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윤재문
한자명
尹在文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5 ~ 미상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9일 경 경북(慶北) 안동군(安東郡) 안동읍(安東邑)에서 시위대와 함께 독립만세 운동(獨立萬歲運動)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재병
한자명
尹在炳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9 ~ 1969
본적
전라남도 함평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29년 11월 전남 광주고등보통학교 4학년 재학 중 비밀결사 성진회(醒進會)에 가입하고, 광주학생운동에 참여한 혐의로 체포되어 광주학생운동 관련으로 금고 4월·집행유예 5년, 성진회 관련으로 면소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윤재영
한자명
尹在英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1922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3. 24 경기도(京畿道) 김포군(金浦郡) 고촌면(高村面) 신곡리(新谷里)에서 동지 김정국(金正國)과 함께 윤주섭 외(尹周燮外) 50여명(餘名)을 동원하여 동리(洞里) 뒷산에 집결(集結)한 후(後) 조선독립만세(朝鮮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다 일경(日警)에게 피체(被逮)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재원
한자명
尹在元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74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0.10.22. 만주(滿洲) 흔춘현(琿春縣)에서 독립운동 단체(獨立運動團體)의 일원(一員)으로 양식(糧食)의 공급(供給) 및 가옥 건설(家屋建設)에 종사(從事)하면서 첩보 활동(諜報活動)을 하다가 일군(日軍)에 피체(被逮)되어 흔춘현(琿春縣) 십리평(十里坪)에서 총살(銃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재일
한자명
尹在一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1 ~ 1910
본적
전라북도 순창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08. 7월 양윤숙 의병장(楊允淑義兵將)이 순창(淳昌)에서 창의 시(倡義時)에 입진(入陣)하여 총기(銃器) 20정(挺)으로 무장(武裝)한 동료의병(同僚義兵)40여명(餘名)과 같이 순창군내(淳昌郡內) 여러 부락(部落)에서 일 수비대(日守備隊)와 싸우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2년형(年刑)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재현
한자명
尹在賢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0 ~ 미상
본적
함경북도 회령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4. 6월 중국(中國) 안휘성(安徽省)에서 광복군(光復軍)으로 입대(入隊)하려고 일군(日軍)을 탈출(脫出)하여 동년(同年)7월 광복군(光復軍)에 입대(入隊)하고 임천(臨泉)에 소재(所在)하는 중국(中國) 중앙군관학교(中央軍官學校) 제10분교(分校)에 특설(特設)된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간부훈련반(幹部訓鍊班)에 입소(入所)하여 소정 과정(所定課程)의 훈련(訓練)을 수료(修了)하고 대한민국(大韓民國) 임시정부(臨時政府)로 배치(配置)되어 1945.1.31 중국(中國) 중경(重慶)에 도착(到着)하자 독립신문(獨立新聞)과 중국신문(中國新聞)인 대공보(大公報)에 대서특필(大書特筆)되고 한중 관민(韓中官民)들의 큰 환영(歡迎)을 받았으며 광복군 총사령부(光復軍總司令部) 정훈처(政訓處)에서 O.S.S 요원(要員)으로 선발(選拔)되어 국내정진군(國內挺進軍)으로 편성(編成)된 후(後) 광복(光復)을 맞이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재현
한자명
尹在賢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920 ~ 1991
본적
평안북도 의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82년

공적개요

1944.6월 광복군(光復軍) 제2지대에 입대하여 한미 합작 훈련(韓美合作訓練)을 이수하고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재형
한자명
尹在炯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6 ~ 1945
본적
강원도 양양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6년

공적개요

1944년 7월 초순 경남(慶南) 통영(統營)에서 수산학교(水産學校) 재학 당시 교실에 걸린 일본 궁성(宮城) 사진을 비판하고, 전쟁과 관련된 발언을 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단기(短期) 1년 장기(長期) 3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윤재환
한자명
尹載煥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18 ~ 1938
본적
충청남도 서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34년 3∼4월 경기 개성에서 송도고등보통학교 3학년 재학 중 조선공산당 재건을 위한 학생조직인 AM회 내지 서남회(일명 소나무회) 학생반원으로 회원 모집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기소유예 처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윤점수
한자명
尹點洙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87
본적
전라남도 순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3년

공적개요

1919. 4. 3. 전남(全南) 보성군(寶城郡) 벌교면(筏橋面)에서 동지들과 위친계(爲親稧)를 조직하고 동년 4월 9일 벌교면(筏橋面) 장좌리(長佐里) 시장에서 독립만세 시위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윤점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윤정
한자명
尹淀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4 ~ 1922
본적
충청남도 청양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4월경 충남 청양군 운곡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태 7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윤정구
한자명
尹正九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2 ~ 1953
본적
전라남도 곡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07년 구한말 군인(舊韓末軍人)으로서 고종 퇴위(高宗退位)와 군대해산을 통분하고 구국항쟁의 일념으로 의병에 합류 남원(南原) 곡성(谷城) 구례(求禮) 등지에서 군자금 모집과 일군(日軍)과의 유격전을 하다 피체되어 징역 15년형을 언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윤재문

한자명

尹在文

생몰년도

1865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윤재병

한자명

尹在炳

생몰년도

1909 ~ 1969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함평

자세히 보기

성명

윤재영

한자명

尹在英

생몰년도

1888 ~ 192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김포

자세히 보기

성명

윤재원

한자명

尹在元

생몰년도

1874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윤재일

한자명

尹在一

생몰년도

1871 ~ 1910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순창

자세히 보기

성명

윤재현

한자명

尹在賢

생몰년도

1920 ~ 미상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북도 회령

자세히 보기

성명

윤재현

한자명

尹在賢

생몰년도

1920 ~ 1991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198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의주

자세히 보기

성명

윤재형

한자명

尹在炯

생몰년도

1926 ~ 1945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6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양양

자세히 보기

성명

윤재환

한자명

尹載煥

생몰년도

1918 ~ 1938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202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서산

자세히 보기

성명

윤점수

한자명

尹點洙

생몰년도

1898 ~ 198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순천

자세히 보기

성명

윤정

한자명

尹淀

생몰년도

1894 ~ 192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청양

자세히 보기

성명

윤정구

한자명

尹正九

생몰년도

1882 ~ 1953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곡성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