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득수
한자명
李得洙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9 ~ 1968
본적
평안남도 강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3.1운동에 참여하였고 군자금 모금을 하다 피체되어 7년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제령(制令) 제7호(號) 위반죄로 5년3월 징역형을 선고받아 3년6월 복역함.

이득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득우
한자명
李得雨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5 ~ 2014
본적
평안북도 박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44. 12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제3지대 입대(入隊) 2. 1945. 8 국내정진공작대(國內挺進工作隊) 파괴반(破壞班) 피명(被命)

인물정보

성명
이득춘
한자명
李得春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3 ~ 미상
본적
전라북도 정읍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6년

공적개요

1909년 1월과 8월 사이에 전북(全北) 정읍(井邑)‧흥덕군(興德郡)에서 김영백 의진(金永伯義陣)에 참여하여 군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7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란
한자명
李欄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25 ~ 2011
본적
강원도 기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38, 여운형(呂運亨)으로부터 독립사상을 감화받아 독서회(讀書會)를 조직하여 활동하다가 피검되어 징역 단기 1년, 장기 3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만규
한자명
李晩煃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45 ~ 1921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이만도(李晩燾)의 아우로서 1919. 3월 파리강화회의에 한국독립을 호소하기 위하여 김창숙(金昌淑)등이 유림대표(儒林代表)가 되어 작성한 독립청원서에 유림(儒林)의 한 사람으로 서명(署名)한 특수공적(特殊功績)이 인정(認定)됨.

인물정보

성명
이만년쇠
한자명
李萬年釗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8 ~ 미상
본적
경기도 광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7년

공적개요

1907년 음력 8월 이래 경기도(京畿道) 광주군(廣州郡)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의병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종신유형(終身流刑)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만도
한자명
李晩燾
운동계열
계몽운동
생몰년도
1842 ~ 1910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2년

공적개요

1. 고종시(高宗時) 공조참의(工曹參議)를 역임(歷任) 병자수호조약 이래(丙子修護條約以來) 승정원(承政院) 동부승지(同副承旨)로 불렀으나 부응(不應) 향리(鄕里)에서 후진 교육(後進敎育)에 전력(全力) 2. 을사조약시(乙巳條約時) 오적(五賊)을 처벌(處罰)코 조약(條約)을 해소(解消)하자는 소상(疏狀)을 올림 3. 1910년 합방 소식(合邦消息)을 듣고 8월 14일부터 단식 후(斷食后) 24일만에 아사(餓死)

인물정보

성명
이만동
한자명
李萬童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6 ~ 1987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28. 6-8월 광주고등보통학교(光州高等普通學校) 재학생(在學生) 교우(校友) 이경변(李景釆)의 퇴학 처분(退學處分)에 항거(抗拒)하여 교장(校長)에게 복교(復校)를 요구(要求)하였으나 받아들이지 못하고 오히려 27명(名)이 퇴학(退學)당하고 181명(名)이 무기정학(無期停學)을 당(當)하자 맹휴중앙본부(盟休中央本部)를 광주(光州)에 설치(設置) 식민지 교육(植民地敎育)의 지양(止揚)과 조선인 본위(朝鮮人本位)의 교육 실현(敎育實現)을 요구(要求)하며 맹휴(盟休)의 정당성(正當性)을 주장(主張) 끝까지 항거(抗拒)할 것과 피압박(被壓迫) 백의민족(白衣民族)의 해방(解放)을 위한 투쟁(鬪爭)임을 선언(宣言)하는 동시(同時) 식민지 교육(植民地敎育)을 규탄(糾彈)하는 항의문(抗議文) 400여통(餘通)을 작성(作成)하여 전남도내(全南道內) 각(各) 공립보통학교장(公立普通學校長)에게 발송(發送)하는 등 활동(活動)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만봉
한자명
李萬逢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90 ~ 미상
본적
충청북도 청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7. 8월 유덕삼 의진(柳德三義陣)에 가담하여 충북(忠北) 청주(淸州), 보은(報恩)지방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동을 벌이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7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만봉
한자명
李萬奉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1 ~ 미상
본적
충청남도 서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19년 4월경 충남 서산군 대호지‧정의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기소유예 처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만삼
한자명
李萬三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3 ~ 1908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08.2월 의병진(義兵陣)에 가담하여 충남(忠南) 부여(扶餘) 등지에서 활동하던 중 피체되자 호송시 탈주하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만석
한자명
李萬石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8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08년 1월 19일 경북(慶北) 대구(大邱)에서 이중군 의진(李中軍義陣)의 제4초장(哨長)으로 활동하던 중 일본군(日本軍) 보병(步兵) 제14연대(聯隊)와 접전(接戰)을 벌이다 체포되어 도주를 시도하였으나 사살(射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득수

한자명

李得洙

생몰년도

1899 ~ 1968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강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득우

한자명

李得雨

생몰년도

1925 ~ 2014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박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득춘

한자명

李得春

생몰년도

1883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6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정읍

자세히 보기

성명

이란

한자명

李欄

생몰년도

1925 ~ 2011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만규

한자명

李晩煃

생몰년도

1845 ~ 192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만년쇠

한자명

李萬年釗

생몰년도

1878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7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기도 광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만도

한자명

李晩燾

생몰년도

1842 ~ 1910

운동계열

계몽운동

포상훈격

1962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만동

한자명

李萬童

생몰년도

1906 ~ 1987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2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나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만봉

한자명

李萬逢

생몰년도

1890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북도 청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만봉

한자명

李萬奉

생몰년도

1901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서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만삼

한자명

李萬三

생몰년도

1863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6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만석

한자명

李萬石

생몰년도

미상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6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