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검색
TOTAL. 224건
-
김상옥 항거 터
김상옥(1876 - 미상)은 1919년 3·1 운동 직후부터 본격적으로 항일 운동에 뛰어들어, 반일 비밀 조직인 혁신단을 결성한 뒤 지하 신문 《혁신공보(革新公報)》를 발행해 배포했다. 다음 해에는 풍기 시절부터의 동지인 한훈, 북로군정서의 김동순과 함께 요인 암살을 위한 조직을 만들어 구체적인 암살 계획까지 세운 것이 드러나 상하이로 망명했으며, 이곳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김구, 이시영, 신익희, 이동휘, 조소앙 등과 만나 의열단에 가입하였다.1922년 10월 권총 3정과 실탄 800발 및 폭탄 그리고 항일 문서를 휴대하고 서울에 잠입한 뒤 1923년 1월 12일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여 일본인 경찰 및 어용신문 매일신보사의 사원 10여 명에게 부상을 입혔다. 당시 종로경찰서가 독립 운동 탄압의 본산으로 악명이 높은 곳이었기 때문이다. 투척 사건 이후 일본 경찰의 추적을 피해 피신하던 중, 사이토 총독이 회의에 참석하러 도쿄에 간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암살할 목적으로 서울역 주위를 수일간 배회하다가 종로경찰서 무장 경찰 20여 명에게 포위되었다. 그들과 총격전을 벌여 형사부장을 사살하고 경부 20여 명에게 중상을 입혔다. 김상옥은 1월 22일 서울 종로구 효제동에서 1,000여 명의 일본 군경과 3시간 동안 접전을 벌이며 저항하다가 자결했다.
-
순교기념비(산정현교회)
산정현교회 출신 순교자 9명은 신사참배 반대 투쟁을 벌여 일제의 잔혹한 핍박에 저항하였다. 그 중 주기철 목사와 최봉석 목사는 옥고투쟁으로 순교하고 다른 이들은 모두 공산당에 의해 순교했다. 위 순교자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고 '순교신앙' 정신을 나누고자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산정현교회내에 본 비를 건립했다.
-
윤기섭 기념비
윤기섭(1887 - 1959)은 일제강점기 신흥무관학교 교사 · 교장 등을 역임한 교육자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다. 경기도 장단 출신으로, 호는 완운(蜿雲), 이명은 윤중규(尹仲珪)이다. 보성전문학교를 졸업한 뒤 한동안 평북 정주의 오산학교(五山學校) 교사로 재직했다. 1908년 안창호(安昌浩) 등과 청년학우회를 조직해 활동하다가 중국 만주로 망명한 후 신흥무관학교 교사 · 교장으로 10여 년간 독립군 양성에 힘썼다. 1912년 부민단(扶民團)에 가입하고, 1919년 4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요청에 따라 부민단 대표로 임시정부에 파견되었다. 1920년 육군무관학교 교관, 상해거류민단 위원 등을 지냈고, 1921년 5월 중한국민호조사(中韓國民互助社) 결성에 참여했다. 같은 해 11월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의원 25명과 함께 태평양회의의 각국 대표에게 한국의 독립을 청원하는 서한을 제출했다. 1923년 임시의정원에서 이승만 대통령을 지지했고, 1924년 2월 임시의정원 의장에 선출되었으며, 1926∼1932년 임시정부 국무원(군무장), 1927년 개헌안 기초위원을 지냈다. 이 과정에서 1924년 군사교육서인 『보병조전(步兵操典)』을 저술했다. 1920년대 중반 이후 민족유일당운동에 동참하여 1929년 신익희(申翼熙) 등과 한국혁명당, 1930년 임시정부를 비롯한 민족주의계열 인사들과 한국독립당을 창당하였다. 1932년 10월 12일 한국혁명당 대표로 민족운동단체 통합을 추진해 각단체연합주비위원회를 결성하였다. 10월 23일 열린 회의에서 연합체 명칭을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으로 결의하였고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1935년 7월 민족혁명당 창당에 참여했다. 이어 1936년 민족혁명당 당보부책임자, 1943년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차장을 지내는 등 대한민국임시정부 및 임시의정원의 법무 · 군사 · 교육부문 요직을 두루 거쳤다. 