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남규
한자명
李南珪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55 ~ 1907
본적
충청남도 예산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2년

공적개요

1. 1893년에 입도(入都) 왜병척축소(倭兵斥逐疏)를 올렸고 2. 1894년에 청절왜소(請絶倭疏)를 올렸고 3. 1895년 을미사변(乙未事變)에 복수토적소(復讎討賊疏)를 올렸고 4. 1905년 보호조약(保護條約)이 체결된 후 비장한 청군신상하배성일전소(請君臣上下背城一戰疏)를 올려 전국민의 애국심을 끌게 하였고 5. 1906년에 의병장(義兵將) 민종식(閔宗植)이 도피해 오므로 그 집에 피신 은닉케 하여 무사히 살게 하였다 6. 1907년 8월에 일병(日兵) 30여명이 졸지에 습격하여 서울로 압송하는 도중 온양역전(溫陽驛前) 노상(路上)에서 돌연히 군도(軍刀)로 목을 치려하니 공(公)이 태연히 칼을 받어 순사(殉死)하였다

인물정보

성명
이남기
한자명
李南琦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19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0년

공적개요

1919. 3월 경기도(京畿道) 파주군(坡州郡)에서 독립만세 시위 운동(獨立萬歲示威運動)에 참여하여 활동하다가 일병(日兵)의 쇠갈쿠리에 중상(重傷)을 입고 이튿날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남률
한자명
李南律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3 ~ 1950
본적
충청남도 서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9. 3월 전북 군산 시내 가두에서 문종묵(文鍾黙) 등과 함께 군민들에 대하여 독립시위운동에 참가하도록 호소하였으며, 동년 3월 23일밤 김수남(金壽南)과 같이 학생들의 민족의지를 탄압하는 군산보통학교(群山普通學校)를 방화하다 피체되어 징역 7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남세
한자명
李南世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1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0. 11. 1 만주(滿洲) 훈춘(琿春)에서 군자금(軍資金) 모집(募集) 활동중(活動中) 일군(日軍)에게 피체(被逮)되어 참살(斬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남숙
한자명
李南淑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3 ~ 미상
본적
경상북도 대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8일 경북 대구 서문 장터에서 이만집(李萬集) 등이 주도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다수의 군중과 함께 시내를 행진하며 독립만세를 외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남순
한자명
李南順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4 ~ 미상
본적
전라남도 목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2년

공적개요

1921년 11월 14일 전남(全南) 목포(木浦)에서 정명여학교(貞明女學校) 재학 중 워싱턴회의에 조선 독립문제 상정을 촉구하기 위해 태극기를 흔들며 조선독립만세를 외치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남순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남용
한자명
李南用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7 ~ 미상
본적
전라북도 임실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09년 2월부터 전북(全北) 임실(任實)․남원(南原)․장수군(長水郡) 등지에서 이석용 의진(李錫庸義陣)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았으며, 1913년 2월에도 전북(全北) 임실군(任實郡)에서 동 의진(義陣)에 참여하여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0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남종
한자명
李南鍾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1982
본적
충청남도 홍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초 충남(忠南) 홍성군(洪城郡) 금마면(金馬面)에서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하며 시위 운동(示威運動)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남직
한자명
李南稙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0 ~ 2005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37년 경북(慶北) 안동군(安東郡) 안동공립농업학교(安東公立農業學校)에 재학 중 동교생(同校生) 송필학(宋必鶴)에게 독립운동을 권유하는 내용의 서신을 보냈으며, 1939년 12월 안동군(安東郡) 풍산면(豊山面) 상리동(上里洞) 소재 자택에서 이해직(李海稙)이 한국인의 민족의식 고양에 힘써 조국독립(祖國獨立)의 기운을 조장시킬 것을 거론하자 이에 동의하였고, 1940년 3월 이해직(李海稙)에게 창씨제도 제정을 기회로 조국의 독립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한국인의 민족의식을 고양시키는 데에 힘써야 한다고 제의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남채
한자명
李南彩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미상
본적
전라남도 광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2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0일 전라남도(全羅南道) 광주군(光州郡)에서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선언서를 배포하는 등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남호
한자명
李南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2 ~ 1934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3월 초순(初旬) 경(頃) 경북(慶北) 안동군(安東郡) 예안면(禮安面) 사무소에서 신응두(申應斗), 신동희(申東熙) 등 수명과 회합하여 면장 신상면(申相冕)의 제의에 따라 3월 17일 예안(禮安) 장날을 이용하여 다수인이 집회한 기회를 타서 대한독립만세 시위운동을 결행할 것을 계획하고 비밀리에 군중을 규합하여 동일 오후 3시 30분 경 시장에 모인 군중과 함께 대한독립만세를 고창하면서 시위행진을 전개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내구
한자명
李內逑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7
본적
전라북도 전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4년

공적개요

1907년 12월 전북(全北) 정읍군(井邑郡) 고부면(古阜面)에서 의병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피살(被殺), 순국(殉國)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남규

한자명

李南珪

생몰년도

1855 ~ 1907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62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예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남기

한자명

李南琦

생몰년도

1898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남률

한자명

李南律

생몰년도

1903 ~ 195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3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서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남세

한자명

李南世

생몰년도

1891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남숙

한자명

李南淑

생몰년도

1903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북도 대구

자세히 보기

성명

이남순

한자명

李南順

생몰년도

1904 ~ 미상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1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남도 목포

자세히 보기

성명

이남용

한자명

李南用

생몰년도

1887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5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임실

자세히 보기

성명

이남종

한자명

李南鍾

생몰년도

1893 ~ 198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홍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남직

한자명

李南稙

생몰년도

1920 ~ 2005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6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남채

한자명

李南彩

생몰년도

1899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2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남도 광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남호

한자명

李南鎬

생몰년도

1882 ~ 193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내구

한자명

李內逑

생몰년도

미상 ~ 1907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4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전주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