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선우
한자명
李善雨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1961
본적
전라남도 여수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전남(全南) 여수간이수산학교(麗水簡易水産學校) 학생으로 1919년 12월 여수간이수산학교(麗水簡易水産學校) 기숙사에서 만세운동을 전파시키기 위해 여수(麗水)로 귀향한 유봉목(兪鳳穆)을 만나 동년(同年) 12월 20일 오전의 여수 장날에 ‘조선독립만세(朝鮮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할 것을 합의하고, 이를 위해 위친계(爲親稧)를 조직하여 동지(同志)를 규합하는 한편, 시위 당일의 구체적인 시위방법과 태극기 제작계획을 제시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동월(同月) 19일경 체포(逮捕)되어 징역 6월(미결구류(未決拘留) 30일 통산(通算))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선준
한자명
李銑濬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1 ~ 미상
본적
충청남도 당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33년 6월 공주지방법원에서 보안법위반으로 징역 1년을 받음. 1934년 12월 충남 아산에서 한명식(韓明植)등과 신사회 건설을 위해 아산적색농민조합을 조직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선직
한자명
李善稙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7 ~ 1930
본적
함경남도 단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2년

공적개요

1930년 7월 18일부터 20일까지 함남(咸南) 단천군(端川郡) 하다면(何多面)에서 일제 삼림조합의 부당한 처우에 항의하고, 동 문제(問題)로 잡힌 군민(郡民)들의 석방을 요구하며 단천군청(端川郡廳)과 경찰서(警察署) 앞에서 시위를 전개하다가 일경(日警)에게 총을 맞고 1930. 7. 20 피살(被殺) 순국(殉國)함

인물정보

성명
이선찬
한자명
李善贊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1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21년 평북(平北) 삭주(朔州)에서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 대원(隊員)으로 일본 군대와의 전투 중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선호
한자명
李先鎬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4 ~ 1950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5년 9월 중앙고등보통학교(中央高等普通學校) 제3학년 재학시 이병립(李炳立) 이천진(李天鎭) 등과 조선사회과학연구회(朝鮮社會科學硏究會)를 창립하였으며 1926.6.10 순종황제(純宗皇帝)의 국장일(國葬日)을 맞이하여 1919년 독립만세운동과 같은 거사를 일으킬 것을 목적으로 만세기(萬歲旗) 격문(檄文) 등을 제작하여 연도(沿道)에 도열(堵列)하고 있는 참예 군중(參詣群衆)에게 살포하며 대연(大輦)이 통과될 때 독립만세를 선창 연창하다가 피체되어 주동자로 징역1년(미결(未決)60일통산(通算))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선희
한자명
李善希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26
본적
경상북도 대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8일 대구(大邱) 시내에서 다수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선희
한자명
李仙熙,
운동계열
미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79
본적
미상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28~1930, 1932~1933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대한여자애국단 상항지부 서기, 1936년 동 지부 위원, 1942∼1945년 재무, 1931~1932년 총단 위원으로 활동함. 1932~1933, 1935년 대한인국민회 상항지방회 학무, 1937년 동 지방회 집행위원(교육부), 1938년 실업위원으로 활동함. 1919~1945년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인물정보

성명
이설
한자명
李偰
운동계열
계몽운동
생몰년도
1850 ~ 1906
본적
충청남도 홍성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년

공적개요

1. 1895년 추(秋) 을미사변(乙未事變)에 분개(憤慨)하여 의병(義兵)을 홍주(洪州)에서 일으킬려고 했으나 목사(牧使) 이승우(李勝宇)의 배반(背叛)으로 실패(失敗)함. 2. 1896년 3월 피포(被捕)되어 서울로 압송(押送)되었으나 왕(王)의 특지(特旨)로서 석방(釋放)됨. 3. 1904년 일본인(日本人)의 차지설(借地說)에 분개(憤慨)하여 사방(四方)에 격문(檄文)을 보내어 민족의식(民族意識)을 고취(鼓吹)할려고 했으나 실패(失敗)함. 4. 1905년 을사보호조약(乙巳保護條約)의 부당성(不當性)을 상소(上疏)로서 항거(抗拒)하다가 일인(日人)에게 피체(被逮)되어 경무옥(警務獄)에 수감(收監)되었다가 석방(釋放)됨. 5. 1906년 윤(閏)4월 29일 고향(故鄕)에 돌아와 음식(飮食)을 전폐(全廢)하기 수(數) 10일만에 사망(死亡)함.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 42, 기려수필(騎驢隨筆) P 45, 대한계년사(大韓季年史) 하(下) P 210, 한국통사(韓國痛史) P 48)

