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갑이
한자명
李甲伊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1929
본적
경상남도 부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4.8 부산진공립보통학교(釜山鎭公立普通學校) 재학시(在學時) 동교생(同校生) 김애련(金愛連) 전호봉(全浩鳳)과 함께 주동(主動)이 되어 일신여학교생(日新女學校生) 50여명(餘名)과 인근주민(隣近住民) 수백명(數百名)을 규합(糾合)하여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전개(展開)하였으며 주동 인물(主動人物)들이 일경(日警)에게 피체(被逮)되자 육박전(肉薄戰)으로 이에 대항(對抗)하며 구출(救出)을 시도(試圖)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0월을 받았으나 주동자(主動者)로서 미결기간(未決期間)을 합산(合算)하여 11월 12일간의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갑준
한자명
李甲俊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7 ~ 1968
본적
전라남도 완도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24. 9. 15. 전남(全南) 완도군(莞島郡) 소안면(所安面)에서 노농연합대성회(勞農聯合大成會) 제2회 정기총회(定期總會)를 개최하고 입석(立席)한 일경(日警)의 퇴장을 명한 후 소작인(小作人)을 기만한 악질 지주(惡質地主)와의 절교(絶交)를 결의하며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에 집행유예(執行猶豫)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갑준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강
한자명
李剛
운동계열
계몽운동
생몰년도
1878 ~ 1964
본적
평안남도 용강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2년

공적개요

1. 미국에서 안창호(安昌浩)와 국민회(國民會)를 조직하여 독립운동을 전개 2. 해삼위(海蔘威)에서는 대동공보(大同共報) 주필로 조국의 독립을 고취하고 3. 안중근 의사(安重根義士)의 이등(伊藤) 살해에 협조하는 등 많은 활약을 하였다

인물정보

성명
이강년
한자명
李康秊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58 ~ 1908
본적
경상북도 문경
포상훈격
대한민국장
포상년도
1962년

공적개요

1. 1895년 을미사변(乙未事變)이 나자 문경(聞慶)에서 의병(義兵)을 일으켜 안동감찰사(安東監察使) 김석중(金奭中) 등 3인(三人)을 죽이고 유인석(柳麟錫) 휘하(麾下)에 편입 유격장(遊擊將)으로 다수 왜병을 도처 습격 도살(屠殺)했고 익년 유인석(柳麟錫)과 같이 도만(渡滿) 삼년간 있다가 귀국함 2. 1906년에 왜인(倭人)들이 고종(高宗)을 위협해서 양위(讓位)하라는 소문을 듣고 익년 삼월 영춘(永春)에서 다시 의병을 일으켜 각지로 횡행하면서 왜인(倭人)을 만나는 곳마다 습격 도살(屠殺)하였고 강원도 의병대장(江原道義兵大將) 민긍호(閔肯鎬)와 경기도 의병대장(京畿道義兵大將) 허위(許蔿)와 상호연락하면서 왜병 대부대(倭兵大部隊)와 여러번 싸워 기세를 올렸으나 3. 1908년 2월 가평(加平)에서 경성 주둔 왜병(京城駐屯倭兵)에게 체포되어 무한 곤욕(無限困辱)에도 굴하지 않고 사형(死刑)을 받았다

인물정보

성명
이강덕
한자명
李康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2 ~ 1955
본적
경기도 양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3.28 양주군(楊州郡) 구리면(九里面) 아천리(我川里)에서 면서기(面書記)로 같이 근무(勤務)하는 심점봉(沈奌奉) 동지(同志)와 다수 주민(多數住民)을 동원(動員)하여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 시위(示威)하고, 다음날에도 아차산(峨嵯山) 꼭대기에 태극기(太極旗)를 꽂고 군중(群衆)과 시위(示威)하다 일경(日警)에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 6월형(月刑)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강래
한자명
李康來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69 ~ 1932
본적
경상남도 밀양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9년

