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계춘
한자명
李啓春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4 ~ 1989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29. 11. 3 광주공립고등보통학교(光州公立高等普通學校), 광주농업학교(光州農業學校) 학생들과 함께 광주 읍내를 시위행진하였으며, 동년(同年) 11월 12일에는 농업학교 학생 2백 여명과 함께 시위행진하다가 피체(被逮)되어 금고(禁錮) 6월 집행유예(執行猶豫) 5년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이계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계한
한자명
李啓漢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8 ~ 1961
본적
충청남도 예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8년

공적개요

1937. 10월 마을 구장 홍종희(洪琮熹) 등 4명이 동석한 자리에서 “중국이 자고있는 돼지라면 일본은 자고있는 개보다도 못하다. 장개석(蔣介石)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인물로서 이번 사변에서 중국이 진 것은 운이 나빠서 진 것일 뿐 장개석의 전쟁전략이 나빠서 진 것은 아니다. 일본의 정치는 사기적 정치인 까닭에 그것에 속아 패한 것이며 신문에 연전연승 운운은 반만 믿어야 한다” 라고 역설하는 한편 구장의 군용마량(軍用馬糧) 보리공출 요구에 반대하다 피체(被逮)되어 조언비어(造言飛語) 및 보안법(保安法) 위반으로 금고 3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계환
한자명
李桂煥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20
본적
경상북도 성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7일 경북(慶北) 성주군(星州郡) 가천면(伽泉面)에서 김명준(金命俊)의 권유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정길수(鄭吉洙) 등 마을 주민과 함께 대한독립만세(大韓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후 순국(殉國)함.

인물정보

성명
이고경
한자명
李古鏡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2 ~ 1943
본적
경상남도 합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22년 서울에서 조선불교청년회(朝鮮佛敎靑年會) 상무간사(常務幹事)로 선임되었으며, 1942년 12월 24일 경남(慶南) 합천(陜川)에서 치안유지법위반(治安維持法違反)으로 체포(逮捕)된 후 28일 만에 사망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고명
한자명
李高命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5 ~ 미상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31년 12월 서울에서 조선공산당 재건공작위원회 활동을 하던 김창수(金昌洙)가 체포되자 김창수가 소지하고 있던 선전물을 숨겨주었다가 체포되어 징역 8월, 집행유예 2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공서
한자명
李公瑞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2 ~ 미상
본적
강원도 영월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7년

공적개요

1907년 8월 강원도(水原道) 영월군(寧越郡)에서 정병하 의진(鄭丙夏義陣)에 참여하여 군자금모집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5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공업
한자명
李共業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91 ~ 미상
본적
경기도 기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6년

공적개요

1909년 음력 9월 경 경기도(京畿道) 마전(麻田)‧연천군(漣川郡)에서 김시경 의진(金時京義陣)에 참여하여 군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3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공우
한자명
李公雨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6 ~ 1954
본적
경기도 부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4일 경기도(京畿道) 부천군(富川郡) 계양면(桂陽面) 장기리(場基里) 시장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한 심혁성(沈爀誠)의 체포를 저지하려다 숨진 이은선(李殷先)의 사인 규명과 만행규탄 회합에 참석하지 않은 면서기를 응징하다 체포되어 벌금(罰金) 20원(圓)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관
한자명
李瓘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0 ~ 1928
본적
경상남도 산청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2월 천도교전도사(天道敎傳道師) 및 편집원(編輯員)으로 손병희(孫秉熙), 이종일(李鍾一)과 함께 3.1운동봉기에 뜻을 같이하고 33인명의 독립선언서를 지방으로부터 상경한 대표에게 배부하며 활동하다가 격문기초자로서 피체되어 징역 7월, 3년간 집행유예를 받아 미결로 8월 6일간 옥고를 치루었으며 1921년 미국(美國)「워싱턴」에서 군축문제를 다룰 열강회의에 한국의 독립을 승인케 하고저 태평양회의 독립청원서에 국민대회 대표의 자격으로 서명하므로서 2년 7월간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관구
한자명
李觀求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5 ~ 1953
본적
황해도 송화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3년 음 4월 광복회원(光復會員)으로서 서간도(西間島)에 무관학교(武官學校) 설립할 것을 이시영(李始榮)과 계획하고 1916년 음 6월 성낙규(成樂奎) 등에서 권총을 수교 총독 암살을 지령하는 등 활동하다 서간도(西間島)에서 일헌에 체포되어 내란예비 살인예비 등 수모죄로 5년형이 상고심에서 확정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관규
한자명
李觀圭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63
본적
충청남도 보령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4월경 충남 보령군 주산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만세시위를 벌이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태 6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관석
한자명
李寬錫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70 ~ 1942
본적
평안북도 자성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77년

공적개요

1923.11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의병대 사령관(義兵隊司令官)의 명(命)을 받고 국내(國內) 구성산시 주둔중(龜城山市駐屯中) 일 경찰부대(日警察部隊)와 교전(交戰)을 위시(爲始) 1927.3 주만참의부(駐滿參議府) 제6행정부위원장(行政府委員長)으로 취임(就任)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계춘

한자명

李啓春

생몰년도

1914 ~ 1989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5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나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계한

한자명

李啓漢

생몰년도

1888 ~ 1961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예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계환

한자명

李桂煥

생몰년도

1898 ~ 192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성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고경

한자명

李古鏡

생몰년도

1882 ~ 1943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1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합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고명

한자명

李高命

생몰년도

1905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9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공서

한자명

李公瑞

생몰년도

1872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7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강원도 영월

자세히 보기

성명

이공업

한자명

李共業

생몰년도

1891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6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기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이공우

한자명

李公雨

생몰년도

1876 ~ 195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부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관

한자명

李瓘

생몰년도

1860 ~ 192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산청

자세히 보기

성명

이관구

한자명

李觀求

생몰년도

1885 ~ 1953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송화

자세히 보기

성명

이관규

한자명

李觀圭

생몰년도

1890 ~ 196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보령

자세히 보기

성명

이관석

한자명

李寬錫

생몰년도

1870 ~ 194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77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자성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