 지단장(支團長)에 선임되어 조맹선(趙孟善), 박장호(朴長浩)의 핵심참모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던 중 1920. 7. 23 봉천성(奉天省) 환인현(桓仁縣) 소양차(小陽岔) 부근에서 일군(日軍) 수사대(搜査隊)의 습격을 받고 교전(交戰) 끝에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이승구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승구
한자명
李承玖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2 ~ 미상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7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6일 경북(慶北) 영양군(英陽郡) 석보면(石保面)에서 박윤규(朴潤奎)와 함께 영덕(盈德) 장날을 기해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할 것을 계획하여, 다음날 동지(同地) 포산동교회(葡山洞敎會)에서 김혁동(金爀東) 등을 동지로 규합하고, 18일 경북(慶北) 영덕군(盈德郡) 영덕면(盈德面) 남석동(南石洞) 시장(市場)에서 한국독립 만세(韓國獨立萬歲)를 외치며 시위를 벌이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승구
한자명
李承龜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5 ~ 1931
본적
충청북도 괴산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유인석(柳麟錫)의 문인(門人)으로서 1895년 이후 지속적으로 유인석 의진(柳麟錫義陣)에 군자금(軍資金)을 지원하고 1907. 6월 이강년(李康秊)으로부터 친필 위로(親筆慰勞) 서한(書翰)을 받았고 1908년 이강년 의병장(李康秊義兵將)이 순국(殉國)하자 제문(祭文)을 지은 사실(事實)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승구
한자명
李昇求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1 ~ 1957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경북 안동군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태 9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승국
한자명
李承國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8 ~ 미상
본적
함경남도 북청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7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0일 함남(咸南) 북청군(北靑郡) 노덕면(老德面) 내리(內里)의 천도교구실에서 한병표(韓炳豹)로부터 받은 ‘조선독립선언서’를 배포할 목적으로 등사하는 등 활동하다가 일경(日警)에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승규
한자명
李承奎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72 ~ 1920
본적
평안북도 선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8년

공적개요

1920년 중국(中國) 봉천성(奉天省) 흥경현(興京縣) 왕청문(旺淸門)에서 한족회(韓族會) 구정검독(區正檢督)으로 활동하다가 동년(同年) 10월 30일 일군(日軍)에 피체(被逮)되어 11월 1일 중강도(中江道)에서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승규
한자명
李承奎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0 ~ 1922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경남(慶南) 마산(馬山)의 유지로서 1906년부터 창신학교(昌信學校)의 전신인 독서숙(讀書塾)을 설립하여 민족교육을 실시해 오다가 1919. 3월 마산(馬山)의 많은 시민들이 유치장에 갇히자 이들의 석방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1921년 이승만 등과 함께 태평양회의에 드리는 글에 마산대표(馬山代表)로 서명한 사실이 확인됨.

이승규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승기
한자명
李承畿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7 ~ 미상
본적
충청북도 충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4년

공적개요

1912년 음력 4월부터 1913년 6월까지 경북(慶北) 안동군(安東郡), 영양군(英陽郡) 일대에서 유시연 의진(柳時淵義陣)에 참여하여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승길
한자명
李承吉
운동계열
계몽운동
생몰년도
1887 ~ 1965
본적
황해도 황주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77년

공적개요

학생시절부터 독립운동을 한 사실이 있는 자로서 30년 간을 계속 항일운동을 하였으며 안악사건(安岳事件)으로 15년형을 받은 공적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승달
한자명
李承達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56
본적
충청남도 서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29 서천군(舒川郡) 마산면(馬山面) 신장리(新場里)장터에서 많은 군중(群衆)을 규합(糾合)하고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주재소(駐在所)를 습격(襲擊)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3년을 받아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이승달의 발자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순화

한자명

李順和

생몰년도

1870 ~ 193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고양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갑

한자명

李承甲

생몰년도

1877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구

한자명

李承九

생몰년도

1880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8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영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구

한자명

李承玖

생몰년도

1892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7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구

한자명

李承龜

생몰년도

1865 ~ 1931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괴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구

한자명

李昇求

생몰년도

1901 ~ 195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국

한자명

李承國

생몰년도

1878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7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북청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규

한자명

李承奎

생몰년도

1872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8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선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규

한자명

李承奎

생몰년도

1860 ~ 192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기

한자명

李承畿

생몰년도

1887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4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북도 충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길

한자명

李承吉

생몰년도

1887 ~ 1965

운동계열

계몽운동

포상훈격

1977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황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달

한자명

李承達

생몰년도

1898 ~ 195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서천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