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오항선
한자명
吳恒善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10 ~ 2006
본적
황해도 신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28년부터 김좌진(金佐鎭)장군의 부하로서 무기 운반(武器運搬) 은닉(隱匿) 연락(連絡) 책임(責任)을 맡고 2년간 희생적으로 노력하였으며 1930년 장군이 서거한 뒤 장군의 영부인 나혜국(羅惠國) 여사(女史)와 협력하여 장군의 수많은 부하 동지들의 경제 생활면까지 지원하고 장군의 생존 시와 변함없이 무기 운반(武器運搬) 비장(秘藏) 등 활약을 하였으며 일경에게 체포되어 모진 고문과 악형으로 시난(時難)을 극복하다가 7개월 만에 석방되어 중국(中國) 하남성(河南省)으로 도피생활을 하다가 8.15광복으로 환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오해봉
한자명
吳海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1965
본적
경상북도 영덕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3.19 영덕군(盈德郡) 창수(蒼水)에서 3.1운동에 참가하여 다수 군중과 같이 만세시위를 연창하고 주재소를 습격 건물 및 각종기물을 파괴하는 등 활동하다 체포되여 소요(騷擾) 및 건조물(建造物) 파손(破損), 보안법(保安法) 위반(違反)으로 징역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오현경
한자명
吳玄卿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8 ~ 1972
본적
황해도 해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1년

공적개요

1919. 2월말 서울의 박희도(朴熙道)로부터 독립선언서 3백여 매를 전달받고 동지들을 규합하여 거사를 협의한 후 3월 1일 황해도(黃海道) 해주(海州)에서 1백 80여 명의 군중들과 함께 광무황제(光武皇帝)의 봉도식(奉悼式)과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 봉독식(奉讀式)을 거행한 후 독립만세를 고창하였고 독립선언서를 각처에 발송하여 만세시위를 확산시키는 등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오현식
한자명
吳鉉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미상
본적
황해도 은율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6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황해도(黃海道) 은율군(殷栗郡) 은율읍(殷栗邑)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오현준
한자명
吳現準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5 ~ 1986
본적
함경북도 온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20.7 항일을 목적으로 대한북로독군부(大韓北路督軍府)에 가입 항일운동을 하다 1921..12.23 징역2년형을 언도받고 복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오형근
한자명
吳亨根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1925
본적
충청남도 홍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1∼4일경 충남(忠南) 홍성군(洪城郡) 홍성시장(洪城市場) 등지에서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하며 시위 운동(示威運動)을 전개하였다가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오형덕
한자명
吳亨德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충청북도 옥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3년

공적개요

1895년 9월 충남(忠南) 유성(儒城)에서 문석봉 의진(文錫鳳義陣)의 중군장(中軍將)이 되어 군자금 모집 등의 활동을 하다가 체포된 후 대구감옥에서 문석봉(文錫鳳) 의병장과 함께 탈옥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오형만
한자명
吳亨萬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3 ~ 미상
본적
황해도 송화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30년 1월 14일 서울에서 근화여학교 2학년 재학 중 김순례(金順禮) 등과 함께 만세운동 계획을 협의하고, 다음날 광주학생운동에 동조하여 만세운동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구류 20일과 무기정학 처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오형선
한자명
吳亨善
운동계열
문화운동
생몰년도
1875 ~ 1944
본적
경상남도 거창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20. 4월경(月頃) 독립사상 고취(獨立思想鼓吹) 선전(宣戰)을 목적(目的)으로 신한별보(新韓別報) 및 격문(檄文)을 작성 인쇄(作成印刷)하여 배포(配布)하고 독립사상(獨立思想)을 고무(鼓舞)하며 활동(活動)하다 체포(逮捕)되어 징역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오형선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오호영
한자명
吳浩榮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3 ~ 1990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4년

공적개요

1941년 2월부터 9월까지 전남(全南) 광양광업소(光陽鑛業所)에 근무중 김채룡(金彩龍)의 조선독립을 위해 종교계를 중심으로 민족연합단체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에 동의하고 활동하다 피체(被逮)되어 5개월여(個月餘)의 옥고(獄苦)를 치르고 징역 2년 집행유예(執行猶豫)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오홍근
한자명
吳弘根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4 ~ 1953
본적
경기도 안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4월경 경기도 안성군 양성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태 6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오화영
한자명
吳華英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1960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대통령장
포상년도
1989년

공적개요

1919년 3.1운동(運動) 민족대표(民族代表) 33인중 1인(人)으로 ‘조선독립’(朝鮮獨立)을 선언(宣言)하고, 피체(被逮)되여 징역 2년 6월형(月刑)을 언도(言渡)받고 옥고(獄苦)를 치렀으며, 1927년 2월 5일에는 신간회(新幹會)를 창립(創立)하여 간사(幹事)로 활약(活躍)하고, 1930년 5월에는 물산장려회(物産獎勵會)의 고문(顧問)으로 추대(推戴)되어 국민 정신 함양(國民精神涵養)과 민족 정기 앙양(民族正氣昻揚)에 기여(寄與)한 현저(顯著)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오항선

한자명

吳恒善

생몰년도

1910 ~ 2006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신천

자세히 보기

성명

오해봉

한자명

吳海鳳

생몰년도

1897 ~ 196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덕

자세히 보기

성명

오현경

한자명

吳玄卿

생몰년도

1878 ~ 197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1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해주

자세히 보기

성명

오현식

한자명

吳鉉植

생몰년도

1893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은율

자세히 보기

성명

오현준

한자명

吳現準

생몰년도

1895 ~ 1986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북도 온성

자세히 보기

성명

오형근

한자명

吳亨根

생몰년도

1888 ~ 192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홍성

자세히 보기

성명

오형덕

한자명

吳亨德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3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북도 옥천

자세히 보기

성명

오형만

한자명

吳亨萬

생몰년도

1913 ~ 미상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송화

자세히 보기

성명

오형선

한자명

吳亨善

생몰년도

1875 ~ 1944

운동계열

문화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거창

자세히 보기

성명

오호영

한자명

吳浩榮

생몰년도

1923 ~ 1990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4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오홍근

한자명

吳弘根

생몰년도

1894 ~ 195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안성

자세히 보기

성명

오화영

한자명

吳華英

생몰년도

1880 ~ 196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89대통령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