해방이 되자 1946년 2월 귀국하여 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으로 당기관지인 『앞길』의 사장이 되었고, 같은 달 좌익세력의 연합체인 민주주의민족전선(민전) 부의장 및 상임위원을 지냈다. 1946년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조선민족혁명당 대표로 관선의원에 선출되어 부의장을 지냈고, 1948년 국학대학 학장을 지냈다. 1950년 한국전쟁 때 납북되었고, 1956년 7월 안재홍(安在鴻) 등 납북인사를 중심으로 결성된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집행위원에 선임되었다. 1959년 반혁명분자혐의로 구속되어 숙청되었다.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89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
백초월 태극기비
백초월(1878 - 1944)의 이명은 백의수(白義洙)이다. 1919년 4월 승려의 신분으로 한국민단본부(韓國民團本部)라는 비밀단체를 경성중앙학림(京城中央學林) 내에 조직하고 그 단체의 단장이 되어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및 독립군(獨立軍)을 지원하기 위한 군자금을 모집하였으며, 〈혁신공보(革新公報)를 간행하였다. 1919년 11월 25일 단군(檀君)의 건국기념일에 종로 삼청동(三淸洞)에 태극기와 단군기념이라는 깃발을 내걸고,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성립에 관한 축하문과 선언서 및 포고문 등을 인쇄하여 배포하였다. 1919년 12월 임시정부를 위한 군자금 모집활동을 했으며, 1920년 2월 25일 일본 유학생들이 일본 의회에 독립청원을 하기 위하여 활동할 때 동경으로 건너가 활동하던 중 붙잡혔다. 이후 1920년 4월 6일 승려 신상완(申尙玩)과 같이 승려들을 규합하여 의용승군(義勇僧軍)을 조직하고 군자금을 모집하는 활동을 벌이다가 종로(鐘路)경찰서에 붙잡혔다. 1938년 봉천행(奉天行) 화물차에 '대한독립만세(大韓獨立萬歲)'라고 낙서한 사건으로 연좌되어 붙잡혀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옥중 순국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86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
태극기 발견지 칠성각
칠성각은 1907년에 지어진 것으로 불교에 흡수된 민간신앙인 칠성신을 모신 건물이다. 2009년 5월 진관사 칠성각 보수작업 도중, 오래된 태극기와 더불어 3.1만세운동이 일어난 해인 1919년 6월에서 12월까지 발행된 '독립신문', '신대한신문', '조선독립신문', '자유신종보' 등 십 수점의 항일신문들이 발견되었다. 이 태극기는 3.1운동 당시 독립단체에서 사용한 태극기로 보이며, 1942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기 양식과 동일하다. 일장기 위에 태극의 음방과 4괘를 먹으로 그려넣은 유일한 태극기로 항일정신이 담겼다. 때문에 이 태극기는 당시 진관사에 주석하며 독립운동을 주도했던 백초월 스님이 일제의 감시를 피해 후세에 그 뜻을 전하고자 숨겨놓은 것으로 추정된다.
-
서기창 묘
서기창(1893 - 1930)은 경기 고양(高陽) 사람이다. 1919년 3월 31일 경기도 이천군(利川郡) 신둔면(新屯面) 수하리(水下里)에서 이상혁(李商赫)·김영익(金永益) 등과 같이 독립만세시위를 계획하였다. 이튿날 독립만세시위에 참여를 권유하는 통문을 작성하여 주민에게 배포하고 신둔면사무소(新屯面事務所) 앞에서 많은 주민과 함께 독립만세시위를 주동하다가 붙잡혔다. 동년 5월 8일에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 형을 선고받고 동년 6월 31일 경성복심법원에 공소하였으나 기각되고 동년 8월 14일 고등법원에 상고하였지만 또 기각되어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6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
이상재 집
