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백이
한자명
李柏伊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5 ~ 1966
본적
경상북도 영덕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20년11월 경북(慶北) 영덕군(盈德郡) 창수면(蒼水面)과 병곡면(柄谷面) 일대(一帶)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군자금(軍資金)을 모집(募集)하기 위하여 김기학(金奇鶴) 김덕문(金德文)과 함께 활동(活動)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백초
한자명
李白草
운동계열
노령방면
생몰년도
1895 ~ 1934
본적
외국 러시아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20년 평양(平壤), 서울 등지에서 노동운동(勞動運動)을 하다가 이듬해 러시아로 망명하고 1923년부터 노령(露領) 하바로브스크에서 「선봉(先鋒)」지의 사장(社長)을 역임하는 한편 고려공산당원(高麗共産黨員)으로 교육 운동(敎育運動)을 전개하였으며 1924년에는 3·1운동 제5주년 만세 운동(萬歲運動)을 계획, 서울에 잠입하여 활동하고 이후 하바로브스크에 돌아와 1930년까지 「선봉(先鋒)」의 책임(責任) 주필(主筆)을 역임하면서 노동운동(勞動運動) 및 문화운동(文化運動)을 전개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백춘
한자명
李白春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13 ~ 1966
본적
전라남도 강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32년 8월 일본 대판에서 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회 금속대판지부(金屬大阪支部) ‘함마분회’에 소속되어 활동하다 체포되어 1934년 5월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2년을 받고, 1941년 12월 비상조치에 의하여 예방구금됨.

인물정보

성명
이백하
한자명
李柏夏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1985
본적
충청남도 천안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3.1 운동에 참여하여 독립만세시위와 관서파괴 활동으로 2년형을 받은 공적이 확인됨.

이백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백현
한자명
李白鉉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2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9년

공적개요

1922년 4월 10일 대한국민단(大韓國民團) 경호부(警護部) 및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 군무부(軍務部) 유격대(遊擊隊) 소속의 결사대장(決死隊長)으로서 일제 고관 암살과 관공서 습격을 목적으로 만주에서 국내에 진공하였다가 평북(平北) 후창군(厚昌郡) 동흥면(東興面)에서 일경(日警)과 조우하여 교전(交戰) 끝에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범교
한자명
李範敎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88 ~ 1951
본적
경상북도 영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월 중국(中國) 상해(上海)로 망명(亡命)하여 임시정부 수립(臨時政府樹立)에 참여(參與)하고 교통위원(交通委員)에 임명(任命)되어 활동(活動)하다 임정(臨政) 경북특파원(慶北特派員)으로 임명(任命)되어 경북지방(慶北地方)을 중심(中心)으로 항일 선전(抗日宣傳), 군자금 모집(軍資金募集), 임정 연락 임무(臨政連絡任務)를 수행(遂行)하는 등 공적(功績)이 확인됨

이범교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범기
한자명
李範箕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0 ~ 미상
본적
충청북도 단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3년

공적개요

1908년 충북(忠北) 단양군(丹陽郡)에서 의병 소모장(召募將)으로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7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범기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범기
한자명
李範驥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4 ~ 1965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19년 3월경 경기도 용인군 원삼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만세시위를 벌이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태 9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범모
한자명
李範模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77 ~ 1924
본적
함경북도 경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7월 간도(間島)에서 이범윤계(李範允系) 의병(義兵) 및 국민의회파(國民議會派)의 인물로 조직된 창의단(倡義團)의 단장(團長)으로 활동(活動)하였으며 이후 이범윤(李範允) 등이 연길(延吉)에 조직한 의군단(義軍團) 서지방부장(西地方部長)으로 활동하다가 1921년 일경(日警)에 피체(被逮)되어 1928년경(年頃) 옥중 순국(獄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범석
한자명
李範奭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00 ~ 1972
본적
서울 미상
포상훈격
대통령장
포상년도
1963년

공적개요

1. 1919년 12월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의 연성대장 취임(硏成隊長就任) 2. 1920년 4월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경영(經營)의 신흥무관학교 교관 취임(新興武官學校敎官就任) 3. 1920년 9월20일 총사령(總司令) 김좌진(金佐鎭)과 함께 근거지(根據地)인 장백산(長白山)으로 이동(移動)하기 위(爲)하여 여행단 조직단장(旅行團組織團長)에 임명(任命)됨. 4. 1920년10월 청산리전투(靑山里戰鬪)에서 제2중대장(第二中隊長)으로 활약(活躍) 일군(日軍)3개 여단(個旅團)과 교전(交戰) 적(敵)의 사상자(死傷者) 3,300여명(餘名)을 내게함. 5. 1923년 5월 연길현 명월구(延吉縣明月溝)에서 김규식(金奎植)과 함께 고려혁명군(高麗革命軍)을 조직(組織)하고 기병사령(騎兵司令)에 취임(就任)함. 6. 1941년 9월17일 중경(重慶)에서 대한광복군(大韓光復軍)을 창설(創設) 참모장(參謀長)에 취임(就任)하여 항일투쟁 중(抗日鬪爭中) 해방(解放)됨. (조선민족운동연감(朝鮮民族運動年鑑) p213, p252, p93,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310, p 313, p312, p314, p322, p356, p357, p378, p380, 무장독립운동비사(武裝獨立運動秘史) p53, p86, p205)

인물정보

성명
이범석
한자명
李範錫
운동계열
의열투쟁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경상북도 영덕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05년(광무9년(光武九年)) 오조약(五條約)을 체결(締結)한 군부대신(軍部大臣) 이근택(李根澤)을 자택(自宅)에서 기산도의사(奇山度義士)와 같이 검자(劍刺)하여 생명(生命)을 위독(危篤)하게한 오적암살(五賊暗殺)을 위하여 활약(活躍)한 의사(義士)임(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新報). 잡설(雜說). 사설(社說). 시시편편(時時片片))

인물정보

성명
이범성
한자명
李範成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67
본적
경상북도 칠곡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7일 경북(慶北) 칠곡군(漆谷郡) 인동면(仁同面)에서 이상백(李相佰), 이내성(李乃成) 등과 독립만세’(獨立萬歲) 운동(運動)을 일으키기로 결의, 동민(洞民) 60여명을 권유하여 모집하고 동월(同月) 12일부터 14일사이에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를 곳곳에 붙인 후 마을 뒷산 기슭에서 독립만세를 외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逮捕)되어 불기소(不起訴) 처분을 받음.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백이

한자명

李柏伊

생몰년도

1895 ~ 1966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덕

자세히 보기

성명

이백초

한자명

李白草

생몰년도

1895 ~ 1934

운동계열

노령방면

포상훈격

2006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외국 러시아

자세히 보기

성명

이백춘

한자명

李白春

생몰년도

1913 ~ 1966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2019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강진

자세히 보기

성명

이백하

한자명

李柏夏

생몰년도

1899 ~ 198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천안

자세히 보기

성명

이백현

한자명

李白鉉

생몰년도

미상 ~ 192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9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범교

한자명

李範敎

생몰년도

1888 ~ 1951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범기

한자명

李範箕

생몰년도

1880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3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북도 단양

자세히 보기

성명

이범기

한자명

李範驥

생몰년도

1884 ~ 196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범모

한자명

李範模

생몰년도

1877 ~ 1924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북도 경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범석

한자명

李範奭

생몰년도

1900 ~ 1972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63대통령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범석

한자명

李範錫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의열투쟁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북도 영덕

자세히 보기

성명

이범성

한자명

李範成

생몰년도

1890 ~ 196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칠곡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