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봉수
한자명
李鳳壽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8 ~ 1919
본적
경상북도 의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3.17 경북(慶北) 의성군(義城郡) 안평면(安平面) 대사동(大司洞)에서 시위군중 150여명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하고 1919.3.19 봉양면(鳳陽面) 도리원(桃李院) 장날에 집결된 수천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주재소로 몰려가서 적경(敵警)과 투석으로 맞서 싸울 때 야만적인 적경(敵警)의 발포로 부상을 입고 피체되어 징역1년6월을 받아 복역 중 총상과 고문의 여독으로 옥중사(獄中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이봉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봉순
한자명
李奉順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1953
본적
충청남도 청양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4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5, 6일 경 충남 청양군(靑陽郡) 정산면(定山面) 정산시장(定山市場)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가 일경(日警)에게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봉순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봉술
한자명
李鳳術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1 ~ 미상
본적
경상북도 영덕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7년

공적개요

1908년 음력 1월 경북(慶北) 경주(慶州), 영천군(永川郡) 일대에서 김상만 의진(金相萬義陣)에 참여하여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5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봉식
한자명
李奉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34
본적
황해도 은율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황해 은율 장연 독립만세 시위 운동(黃海殷栗長連獨立萬歲示威運動)에 가담(加擔) 활약(活躍)하고 징역 7월형(月刑)을 언도(言渡)받고 복역(服役) 후(後) 상해(上海)로 망명중(亡命中) 군자금 조달지령(軍資金調達指令)을 받고 귀향(歸鄕)하여 모집 활동(募集活動)하다가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봉식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봉양
한자명
李鳳陽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4 ~ 2013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용천 향리(龍川鄕里)에서 “지우개”에 태극기(太極旗)를 새겨 이를 찍어 학반(學反)에게 알리고 황국신민(皇國臣民)의 서사(誓詞)를 할 때 아등(我等)은 황국신민(皇國臣民) 운운(云云)을 피등(彼等)은 황국신민(皇國臣民) 운운(云云)이라 하기로 결의(決義)함이 탄로(綻露)나 일경(日警)에 피체(被逮) 1943년 4월 신의주(新義州) 지법(地法)에서 치안유지법(治安維持法) 위반(違反)으로 징역 단기(短期) 2년 장기(長期) 3년형(年刑)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봉연
한자명
李鳳然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1941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3.30 도로 공사(道路工事) 부역중(賦役中) 동원된 면민들과 같이 구속된 인사의 석방을 요구하는 격렬한 시위운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경성복심법원(京城覆審法院)에서 징역2년을 수형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봉영
한자명
李鳳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7 ~ 미상
본적
황해도 해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7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21일 황해도(黃海道) 해주군(海州郡)에서 독립만세를 고창하는 등 활동하다가 일경(日警)에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봉우
한자명
李奉堣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미상 ~ 1919
본적
평안북도 삭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 3월 평북 삭주군 수풍면 연포동에서 독립만세시위 때 참가 활동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연통제(聯通制)가 조직되자 삭주군감(朔州郡監)에 임명되어 활동하다가 국외로 망명 중 일경(日警)에게 피살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봉우
한자명
李鳳雨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73 ~ 1921
본적
경상남도 동래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80년

공적개요

1908 이래 만주(滿洲)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1918 국민회(國民會)를 대표하여 김규식(金奎植) 등과 39인 대표로 독립선언문에 서명 발표하고 한족독립기성회(韓族獨立期成會) 조직 및 자유시참변 성토대표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봉재
한자명
李鳳宰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0 ~ 1921
본적
경상북도 문경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4년

공적개요

1907년 경 이강년 의진(李康秊義陣)의 좌종사(坐從事)로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봉조
한자명
운동계열
노령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1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21년 12월 러시아 연해주 이만에서 대한의용군 2중대 중대원으로 일본군의 지원을 받는 러시아 백군(白軍)과 전투를 벌이다 전사 순국함.

이봉조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봉조
한자명
李鳳兆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5 ~ 1962
본적
경상북도 경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9년

공적개요

1907년 음(陰) 5월 경북(慶北) 청도(淸道)에서, 동년(同年) 음(陰) 9월~10월 동도(同道) 경주(慶州)에서 의병(義兵)으로 군자금 모집 활동을 전개하다 체포되어 징역 1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봉수

한자명

李鳳壽

생몰년도

1878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의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순

한자명

李奉順

생몰년도

1880 ~ 195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4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청양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술

한자명

李鳳術

생몰년도

1881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7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북도 영덕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식

한자명

李奉植

생몰년도

1896 ~ 193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은율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양

한자명

李鳳陽

생몰년도

1924 ~ 2013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연

한자명

李鳳然

생몰년도

1893 ~ 194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영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영

한자명

李鳳泳

생몰년도

1877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7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해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우

한자명

李奉堣

생몰년도

미상 ~ 1919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1991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삭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우

한자명

李鳳雨

생몰년도

1873 ~ 1921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80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동래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재

한자명

李鳳宰

생몰년도

1860 ~ 1921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4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문경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조

한자명

생몰년도

미상 ~ 1921

운동계열

노령방면

포상훈격

202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조

한자명

李鳳兆

생몰년도

1885 ~ 1962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9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경산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