월남 이상재(1851 - 1927)는 1896년 독립신문 창간과 독립협회의 창립을 주도하였고, 1906년 헤이그 밀사 사건을 도왔으며, 1913년 황성기독교청년회(서울YMCA) 총무로 YMCA 운동에 전념하면서 3.1독립만세운동과 물산장려운동을 전개했을 뿐만 아니라 1924년 소년척후대(보이스카웃 연맹의 전신)의 초대 총재와 조선일보 사장으로 인재 양성은 물론 민족언론 문화창달에 힘썼다. 1927년 2월 민족협동전선인 신간회(新幹會)의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었으나 같은 해 3월 노환으로 서거하였다. 1962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손병희 집
손병희(1861-1922)는 충청북도 청원 출신으로,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이다. 1882년 동학에 입교하여 1884년 교주 최시형을 만나 지도를 받았다. 1894년의 동학혁명 때에는 통령으로서 북접(北接, 동학 교단 조직의 하나)의 동학혁명군과 논산에서 합세하여, 호남과 호서지방을 점령하고 계속 북상하여 관군을 격파했으나, 일본군의 개입으로 패전하자 원산, 강계 등지에서 은신 생활을 하였다. 1897년부터 최시형의 후임자로서 3년간 지하에서 교세 확장을 위해 힘쓰다가, 1908년 박인호에게 교주 자리를 인계하고 우이동으로 은퇴하여 수도에 전념하였다.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이 종국에 가까워져 파리에서 강화회의가 열리려던 때에, 미국 윌슨 대통령이 주창한 민족자결주의에 고무되어, 평소에 뜻을 같이하고 있던 보성고등보통학교장(普成高等普通學校長) 최린, 천도교 도사 권동진, 오세창 등과 함께 독립을 위한 제반 사항에 대하여 협의하였다. 그리하여 1919년 1월 말, 그들과 함께 먼저 동지를 모아서 민족의 대표자로서 조선의 독립을 선언하고, 그 선언서를 각지에 배포하여 국민들에게 독립사상을 고취시켜 독립만세 운동을 일으키게 하는 한편, 일본 정부와 조선총독부, 파리강화회의 참가국 위원들에게 조선의 독립에 관한 의견서를 제출하고, 또 윌슨 대통령에게 조선의 독립을 위해 힘써 줄 것을 요구하는 청원서를 제출하기로 하고, 그 제반 계획의 실행을 최린에게 맡겼다. 이에 천도교, 기독교, 불교에 대한 동지 규합이 진행되었다. 2월 26일 최린이 최남선과 수차 협의 끝에 독립선언서와 청원서 및 의견서 등의 초안을 작성하자, 손병희는 권동진, 오세창과 함께 이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2월 25일부터 27일까지 있었던 천도교 기도회 종료 보고와 국장에 참배하기 위해 상경한 천도교 도사 임예환, 나인협, 홍기조, 박준승, 양한묵, 권병덕, 나용환, 장로 이종훈, 홍병기, 교인 김완규 등에게 독립만세 운동의 취지를 설명하고, 민족대표로서 서명할 것을 권유하여 승낙을 받았다. 3월 1일 오후 2시경 태화관에는 민족대표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사람 가운데, 길선주(吉善宙), 유여대(劉如大), 김병조(金秉祚), 정춘수(鄭春洙) 등 4명이 빠지고 29명이 참석하였다. 손병희는 민족대표 중의 대표자로서 엄숙한 독립선언식의 진행을 주도하여, 이종일이 인쇄한 독립선언서 100매를 탁상 위에 놓고 돌려보도록 한 후, 한용운의 인사말에 이어 만세삼창을 외치고, 출동한 일본 경찰에 의하여 경시청총감부(警視廳總監部)에 구금되었다. 1920년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 형을 선고받고 서대문 형무소에서 2년간 옥고를 치르다가 석방되어, 서울 상춘원(常春園)에서 요양 중 병사했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
진단학회 창립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진단학회 창립 터 표지석이다. 본 터는 한국 역사 및 문화를 연구하기 위해 1934년 5월에 창립된 진단학회 사무소가 1936년 초에 성북동으로 옮겨갈 때까지 자리했던 곳이다.
-
민영환 집
민영환(1861 - 1905)은 당대 최고의 권문세가 집안 출신으로 예조판서, 병조판서, 형조판서를 지낸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순국지사로, 개화의 필요성을 절감 후 국가의 제반 제도의 개혁을 시도하였고, 친일적인 각료들과 대립하여 일본의 내정간섭을 비판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한일협약을 적극 반대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1905년 11월 종로 이완식(李完植)의 집에서 유서 3통을 남기고 자결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에 추서되었다.