이설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섬
한자명
李暹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20년 8월경(月頃) 김기한(金起漢) 강지형(姜芝馨)의 권유에 의(依)하여 서울에서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관전현(寬甸縣)에 본부(本部)를 두고 무력 군대(武力軍隊)를 편성(編成)하여 독립(獨立)을 쟁취(爭取)하겠다는 조선독립단(朝鮮獨立團)에 가입(加入)하여 활동(活動)하다 (동아일보(東亞日報) 1921년 7월3일, 동10년4월7일) 2. 상기(上記) 김(金).강(姜) 양인(兩人)들을 협조(協助)하여 경성총기관(京城總機關)이라는 국내(國內) 중앙본부(中央本部)를 조직(組織)하고 동지(同志)를 모집(募集)하고 일방(一方) 최승환(崔承煥) 홍영전(洪永傳)등 단원(團員)과 함께 문서 인쇄(文書印刷)의 임(任)을 맡고 고양군(高陽郡) 숭인면 회기리(崇仁面回基里) 및 동군(同郡) 도도면 수리(纛島面收里)에서 활판(活版)으로서 임명장(任命狀) 1200매(枚) 사령서통지서(辭令書通知書) 4,000매(枚) 격고문(檄告文) 200매(枚) 경고경향부호문(警告京鄕富戶文) 200매(枚) 경고동포왜관리문(警告同胞倭官吏文) 100매(枚) 밀고문(密告文) 120매(枚) 임시통칙(臨時通則) 400부(部) 군자금 영수서 용지(軍資金領收書用紙) 4,500매(枚), 사형선고문(死刑宣告文) 100매(枚)를 인쇄(印刷)하여 사용(使用)케하다(상동(上仝) 조선독립운동사(朝鮮獨立運動史) P.281) 3. 1921년 4월경(月頃) 피체(被逮)되여 경성지방법원(京城地方法院)에서 4년형(年刑)을 언도(言渡)받다.(조선독립운동사(朝鮮獨立運動史) P. 288)

인물정보

성명
이성관
한자명
李城官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4 ~ 미상
본적
함경남도 함흥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7일 함남 함흥군 상조양면 신한시장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군중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며 독립만세를 외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8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성구
한자명
李聖逑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1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초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24년 음(陰) 7월 중국(中國) 봉천성(奉天省) 관전현(寬甸縣)에 소재한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 제8중대(中隊) 대원으로 1925년 음(陰) 4월 초순부터 5월까지 평북(平北) 벽동(碧潼)․태천(泰川)․ 강동(江東)․운산군(雲山郡) 등에서 군자금을 모집하고 강동경찰관주재소(江東警察官駐在所) 순사(巡査)들과 교전하다 체포되어 징역 15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성구
한자명
李成九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897 ~ 1934
본적
평안북도 선천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8년

공적개요

1. 3.1운동때 선천군(宣川郡) 태산면장(台山面長) 총살 사건(銃殺事件)에 관련(關聯) 10년 언도(言渡)받고 4년(年) 복역(服役) 후(後), 가출옥(假出獄), 상해(上海)로 망명(亡命).(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450 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 P.302 동아일보(東亞日報) 19일자(日字)) 2. 1925. 2차에 걸쳐 상해(上海) 일영사관(日領事館)에 투탄(投彈)(동아일보(東亞日報) 1933.10.13일자(日字), 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 P.302) 3. 1929.1.15 한국노병회(韓國老兵會) 제26회 이사회(理事會)에 특별회원(特別會員)으로 가입 허가(加入許可)됨(조선민족운동연감(朝鮮民族運動年鑑) P.239) 4. 독립신문사(獨立新聞社)에 입사(入社), 병인의용대(丙寅義勇隊)에 입대(入隊) 활동(活動). 5. 1933.10.12 상해 불조계(上海佛祖界)에서 상해영사관경찰(上海領事館警察)에 피체(被逮), 경성지방법(京城地方法)에서 단기(短期)4년, 장기(長期)8년의 가형(加刑)을 받고 복역(服役) 중(中) 옥사(獄死).(동아일보(東亞日報) 1933.10.13, 10.19일자(日字),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450, 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 P.302) 6.「백천(白川)」저격 공범(狙擊共犯).(동아일보(東亞日報) 1933.10.13, 19일자(日字), 1934.1.30일자(日字))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선우

한자명

李善雨

생몰년도

1899 ~ 196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여수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선준

한자명

李銑濬

생몰년도

1911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당진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선직

한자명

李善稙

생몰년도

1897 ~ 1930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2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남도 단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선찬

한자명

李善贊

생몰년도

미상 ~ 1921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선호

한자명

李先鎬

생몰년도

1904 ~ 1950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선희

한자명

李善希

생몰년도

1896 ~ 192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대구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선희

한자명

李仙熙,

생몰년도

미상 ~ 1979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훈격

2022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설

한자명

李偰

생몰년도

1850 ~ 1906

운동계열

계몽운동

포상훈격

1963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홍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섬

한자명

李暹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성관

한자명

李城官

생몰년도

1894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0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함흥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성구

한자명

李聖逑

생몰년도

1901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5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초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성구

한자명

李成九

생몰년도

1897 ~ 1934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1968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선천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