공적개요

1915년 음(陰) 6월경 독립운동을 위해 협의하던 중, ‘중국(中國) 총통(總統) 원세개(袁世凱)가 구(舊) 한국공사(韓國公使) 시기에 고종(高宗) 황제(皇帝)로부터 빌린 은(銀) 26만 냥을 양도(讓渡)받아 독립운동 자금으로 사용하고 원세개(袁世凱)에게 만국평화회의(萬國平和會議)에서 한국의 독립을 제안하게 하는 한편, 중국(中國) 간도(間島)로 이주하여 독립운동의 근거지를 건설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이를 위하여 동지 규합과 자금 모집을 계획하다 체포(逮捕)되어 징역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강래
한자명
李康來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1 ~ 1967
본적
경기도 경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27년부터 겨레의 말과 글을 중(重)히 여겨 조선어학회(朝鮮語學會)(한글학회(學會))의 회원(會員)으로 가입(加入)되어 한글보존(保存)과 우리문화발전(文化發展)을 위하여 헌신(獻身)함은 물론(勿論) 후학 양성(後學養成)에 진력(盡力)하였으며 1942년 조선어학운동(朝鮮語學運動)으로 체포되어 징역 1년의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강렴
한자명
李康濂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2 ~ 1927
본적
충청북도 충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4.1 충북 중원군 신니면 용원 장터에서 단경옥(段慶玉) 등과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준비하여 운집한 군중과 함께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후 독립만세를 고창하다가 피체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강률
한자명
李康律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2 ~ 1944
본적
경상남도 하동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19. 4. 11 경남(慶南) 하동군(河東郡) 화개면(花開面) 시장에서 장날을 이용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모의하고 군중을 규합하기 위한 문서 1통을 작성하여 그 날 밤 임문규(林文奎)를 시켜 왕래가 빈번한 화개면(花開面) 사무소 앞 돌에 붙이고 다시 자신이 직접 면사무소 직원들로 하여금 사직하고 독립만세 운동에 동참하라는 내용의 협박문을 작성하여 직원의 눈에 띄기 쉬운 곳에 붙이는 등 활동(活動)을 전개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강률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강만
한자명
李康晩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1 ~ 1956
본적
전라북도 익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41년 7월 전북(全北) 익산군(益山郡)에서 지인들에게 우리들은 조선의 혼을 가진 조선인으로 일본을 수중에 넣어야 한다는 의미의 말을 하였다가 검거되어 동년(同年) 12월 전주지법(全州地法)에서 징역 6월을 받고 옥고를 치른 후 이듬해 6월 19일 출옥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강목
한자명
李康牧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7 ~ 1983
본적
전라북도 임실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27년 2월경 일본(日本) 대판(大阪)에서 조선청년총동맹(朝鮮靑年總同盟) 대판지국(大阪支局)에 가입한 후 귀국하여 고향인 전북(全北) 임실군(任實郡) 둔남면(屯南面) 둔덕리(屯德里)에서 청년회(靑年會) 회원으로 노동야학(勞動夜學)을 실시하였고 1932년 4월 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 재건운동(再建運動)의 일환으로 전북혁명전위동맹(全北革命前衛同盟)을 조직하고 노동부(勞動部) 책임자로 활동하다가 체포(逮捕)되어 징역 2년에 집행유예(執行猶豫) 4년을 받기까지 2년 3월여(月餘)의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강문
한자명
李康文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0 ~ 1952
본적
경상북도 문경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9년

공적개요

1907년에서 1908년까지 이강년의병李康秊義兵 의진義陳에서 좌종사坐從事로 활동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갑이

한자명

李甲伊

생몰년도

1897 ~ 192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부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갑준

한자명

李甲俊

생몰년도

1897 ~ 1968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완도

자세히 보기

성명

이강

한자명

李剛

생몰년도

1878 ~ 1964

운동계열

계몽운동

포상훈격

1962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용강

자세히 보기

성명

이강년

한자명

李康秊

생몰년도

1858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62대한민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문경

자세히 보기

성명

이강덕

한자명

李康悳

생몰년도

1892 ~ 195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양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강래

한자명

李康來

생몰년도

1869 ~ 193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09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밀양

자세히 보기

성명

이강래

한자명

李康來

생몰년도

1891 ~ 1967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경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강렴

한자명

李康濂

생몰년도

1902 ~ 192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충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강률

한자명

李康律

생몰년도

1902 ~ 194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하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강만

한자명

李康晩

생몰년도

1921 ~ 1956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익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강목

한자명

李康牧

생몰년도

1907 ~ 1983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임실

자세히 보기

성명

이강문

한자명

李康文

생몰년도

1880 ~ 1952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9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문경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