-
조선중앙일보 사옥 표지석
조선중앙일보는 여운형이 『중앙일보』를 개제하여 1933년에 창간한 일간신문이다. 여운형(呂運亨)이 『중앙일보』의 제호를 바꾸어 1933년 3월 7일 발행하였다. 편집인 겸 발행인은 최선익(崔善益), 사장은 여운형이었으나 1935년 5월 31일부터는 출자자인 최선익이 물러가고 새 출자자인 윤희중(尹希重)과 함께 경영을 담당하였다. 증자와 함께 취체역 사장에 여운형, 전무에 윤희중, 고문에 권동진(權東鎭) · 윤치호(尹致昊), 편집국장에 이관구(李寬求) 등으로 진영을 갖추었다. 체재는 대형판 13단제로, 조간 4면, 석간 4면의 8면을 발행하였다. 원래 이 신문의 계보는 『중외일보(中外日報)』(1∼1492호)→『중앙일보』(1493∼1871호)→『조선중앙일보』(1872∼3059호)로서 모두 제호를 바꾸어 인수하기 전의 호수를 그대로 계승하였다. 『중외일보』는 1926년 11월 15일 창간되었는데 이상협(李相協)이 발행인 겸 편집인을 맡아 경영하다가 1929년 9월에는 안희제(安熙濟)가 출자하여 사장에 안희제, 부사장에 이상협으로 개편하였으나 경영난으로 1931년 9월 2일 해산을 결의하여 자진 폐간하였다. 『중앙일보』는 『중외일보』의 판권과 신문호수를 그대로 이어받아 1931년 11월 27일 속간한 일간신문으로, 발행인 겸 편집인에 김찬성(金贊成) · 노정일(盧正一) · 최선익 등이 계승하여 주간(主幹) 중심체제로 운영하였다. ‘여론의 대표기관, 정의의 옹호기관, 엄정한 비판기관’이라는 3대 신조를 내세우면서 민중의 공기로서의 소임을 다짐한 신문으로 다른 신문들과 달리 일요부록으로 2면을 발행하여 학예 · 가정 · 운동 · 아동 · 산업 등을 다루고 독자의 교양과 취미를 넓히고 값싸고 가장 좋은 신문이 되고자 노력하였다. 다른 신문들과 같이 총독부의 탄압과 재정적 운영난으로 1932년 5월 5일에 60일간의 휴간계를 내는 등 사원의 월급을 지급하지 못하여 분규가 일어나는 현상까지 초래하기도 하였다. 그 뒤 1933년 2월 16일에 여운형을 사장으로 하여 새 출발을 하였으나 1933년 3월 6일에 마지막 호를 내고 폐간하였다. 『조선중앙일보』는 『중앙일보』의 제호와 호수를 이어받아 발행한 일간신문이다. 자본금 50만 원으로 증자하여 사업확장을 위하여 경비행기를 도입, 백두산탐험비행을 단행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8월 13일자 조간 4면에 제11회 베를린올림픽대회 마라톤에서 우승한 손기정(孫基禎)의 가슴에 단 일장기(日章旗)를 말소한 사진을 보도하여 9월 5일부터 무기정간 당하였다. 그 뒤 성낙헌(成樂憲) 등과의 재정적인 물의와 사장 여운형의 총독부에 의한 강제적인 사장 사임 등으로 곤경에 빠져 1937년 11월 5일 발행허가 효력의 자연상실로 폐간되고 말았다. 이 신문이 『조선중앙일보』로 제호를 고친 것은 중국에서도 『중앙일보』가 발행되고 있다는 이유도 있지만, ‘조선’을 붙여 민족적 정신을 부각시키고 독립의 의지를 불어넣으려는 뜻도 함축되어 있었다. 그리하여 민족반역자의 행태를 폭로 보도하여 사회적으로 경각심을 일으키기도 하고, ‘조선민란사화(朝鮮民亂史話)’를 연재하는 등 민중의 지지와 여론의 대변에 매진하였다. 그러나 그만큼 총독부의 탄압을 받아 수없이 차압을 당하고 기사삭제의 고난을 겪었던 신문이다.
