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유한선
한자명
劉漢先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6 ~ 1950
본적
전라남도 광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19년 음력 6월 평양(平壤) 국민회원(國民會員) 장공섭(張公燮)으로부터 국민회(國民會) 취지서(趣旨書) 및 동 규약서(規約書)를 전달받고 이 취지에 찬동하여 이주상(李周庠) 등과 함께 전남(全南) 지역에 국민회(國民會)를 조직, 회원 모집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원조를 위한 모금 활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한성
한자명
劉漢成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4 ~ 미상
본적
평안남도 안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4년

공적개요

1928년 중국(中國)에서 정의부(正義府) 검무원(檢務員)으로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한종
한자명
劉漢鍾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1 ~ 미상
본적
충청남도 서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5일 전북 옥구군에서 이두열(李斗悅) 등의 독립만세운동 계획에 호응하여 선언서를 복사하고 준비하던 중 주도자가 체포되자 선언서를 배포하고 태극기를 흔들며 독립만세를 외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유한종
한자명
劉漢鍾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1 ~ 1950
본적
충청남도 서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4일 충남 서산군 해미면에서 해미공립보통학교(海美公立普通學校) 졸업생 송별회 참석 후 김관룡(金寬龍)의 권유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불기소 처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유한종
한자명
柳漢宗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1941
본적
경기도 진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4년

공적개요

1919. 3. 31 경기도(京畿道) 진위군(振威郡) 북면(北面) 봉남리(鳳南里)에서 조선독립을 목적으로 약 400명의 군중과 함께 동면 사무소 및 경찰관 주재소 앞에서 태극기를 흔들며 조선독립만세를 고창하다 피체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한필
한자명
劉漢弼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2 ~ 1908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08년 6월 황해도(黃海道) 송화군(松禾郡) 장연군(長淵郡) 등지에서 의병활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었으며 동월 11일 송화분서(松禾分署)로 이송하던 도중 송화군(松禾郡) 온천면(溫泉面) 도고동(道高洞)에서 함께 이송 중이던 이하윤(李河允)이 도주를 기도하자 이에 호응하여 일경(日警)에 저항하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한휘
한자명
劉漢輝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5 ~ 1999
본적
전라남도 고흥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4년 중국(中國) 산서성(山西省) 안읍지구(安邑地區) 일군(日軍)3541부대(部隊)에 주둔하고 있으면서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와 광복군(光復軍)이 중경(重慶)에 있다는 정보를 듣고 광복군으로 입대하기 위하여 탈출을 기도하여 탈출에 성공하고 1945. 4월 토교대(土橋隊)에 입대한 후 광복군 총사령부(光復軍總司令部) 경위대(警衛隊)에 배속(配屬)되어 4월간 복무하였으나 탈출시기와 특수임무를 수행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해동
한자명
柳海東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91 ~ 1981
본적
강원도 춘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0년경부터 유인석(柳麟錫) 의병대장(義兵大將)의 장남으로서 부친을 따라다니면서 그가 임종하던 1915년까지 부친을 보좌하였고 그 뒤에는 의병장으로 망명한 박장호(朴長浩)를 보좌하면서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해륜
한자명
柳海崙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3 ~ 1956
본적
충청북도 괴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4.2 충북(忠北) 괴산군(槐山郡) 소수면(沼壽面)에서 면민다수를 규합하여 독립만세’(獨立萬歲)를 주도하다 피체되어 징역10월을 받았으나 미결기간을 합산하여 10월 21일간의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해용
한자명
柳海瑢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4 ~ 1938
본적
전라남도 곡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06년 윤(閏) 4월 13일 전남 태인에서 최익현 의병장이 기의하자 입진, 활동하였으며 4월 20일 순창에서 관궁과 조위 의진을 해산하였으나 임병찬(林炳瓚) 등 12명과 더불어 최익현 의병장을 호위하다가 피체되어 태(笞) 10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유해용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유해정
한자명
柳海正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1 ~ 1971
본적
경기도 양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4. 19 일본 천황(日本天皇)에게 3.1독립운동(獨立運動)의 취지(趣旨)와 국권(國權) 침탈(侵奪)의 부당성(不當性) 및 광무황제(光武皇帝)의 독살(毒殺)을 규탄(糾彈)하는 항의문(抗議文)을 작성(作成) 송달(送達)함에 있어 일본 천황(日本天皇)이라는 호칭 대신(呼稱代身) 전하(殿下) 또는 왕(王) 등으로 하대(下待)하는 문구(文句)를 사용(使用)함으로서 소위 천황(天皇)에 대(對)한 불경(不敬)으로 징역 3년형(年刑)을 받고 옥고(獄苦)를 겪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해준
한자명
兪海濬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17 ~ 1986
본적
충청남도 당진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77년

공적개요

1937 중국(中國)의 황포군관학교(黃浦軍官學校)를 졸업(卒業)하여 임정(臨政)으로 복귀(復歸)한 후 광복군(光復軍) 총사령부(總司令部) 부관(副官) 제5지대 제3구대장(區隊長) 등으로 활동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유한선

한자명

劉漢先

생몰년도

1876 ~ 1950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1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광주

자세히 보기

성명

유한성

한자명

劉漢成

생몰년도

1894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4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안주

자세히 보기

성명

유한종

한자명

劉漢鍾

생몰년도

1891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서천

자세히 보기

성명

유한종

한자명

劉漢鍾

생몰년도

1901 ~ 195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서산

자세히 보기

성명

유한종

한자명

柳漢宗

생몰년도

1897 ~ 194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4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진위

자세히 보기

성명

유한필

한자명

劉漢弼

생몰년도

1862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유한휘

한자명

劉漢輝

생몰년도

1925 ~ 1999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고흥

자세히 보기

성명

유해동

한자명

柳海東

생몰년도

1891 ~ 1981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춘천

자세히 보기

성명

유해륜

한자명

柳海崙

생몰년도

1883 ~ 195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괴산

자세히 보기

성명

유해용

한자명

柳海瑢

생몰년도

1884 ~ 193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곡성

자세히 보기

성명

유해정

한자명

柳海正

생몰년도

1901 ~ 197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양주

자세히 보기

성명

유해준

한자명

兪海濬

생몰년도

1917 ~ 1986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77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당진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