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광우
한자명
李光雨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5 ~ 2007
본적
경상남도 부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0년

공적개요

1944년 부산(釜山)에서 비밀결사인 친우회를 결성하여 반일투쟁을 위한 군자금 조달과 일본 군사시설 파괴를 계획하다 체포되어 징역 단기(短期) 1년 장기(年長期) 3년을 받고 옥고(獄苦) 1년 5월 20일을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이광우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광춘
한자명
李光春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4 ~ 2010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29.10월 전남(全南) 나주(羅州)에서 광주여고보(光州女高普) 3학년 학생으로서 박기옥(朴己玉), 이금자(李錦子) 등 동료 학생들과 함께 기차(汽車)로 통학하던 중 일본인 중학생들이 그녀와 박기옥(朴己玉) 등 여학생들을 희롱하자 광주고보학생(光州高普學生)들과 광주중학교(光州中學校) 일인 학생(日人學生)들이 충돌하여 광주학생운동(光州學生運動)의 촉발계기가 되었으며, 그 후 피체된 학생들의 석방을 주장하며 백지동맹(白紙同盟)을 주도함으로써 학교에서 퇴학을 당하고 일경(日警)에 체포되어 갖은 고문을 당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광하
한자명
李光河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4 ~ 1927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26년 만주(滿洲) 집안현(輯安縣)에서 독립단(獨立團) 참의부(參議府) 제2중대장(中隊長)으로 활동하다 중국(中國) 관헌(官憲)에게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광한
한자명
李光翰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9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만주(滿洲)에서 정의부원(正義府員)으로 활동(活動)하다가 1927년경(年頃) 일경(日警)에 피체(被逮)되어 신의주지방법원(新義州地方法院)에서 징역 6년을 받고 옥고(獄苦) 중1929. 10. 26 지병(持病)으로 옥사(獄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광헌
한자명
李光憲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5 ~ 1969
본적
충청남도 홍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2일경(日頃) 충남(忠南) 홍성군(洪城郡) 홍성시장에서 대한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운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광혁
한자명
李光爀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7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선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20년 음(陰) 8월 중국(中國) 관전현(寬甸縣)에서 광한단(光韓團)에 가입하여, 동년(同年) 11월부터 1921년 3월까지 평북(平北) 정주(定州)에서 군자금 모집 활동을 하다 체포(逮捕)되어 무기징역(無期懲役)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후 1939년 12월 가출옥(假出獄)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광호
한자명
李光浩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6 ~ 1923
본적
평안북도 창성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2년

공적개요

1. 3·1운동(運動)때 남만주(南滿洲) 독립단(獨立團)에 가입하여 흥경보민회(保民會) 토벌(討伐)에 많은 전과(戰果)를 걷음. 2. 1920년 7월 평북 벽동경찰서를 습격, 군자금을 모집하다가 왜경과 충돌, 격전 끝에 중상(重傷)을 당하고 1922년 1월 19일에 순국(殉國)함.

인물정보

성명
이광호
한자명
李洸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5 ~ 1942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3.17 예안(禮安)독립만세시위를 모의하고 동지를 규합하는 등 적극적으로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1919.5.19 고등법원(高等法院)에서 징역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광훈
한자명
李光勳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24 ~ 1943
본적
강원도 홍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41. 3월 춘천중학교(春川中學校) 3학년에 재학시 일인(日人)학생과의「싸움」이 대규모로 발생하자 일경들은 한국인 학생들에게만 탄압하고 감시할 때 독서 운동(讀書運動)이 탐지되어 피체되고 1942. 5. 26 징역 단기 1년, 장기 3년을 받고 복역 중 1943. 5월 옥사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이광훈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광희
한자명
李光熙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5 ~ 1943
본적
충청남도 연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4. 13 충남(忠南) 연기군(燕岐郡) 전의면(全義面) 읍내리(邑內里) 장날을 이용하여 이수욱(李秀郁) 등과 함께 독립만세’(獨立萬歲) 시위 운동(示威運動)을 일으켜 군중을 선도하여 이들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며 읍내(邑內) 각처를 시위행진 하는 등 활동을 전개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굉상
한자명
李宏祥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1932
본적
경상남도 창원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이갑성(李甲成)으로부터 독립선언서 수십매를 받고 선언서 교부 및 시위운동 실행을 촉구하라는 권유에 응하여 경남 마산에 가서 임학찬(任學瓚) 등에게 배부하고 독립만세운동을 일으킬 것을 권유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무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교관
한자명
李敎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66
본적
강원도 춘천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31일 강원도(水原道) 춘천군(春川郡) 사북면(史北面)에서 최기환(崔基桓)·김공모(金公模) 등과 회합하여 독립만세시위를 계획하고 리민(里民)에게 독립만세시위에 가담할 것을 권유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광우

한자명

李光雨

생몰년도

1925 ~ 2007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부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광춘

한자명

李光春

생몰년도

1914 ~ 2010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6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나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광하

한자명

李光河

생몰년도

1904 ~ 1927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08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광한

한자명

李光翰

생몰년도

미상 ~ 1929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광헌

한자명

李光憲

생몰년도

1895 ~ 196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홍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광혁

한자명

李光爀

생몰년도

1897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1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선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광호

한자명

李光浩

생몰년도

1896 ~ 1923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62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창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광호

한자명

李洸鎬

생몰년도

1885 ~ 194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광훈

한자명

李光勳

생몰년도

1924 ~ 1943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홍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광희

한자명

李光熙

생몰년도

1895 ~ 194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연기

자세히 보기

성명

이굉상

한자명

李宏祥

생몰년도

1893 ~ 193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창원

자세히 보기

성명

이교관

한자명

李敎寬

생몰년도

1890 ~ 196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8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춘천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