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석붕
한자명
李錫朋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3 ~ 미상
본적
황해도 수안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3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황해도(黃海道) 수안군(遂安郡)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석산
한자명
李石山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72
본적
경상북도 영덕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9일 경북(慶北) 영덕군(盈德郡) 지품면(知品面) 원전동(院前洞) 시장에서 주명우(朱明宇) 등이 주도하는 독립만세 시위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석술
한자명
李石述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1919
본적
경상북도 영덕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9일 경북(慶北) 영덕군(盈德郡) 영해읍내(寧海邑內)의 독립만세운동은 전일(前日)에 이어 시위군중 수천명이 집결하여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할 때 일군(日軍) 수비대의 무차별 발포로 사살(射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석영
한자명
李石榮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55 ~ 1934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0.12월 일제의 강제에 의하여 국권이 침탈되자 애국단체인 상동청년회(尙洞靑年會)의 우국지사들이 중심이 되어 1907년 신민회(新民會)를 비밀조직하고 독립운동자 양성과 독립기지를 국외에서 개척하기로 합의된 바에 따라 6형제 50여 가족이 입만(入滿)하여 유하현(柳河縣) 삼원보(三源堡)에 정착하고 경학사(耕學社)와 신흥강습소(新興講習所)를 설치 독립군 장교 양성과 국권 회복을 위한 기반조성을 위하여 가산(家産) 6,000여석을 투입하여 1910년대 초기의 독립운동에 이바지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석용
한자명
李石用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8 ~ 1984
본적
경상남도 통영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21년 음력(陰曆) 4월 10일경 경남(慶南) 통영군(統營郡) 통영면(統營面)에서 김형기(金炯綺)ㆍ장근숙(張根淑) 등과 만세시위를 고창(高唱)할 것을 계획하고 동월(同月) 20일 김형기(金炯綺)ㆍ장근숙(張根淑)이 작성한 조선독립과 만세시위를 주창(主唱)하는 문서를 동면(同面)에 배포하다 체포(逮捕)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석용
한자명
李錫庸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7 ~ 1914
본적
전라북도 임실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2년

공적개요

1. 서기 1907년 8월26일 진안(鎭安)서 하여 의병대장(義兵大將)이 되고 동 9월 12일에 왜적(倭敵) 굴구원태랑(掘口源太郞)를 총(銃)으로 쏴서 팔을 부러지게 하고 전투 장비(戰鬪裝備) 수천 건(數千件)을 불태웠다 또한 용담 심원사(龍潭深源寺)에서 김동신(金東臣) 의병(義兵)과 합진(合陣)하여 산중(山中)에서 내려온 적(敵)10여명을 격살(擊殺)하였고 1908년 봄에 남원(南原)에 진출하여 적추장3명을 격살(擊殺)하고 왜죄십조(倭罪十條)를 대서(大書)하여 각 거리에 게시(揭示)하였고 그 후 남원(南原), 전주 등지(全州等地)를 중심으로 여러번 전투(戰鬪)하였고 아군(我軍)의 사상(死傷)도 많았다. 또순종(純宗)에 상류(上琉)하여 보호조약(保護條約) 폐기(廢棄)와 적신(賊臣)의 참주를 청(請)하였다. 2. 1913년 겨울에 임실서 체포(逮捕)되어 전주(全州), 대구감옥(大口監獄)에서 악형(惡刑)을 받고 1914년 4월 4일에 사형(死刑)당하였다.

인물정보

성명
이석윤
한자명
李錫允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9 ~ 1986
본적
경상남도 양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년 3.1운동시 독립선언문 배부 등 독립운동에 참여한 것을 비롯하여 군자금 모집 등에 활약하였으며 1920년 징역6월형을 언도받아 복역함.

이석윤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석이
한자명
李石伊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9 ~ 1910
본적
경상북도 청송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7년 정용기의진(鄭鏞基義陣)에 소속되어 활동하였으며 정용기 의병장(鄭鏞基義兵將)이 순국(殉國)한 후에는 독자적으로 의진(義陣)을 편성, 200여명의 군사를 인솔하고 경북(慶北) 청하(淸河), 의성(義城) 등지에서 군자금(軍資金)을 모집하고, 일군(日軍)의 밀정(密偵)을 처단하는 등의 활동(活動)을 하다가 피체(被逮)되어 교형(絞刑)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석인
한자명
李錫仁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2 ~ 1947
본적
충청남도 홍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1∼2일경 충남(忠南) 홍성군(洪城郡) 홍성시장(洪城市場) 등지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가 일경(日警)에게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석조
한자명
李石兆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8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3년

공적개요

1895년부터 1896년 초까지 경북(慶北) 안동(安東)에서 권세연 의진(權世淵義陣)의 유격장(遊擊將)으로 활동하였으며 권세연 의진(權世淵義陣)이 와해된 직후인 1896년 3월 김하락 의진(金河洛義陣)과의 연계를 시도하였고, 1907년 경북 안동에서 의병투쟁을 벌이다 1908년 1월 경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석종
한자명
李錫宗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1 ~ 1919
본적
경상남도 거창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2일 경남(慶南) 거창군(居昌郡) 가조면(加祚面) 장기리(場基里)에서 3,000여명의 시위군중이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일군(日軍) 헌병대(憲兵隊)에 돌진할 때 일군(日軍)의 무차별 발포로 인하여 사살(射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이석종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석종
한자명
李奭鍾
운동계열
계몽운동
생몰년도
1860 ~ 1921
본적
경기도 광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05년부터 1907년 6월까지 을사조약(乙巳條約) 반대 항쟁운동을 전개하고 1907년 6월 26일 일헌에 체포되어 낙도(落島)인 철도(鐵島) 유배형 받아 2년간 연금(軟禁)을 당하는 등 국권회복에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석붕

한자명

李錫朋

생몰년도

1873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3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수안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석산

한자명

李石山

생몰년도

1890 ~ 197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덕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석술

한자명

李石述

생몰년도

1888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덕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석영

한자명

李石榮

생몰년도

1855 ~ 1934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석용

한자명

李石用

생몰년도

1898 ~ 1984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통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석용

한자명

李錫庸

생몰년도

1877 ~ 1914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62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임실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석윤

한자명

李錫允

생몰년도

1899 ~ 1986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양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석이

한자명

李石伊

생몰년도

1879 ~ 1910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청송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석인

한자명

李錫仁

생몰년도

1872 ~ 194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홍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석조

한자명

李石兆

생몰년도

미상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3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석종

한자명

李錫宗

생몰년도

1871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거창

자세히 보기

성명

이석종

한자명

李奭鍾

생몰년도

1860 ~ 1921

운동계열

계몽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광주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