-
서북학회 표지석
서북학회는 1908년 서북 · 관서 · 해서지방 출신자들이 서울에서 조직한 애국계몽단체이다. 애국계몽운동은 1907년 중엽에 이르러 관서와 관북지방에서 뿌리를 내려 일정한 성과를 거두게 되자 전 민족적 전 국가적 차원으로의 확산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일제의 강압책으로 국권회복운동이 더욱 어렵게 되자, 이러한 제약을 보다 적극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서우학회와 한북흥학회를 통합하여 1908년 1월 조직하였다. 구성원은 주로 평안도·함경도·황해도민이다. 주요 임원은 이동휘(李東輝)·안창호(安昌浩)·박은식(朴殷植)·이갑(李甲)·유동열(柳東說)·최재학(崔在學) 등이었다. 임시회장 이동휘의 지도 하에 서우회관(西友會館)에서 조직회를 개최하였다. 이때 회장으로 정운복(鄭雲復), 부회장 강윤희(姜玧熙), 총무 김달하(金達河)를 선출하였다. 1909년에는 회장으로 오상규(吳相奎), 부회장 정운복, 총무 김명준(金明濬)을 선출하였다. 조직은 서우학회·한북흥학회를 토대로 하였다. 서울에 총사무소를 두었으며, 회장 1명, 부회장 1명, 총무·부총무 각 1명, 평의원 30명, 사찰원(司察員), 회계 각 1명, 서기 2명이었다. 월보(月報) 간행을 위해 주필 1명, 편집 1명, 협찬원(協贊員) 19명을 두었다. 개별 사무를 처리할 때는 위원이나 총대(總代)를 정하여 담당하게 하였다. 31개 지역에 지회를 설치하고 69개 지역에 지교(支校)를 두었다. 「사립학교령(私立學校令)」·「학회령(學會令)」 등 애국계몽운동에 대한 탄압이 가중되자, 1909년 2월 이후에는 37개 지역에 학사시찰위원(學事視察委員)을 선정, 지회·지교 활동을 보완하였다. 서북지방민으로 국권 회복을 원하는 사람이면 관(官)·민(民)을 막론하고 누구나 회원이 될 수 있었다. 회원은 2,300명 정도에 이른 것으로 추산되며, 신지식층·신흥시민층을 중심으로 한 광범한 시민층이었다. 항일교육구국운동은 국민들에게 신교육의 절실한 필요를 계몽하는 것이었다. 교사 양성에 주력하는 서북협성학교(西北協成學校), 노동자 교육을 위한 수상야학(水商夜學)·측량과(測量科)·심학강습소(心學講習所)·농림강습소(農林講習所) 등을 설치, 인재를 양성하였으며 각 지역 사립학교 교무의 지도와 후원을 통하여 전개되었다. 계몽강연활동은 학회의 여러 모임, 특히 운동회를 통해 광범위하게 파급되었다. 당시 상황을 알리고 애국심을 고취시켰으며 실력양성운동에의 참여를 촉구하였다. 1908년 2월부터 『서북학회월보』라는 학보를 발간, 1910년 1월까지 계속하였다. 학보를 통해 사회진화론(社會進化論)과 민권론(民權論)에 기반을 둔 실력양성론·단체론·애국론·교육구국론·실업진흥론·사회관습개혁론 등을 전달하여 민중의식을 계발하고 애국심을 고취하였다. 민족산업진흥운동이 중요시된 것은 서북학회의 사회적 기반이 신흥시민층에 있었기 때문이다. 실업교육을 장려하고, 특히 일제의 경제적 침략과 관련해 농림(農林)의 진흥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이 좀더 광범한 지역과 대중에게까지 애국계몽운동을 확산시키고자 하였다. 「사립학교령」·「학회령」·「기부금품모집취체규칙(寄附金品募集取締規則)」·「지방비법(地方費法)」 등 일제의 탄압에 대한 구체적 대응책을 제시하여 민중들이 적극 대처하도록 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 뒤 일제의 탄압이 더욱 강화되고 서북학회 분쇄책이 시도되자, 1909년 독립전쟁 전략을 채택하여 국외에서는 독립군기지 건설과 무관학교 설립운동에 주력하였다. 국내에서는 사립학교 유지방법 강구 등의 교육운동과 농회·농림강습소 설립, 민족산업 진흥운동 등을 계속 추진하였다. 이 학회는 애국계몽운동을 광범위하게 확산시켰을 뿐 아니라 애국계몽운동을 진정한 국권회복운동으로 전개되게 하였다. 1909년 일제의 탄압이 가중되자 만주 등지로 근거지를 옮겨 독립군 기지를 조성하고 무관학교를 설립하여 애국계몽운동을 국외 독립군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데도 크게 기여하였다. 기관지로는 『서우(西友)』를 계승한 『서북학회월보(西北學會月報)』가 있다. 1910년 9월 강제 해산되었다. 서북학회는 1909년 초 신민회와 같이 독립전쟁전략을 최고전략으로 채택하여 독립군기지건설에 주력하여 국외독립운동의 초석이 되었으며, 국내활동 특히 교육운동은 일제하 민족운동의 원동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