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원지성
한자명
元智成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4 ~ 1933
본적
경기도 안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안성 원곡, 양성 독립만세 시위에 가담하여 양성면사무소, 주재소, 우편소와 원곡면사무소 기물파괴 방화하고 징역 3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지성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원창권
한자명
元昌權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1950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3. 10 광주(光州) 숭일학교(崇一學校) 재학(在學) 중 광주시장(光州市場)에서 김복현(金福鉉), 김강(金剛) 등의 주도하에 전개된 독립만세’(獨立萬歲) 시위 운동(示威運動)에 참가하여 태극기를 흔들며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하고 광주시내(光州市內)에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 경고문(警告文) 등을 배포하며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원춘도
한자명
元春道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6 ~ 1942
본적
황해도 신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3. 11 황해도(黃海道) 신천(信川)에서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하여 활동하다가 피체(被逮) 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원태근
한자명
元泰根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2 ~ 1950
본적
경기도 시흥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05.11.17 ‘고종황제(高宗皇帝)를 강요(强要)하여 을사(乙巳)4조약(條約)을 체결(締結)한 일국 침략(日國侵略) 원흉(元兇) 이등박문(伊藤博文)이 승차(乘車)한 열차(列車)가 경기도(京畿道) 시흥(始興) 안양역(安養驛)에서 서울로 가는 기회(機會)를 이용(利用)하여 통과(通過)하는 열차내(列車內)로 투석(投石)하여 열차(列車) 유리창(窓)을 파괴(破壞)하고 좌안(左眼)과 안면(顔面)에 부상(負傷)을 입힌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원필희
한자명
元弼喜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68
본적
경기도 여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4.5 경기도(京畿道) 여주(麗州) 읍내에서 동지들과 시위군중 다수를 지휘하여 독립만세를 고창 시위하다 피체되어 징역 8월을 받았으나 미결기간(未決期間)을 합산하여 11월 26일간 옥고(獄苦)를 치르고 주동자로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원하현
한자명
元夏鉉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8 ~ 미상
본적
강원도 영월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20일 강원도(水原道) 영월군(寧越郡) 양변면(兩邊面) 금마리(金馬里)에서 박광훈(朴光勳) 등과 함께 영월군수 석명선(石明瑄) 일행이 농사강화를 위해 출장나온 것을 계기로 군수로 하여금 독립만세시위운동에 참여하여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도록 하고 독립만세 명부에 서명날인케 하는 등 활동을 벌이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원해룡
한자명
元海龍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75 ~ 1923
본적
평안북도 구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년 3.1운동 이후 만주(滿洲)에서 독립정신을 고취하며 친일민단(親日民團)을 토멸(討滅)하는 활동을 하다가 1923년 적구(敵拘) 강달주(姜達周)에게 피체(被逮)되어 악랄한 곤장을 맞고 상처가 심하여 석방되었으나 그로 인하여 끝내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원행섭
한자명
元行燮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0 ~ 미상
본적
황해도 안악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11년 독립운동 기지개척을 위해 서간도(西間島) 이주를 추진하다 체포되어 징역 15년(궐석(闕席))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원호이
한자명
元浩伊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4 ~ 1935
본적
경상북도 영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26년 경북(慶北) 영일(迎日)에서 동아(東亞)․조선일보(朝鮮日報) 지국장(支局長) 및 기자(記者), 영일청년회(迎日靑年會) 위원(委員) 등과 함께 포항경찰서(浦項警察署)에 체포되어 3일간 구류된 바 있으며 동년(同年) 11월 정학선(鄭學先)의 지도를 받아 고려공산청년회(高麗共産靑年會)에 가입한 후 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 포항(浦項) 야체이카를 조직하여 1927년 8월 야체이카 해산때까지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8월에 집행유예(執行猶豫)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원화상
한자명
元和常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6 ~ 미상
본적
충청북도 음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7. 6월에서 7월까지 방인관 의진(方仁寬義陣)에 가담하여 충북(忠北) 충주(忠州)와 진천(鎭川)을 무대로 150여명의 군사들과 함께 의병활동을 전개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원후정
한자명
元厚貞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22 ~ 1995
본적
강원도 횡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춘천고교 재학생(春川高校在學生)으로 항일(抗日) 운동(運動)을 하다, 일경(日警)에 체포(逮捕)되어 경성지방법원(京城地方法院)에서 치안유지법(治安維持法) 위반(違反)으로 징역 1년~3년형(年刑) 폭력행위 등 처벌(暴力行爲等處罰)에 관(關)한 법률(法律) 위반(違反)으로 징역 6월~2년형(年刑)을 받고 복역(服役)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위계룡
한자명
魏啓龍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1 ~ 2002
본적
전라남도 담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을종간부(乙種幹部)후보생으로 일본군(日本軍)에 입대 후 미군(美軍) 일본 상륙시 합류하기 위하여 동지 규합 탈출공작 중 피체되어 8년형을 받고 5개월 간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원지성

한자명

元智成

생몰년도

1884 ~ 193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안성

자세히 보기

성명

원창권

한자명

元昌權

생몰년도

1897 ~ 195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나주

자세히 보기

성명

원춘도

한자명

元春道

생몰년도

1886 ~ 194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신천

자세히 보기

성명

원태근

한자명

元泰根

생몰년도

1882 ~ 1950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시흥

자세히 보기

성명

원필희

한자명

元弼喜

생몰년도

1896 ~ 196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여주

자세히 보기

성명

원하현

한자명

元夏鉉

생몰년도

1878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강원도 영월

자세히 보기

성명

원해룡

한자명

元海龍

생몰년도

1875 ~ 1923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구성

자세히 보기

성명

원행섭

한자명

元行燮

생몰년도

1880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5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안악

자세히 보기

성명

원호이

한자명

元浩伊

생몰년도

1904 ~ 1935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일

자세히 보기

성명

원화상

한자명

元和常

생몰년도

1886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북도 음성

자세히 보기

성명

원후정

한자명

元厚貞

생몰년도

1922 ~ 1995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횡성

자세히 보기

성명

위계룡

한자명

魏啓龍

생몰년도

1921 ~ 2002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담양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