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윤상기
한자명
尹相驥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1 ~ 1928
본적
충청남도 논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7년

공적개요

1920년 5월 충남(忠南) 논산군(論山郡)에서 정인호(鄭寅琥) 등이 조직한 구국단(救國團)에 가입하여 상해임시정부에 제공할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동하다가 일경(日警)에 체포되어 징역 10월(미결구류(未決拘留) 90일 산입(算入))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상기
한자명
尹相基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1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1.7.20 만주(滿洲) 유하현(柳河縣)에서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재무부원(財務部員)으로 군자금(軍資金) 모집(募集) 활동(活動)을 하고 평북(平北) 자성군(慈城郡) 상평임시경관출장소(上坪臨時警官出張所)를 습격(襲擊)하여 교전(交戰)하다가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상만
한자명
尹相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43
본적
강원도 철원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4. 8. 강원도(水原道) 철원군(鐵原郡) 내문면(乃文面) 독검리(篤儉里)의 천도교인 최재명(崔在明) 최재청(崔在淸)형제와 이주붕(李周鵬) 박용득(朴龍得)으로부터 내문면(乃文面) 만세 운동 계획(萬歲運動計劃)에 관한 통문을 받고 동면(同面) 오동리(梧洞里)의 만세시위를 주동하여 다수 면민(面民)과 함께 태극기를 세우고 내문면(乃文面) 면사무소(面事務所) 앞에서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시위행진을 하다가 일경에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상명
한자명
尹尙明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2 ~ 1976
본적
강원도 삼척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29년부터 태극교(太極敎)에 가입하여 조선의 독립을 내세우며 조직을 확대하고 교인과 독립을 기원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1939년 2월 체포되어 1941년 7월 징역 1년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윤상순
한자명
尹相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6 ~ 미상
본적
황해도 해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3일 황해도(黃海道) 해주군(海州郡) 가좌면(茄佐面) 용호리(龍湖里) 구장(區長)으로 취야(翠野) 경찰관주재소에서 보고 하던 중 만세시위가 일어나자 소장(所長)이 발포하는 것을 만류하고 설유(說諭) 해산시키려다 체포되어 징역 4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상억
한자명
尹相億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1992
본적
충청남도 연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4. 7 충남(忠南) 연기군(燕岐郡) 전의면(全義面) 신정리(新井里)에서 이수욱(李秀郁) 등과 함께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벌이기로 계획하여 동월(同月) 13일 동면(同面) 읍내리(邑內里) 장날을 이용하여 군중을 규합, 이들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며 읍내(邑內) 각처를 시위행진 하는 등 활동을 전개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윤상억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윤상열
한자명
尹相悅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4 ~ 1927
본적
평안남도 대동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19. 3. 4 평남(平南) 강서군(江西郡) 반석면(班石面) 사천(沙川) 시장에서 전개한 독립만세 시위운동에 참여하여 서용석(徐用錫) 등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면서 시장을 누비며 시위 행진하던 중 이를 제지하려는 일본 헌병에 대항하여 일헌병 상등병등을 살해하는데 참여하는등 적극적으로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무기징역(無期懲役)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르던 중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상오
한자명
尹相五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3 ~ 미상
본적
충청남도 예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19년 4월경 충남 예산군 신양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군중과 함께 만세시위를 벌이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태 6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윤상원
한자명
운동계열
노령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1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21년 12월 4일 러시아 연해주 이만에서 대한의용군 2중대 중대원으로 일본군의 지원을 받는 러시아 백군(白軍)과 전투를 벌이다 전사 순국함.

인물정보

성명
윤상원
한자명
尹相元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5 ~ 1973
본적
충청남도 연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4.13 충남(忠南) 연기군(燕岐郡) 전의면(全義面)에서 이수욱(李秀郁) 추경춘(秋敬春)등과 독립만세 시위운동 거사(擧事)를 추진(推進)하고 태극기(太極旗)등을 준비하였다가 시위군중에 배부하여 주면서 읍내리(邑內里) 장터에서 태극기를 휘두르며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상윤
한자명
尹相鈗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9 ~ 1959
본적
전라남도 구례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3. 2 전북(全北) 남원군(南原郡) 천도교구(天道敎區)로부터 독립선언서를 전달받고 전남(全南) 순천군(順天郡)과 구례군(求禮郡) 등지에 이를 배포 부착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상은
한자명
尹相殷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2 ~ 1938
본적
충청남도 연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3.13 충남(忠南) 연기군(燕岐郡) 전의면(全義面) 전의(全義)시장에서 수백명의 군중들과 함께 태극기를 휘두르고 대한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시위를 전개하다 피체(被逮)되어 태(笞) 90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윤상기

한자명

尹相驥

생몰년도

1881 ~ 1928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7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논산

자세히 보기

성명

윤상기

한자명

尹相基

생몰년도

미상 ~ 1921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윤상만

한자명

尹相萬

생몰년도

1890 ~ 194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철원

자세히 보기

성명

윤상명

한자명

尹尙明

생몰년도

1912 ~ 1976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삼척

자세히 보기

성명

윤상순

한자명

尹相淳

생몰년도

1876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8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해주

자세히 보기

성명

윤상억

한자명

尹相億

생몰년도

1899 ~ 199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연기

자세히 보기

성명

윤상열

한자명

尹相悅

생몰년도

1894 ~ 192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6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대동

자세히 보기

성명

윤상오

한자명

尹相五

생몰년도

1903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예산

자세히 보기

성명

윤상원

한자명

생몰년도

미상 ~ 1921

운동계열

노령방면

포상훈격

202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윤상원

한자명

尹相元

생몰년도

1895 ~ 197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연기

자세히 보기

성명

윤상윤

한자명

尹相鈗

생몰년도

1889 ~ 195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구례

자세히 보기

성명

윤상은

한자명

尹相殷

생몰년도

1892 ~ 193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연기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