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수준
한자명
李秀峻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4 ~ 1968
본적
충청남도 공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30년 충남 공주에서 영명학교 재학 중 조선문법과 조선역사 교육 등을 요구하는 동맹휴학에 참여하다 퇴학 처분을 받음. 1931년 12월부터 충남 공주에서 신사상 관련 서적을 윤독할 목적으로 독서회를 조직하고, 1932년 3월 신사회 건설을 위해 동지들과 협의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음. 1938년 1월 강원도 고성에서 신사회 건설을 위한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수천
한자명
李壽千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1965
본적
충청북도 옥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4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9일 충북(忠北) 청주군(淸州郡)에서 청주공립농업학교(淸州公立農業學校) 학생으로 독립만세운동 계획에 참여하여 ‘아(我) 이천만(二千萬) 동포에게 경고(警告)한다’는 제목의 경고문(警告文) 300매를 인쇄하다 체포(逮捕)되어 징역 5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수철
한자명
李秀哲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1933
본적
경상남도 창녕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3.13 경남(慶南) 창녕군(昌寧郡) 영산면(靈山面)에서 남경명(南景明) 구남회(具南會) 등과 같이 만세시위운동계획을 세우고 결사단원 맹서서(決死團員盟誓書)에 서명한 후 독립만세를 고창하다 피체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수택
한자명
李壽澤
운동계열
의열투쟁
생몰년도
1891 ~ 1927
본적
경상북도 칠곡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3~1914 2년간 국내(國內)에서 항일단체(抗日團體)(일합사(一合社))를 조직(組織) 항일활동(抗日活動)을 하였고, 1919~1920 만주 길림성(滿洲吉林省)에서 의열단(義烈團)에 가담(加擔) 활동(活動)하였음 이후(以後) 1920 밀양 폭파 사건(密陽爆破事件)으로 2년6개월 복역 후 심한 고문으로 병이 악화되여 사망함.

이수택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수현
한자명
李守鉉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5 ~ 1984
본적
전라북도 옥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신흥군관학교(新興軍官學校) 졸업(卒業)과 기타(其他) 독립운동(獨立運動)으로 독립운동(獨立運動)의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수호
한자명
李壽浩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5 ~ 1948
본적
경상남도 산청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경남(慶南) 고성군(固城郡) 고성읍(固城邑) 장터에서 전개된 독립만세 시위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수흥
한자명
李壽興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5 ~ 1929
본적
경기도 이천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2년

공적개요

1. 1923년 상해사관학교(上海士官學校) 졸업(卒業)하고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에 들어가서 1926년 5월 귀국(歸國) 2. 동 6월 10일 서울 동소문파출소(東小門派出所)에 들려 권총(拳銃)7발(發)을 난사(亂射)하고 그 길로 안성(安城)에 가서 부호 박필병(富豪朴弼秉)을 찾아 군자금(軍資金)을 청구(請求)하였으나 듣지않으므로 즉시(卽時) 사살(射殺)하고 3. 동 10월 21일에 이천 백사면(利川栢沙面)에 가서 일경(日警) 주재소(駐在所)를 습격(襲擊) 4. 서울수은동(授恩洞) 대성 전당포(典當鋪)를 찾아가서 군자금(軍資金)을 청구(請求)하였으나 포주(鋪主) 김기영(金基榮)의 태도(態度)가 불순(不純)하므로 즉석(卽席)에서 사살(射殺) 왜경(倭警)은 무장 경관(武裝警官) 2000여명(余名)을 동원(動員)하여 동11월6일 밤에 피체(被逮)되어 사형(死刑)에 처(處)하였다.

인물정보

성명
이수희
한자명
李壽喜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4 ~ 미상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20년 3월 1일 서울 배화여학교(培花女學校) 재학 중 학교 뒷산에서 3.1운동 1주년 만세시위에 참여하여 만세를 부르다 체포되어 징역 1년, 집행유예(執行猶豫) 3년을 받음.

이수희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숙진
한자명
李淑珍
운동계열
독립운동지원
생몰년도
1900 ~ 미상
본적
외국 중국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7년

공적개요

1939년 중국(中國) 기강(綦江)에서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 당원(黨員), 1940년 6월 중경(重慶)에서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 창립에 참여하고, 1944년 3월 중경(重慶)에서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당원(黨員)으로 활동함.

인물정보

성명
이순
한자명
李 順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3 ~ 1991
본적
전라남도 광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29년 11월 전남 광주에서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광주학생운동에 참여하였다가 퇴학 처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순거
한자명
李順擧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7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2년

공적개요

1907. 11월 진명(陣名) 미상(未詳)의 의병진에 소속되어 강원도(水原道) 양구(楊口) 부근 유목정(楡木亭) 등매동(登梅洞)에서 화약 제조의 장(長)으로 활동하다가 동년 11월 20일 양구(楊口)에 유진(留陣) 중 일군(日軍)의 기습공격을 받고 교전 끝에 전사 순국(戰死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순구
한자명
李淳九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20년 만주(滿洲) 유하현(柳河縣)의 합성소학교(合成小學校)의 교사(敎師)로 민족 교육(民族敎育)에 앞장서고 있던중,같은해 10월부터 일본군의 간도침입으로 발생한 경신참변시(庚申慘變時)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수준

한자명

李秀峻

생몰년도

1914 ~ 1968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2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공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수천

한자명

李壽千

생몰년도

1899 ~ 196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4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옥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수철

한자명

李秀哲

생몰년도

1899 ~ 193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창녕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수택

한자명

李壽澤

생몰년도

1891 ~ 1927

운동계열

의열투쟁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칠곡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수현

한자명

李守鉉

생몰년도

1895 ~ 1984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옥구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수호

한자명

李壽浩

생몰년도

1895 ~ 194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8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산청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수흥

한자명

李壽興

생몰년도

1905 ~ 1929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62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이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수희

한자명

李壽喜

생몰년도

1904 ~ 미상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1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숙진

한자명

李淑珍

생몰년도

1900 ~ 미상

운동계열

독립운동지원

포상훈격

2017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외국 중국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순

한자명

李 順

생몰년도

1913 ~ 1991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광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순거

한자명

李順擧

생몰년도

미상 ~ 1907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2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순구

한자명

李淳九

생몰년도

미상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