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안창희
한자명
安昌熙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3 ~ 미상
본적
함경북도 청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함북(咸北) 청진부(淸津府) 포항동(浦項洞)에서 만세시위를 계획하고 태극기를 만들었으며, 동년 4월 1일 주민들에게 태극기를 배부하고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다가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천수
한자명
安千壽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3 ~ 1963
본적
경상북도 울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34.12 경북(慶北), 울진군(蔚珍郡) 서거면 척산리(書居面尺山里)에서 소위 대정 천황제(所謂大正天皇祭)을 경멸(輕蔑)하는 말을 일기장(日記帳)에 기록(記錄)하고 일본인(日本人)은 민족 차별(民族差別)로서 결국(結局) 조선(朝鮮) 민족(民族)은 아사(餓死)하게 될것임으로 우리는 단결(団結)하여 조선독립운동(朝鮮獨立運動)을 하여야 한다고 역설(力說)하고 항일운동 단체 조직(抗日運動団体組織)을 협의(協議)하다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형(年刑)이 언도(言渡)된 사실이 확인됨.

안천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안천종
한자명
安千鍾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0 ~ 1940
본적
경상북도 영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9.3.22 경북(慶北) 영일군(迎日郡) 송라면(松羅面) 덕성리(德城里) 장터에서 윤영복(尹永福), 안영만(安永滿), 오용간(吳用干)의 주도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윤영복, 오용간의 선창에 따라 대한독립만세를 고창하고 소형 태극기를 흔들며 군중들과 함께 덕성리 가로로 시위행진하다가 피체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철재
한자명
安喆載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6 ~ 1921
본적
경기도 안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 4. 1 경기도 안성군 원곡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일인(日人)상점에 상품을 파괴하며 독립만세를 고창 연창하다가 피체되어 징역 2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최언
한자명
安崔彦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9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3년

공적개요

1909년 임창모 의진(林昌模義陣)에 소속되어 전남(全南) 보성(寶城) 등지에서 활동하다가 1909. 10. 13일병(日兵)의 공격을 받고 싸우다 전사 순국(戰死殉國)한 사실(事實)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춘생
한자명
安椿生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12 ~ 2011
본적
황해도 기타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년

공적개요

1. 본인의 당숙(堂叔)인 안중근 의사(安重根義士)의 합이빈거사(哈爾濱擧事)로 인하여 가족과 함께 칠세시(七歲時)에 만주(滿洲)로 망명(亡命) 2. 만주(滿洲) 흑룡강성(黑龍江省) 해륜중학(海倫中學)을 졸업한 후 일본(日本)의 만주침략(滿洲侵略)으로 조국독립은 오직 군사행동으로써만이 가능하겠다는 뜻을 품고 산해관(山海關)을 넘어 남경중앙육군군관학교(南京中央陸軍軍官學校)에 입학하여 1936년에 졸업함 3. 1936년 군관학교졸업과 동시 임관되어 중국군(中國軍) 제2사단(師團)에 복무함 4. 1937년 8월 13일 일본군(日本軍)의 상해 침공시(上海侵攻時) 일본 해군 육전대 사령부 공격전(日本海軍陸戰隊司令部攻擊戰) 및 인상항(引翔巷), 보산지창(寶山紙廠), 원동운동장(遠東運動場)(시중심구(市中心區)) 등 전투에 참전하여 다대한 전과를 올리고 상해 철수작전시(上海撤收作戰時)에 좌하지(左下肢)에 관통상(貫通傷)을 입음 5. 1938년 육군대위(陸軍大尉)로 호남성(湖南省) 경비사령부(警備司令部)에 복무 중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의 비밀지령에 의하여 일본군이 점령한 상해에서 거사할 폭탄을 비밀히 향항(香港)까지 운반하였음 6. 1938년 12월 우리임시정부와 상해지구간에 통신할 무전암호를 가지고 일군 점령하의 상해로 비밀리에 상해공작반(上海工作班)에 전달하였음 7. 1939년 10월 육군소령(陸軍少領)으로서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에 편입 8. 1940년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의 일원으로서 산서성(山西省) 제2전구사령장관부(戰區司令長官部)에 있으면서 일군(日軍)이 점령한 지역 및 모국(母國)에 대한 동지(同志)규합과 조직을 위하여 적구(敵區)에 잠입 활약하였음 9. 1942년 육군중령(陸軍中領)으로서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제2지대 구대장(區隊長)(중국 협서성(中國陜西省) 서안(西安)) 10. 1945년 육군대령(陸軍大領)으로서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주령지대장(駐寧支隊長)(남경지대(南京支隊)) 11. 1946년 조국해방으로 귀국

인물정보

성명
안춘흥
한자명
安春興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9 ~ 1955
본적
충청북도 충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7년

공적개요

1907년 충북(忠北) 제천(堤川)에서 재거의(再擧義)한 이강년 의진(李康秊義陣)에 참여하여 교련관(敎鍊官)으로 활동함. 동년(同年) 7월과 8월 사이에 경북(慶北) 문경(聞慶), 예천군(醴泉郡) 등지에서 신태원 의진(申泰元義陣)에 참여하여 영솔군(領率軍)으로 40여 명과 함께 의병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0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안충국
한자명
安忠國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3 ~ 1945
본적
함경북도 경성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8년

공적개요

1944년 교주(敎主) 임창세(林昌世)가 주도하는 청림교(靑林敎)의 신도(信徒)로서 동년(同年) 6월경(月頃) 연길현(延吉縣)과 화룡현(和龍縣)의 접경(接境) 포태산(砲台山)에서 일제(日帝)의 패전(敗戰)을 기원하는 기원제(祈願祭)를 행하고 미군(美軍)의 한국 상륙(韓國上陸)을 예상하여 환영준비로 미국기(美國旗)를 제작하며 신도(信徒)들을 규합, 일제(日帝)의 패전 기미(敗戰機微)를 보아 일제히 봉기할 것을 계획하는 등의 활동으로 동년(同年) 12월경(月頃) 일경에 피체(被逮)되어 옥고(獄苦)를 치르다가 8.15 광복(光復)으로 출옥(出獄)하였으나 동년(同年) 9월9일 고문 여독(拷問餘毒)으로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치구
한자명
安致九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4 ~ 1939
본적
경상남도 함안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3년

공적개요

중앙고등보통학교(中央高等普通學校)에 다니던 1933년 2월 6일 권우성(權又成) 등과 반전(反戰)을 촉구하는 격문을 뿌렸다가 일경(日警)에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에 집행유예(執行猶豫) 3년을 받기까지 2개월여의 옥고(獄苦)를 치렀으며 옥고로 인한 후유증으로 요절(夭折)한 사실(事實)이 확인(確認)됨.

인물정보

성명
안치대
한자명
安致大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8 ~ 1986
본적
경상북도 경산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7년

공적개요

1943년 경북(慶北) 경산(慶山)에서 기독교 신자로서 신사참배를 거부하는 등 활동하다가 일경(日警)에게 피체되어 1년여의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치삼
한자명
安致三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2 ~ 1920
본적
함경북도 회령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7년

공적개요

1920년 10월부터 11월까지의 경신참변(庚申慘變) 당시 중국(中國) 화룡현(和龍縣) 무관둔구(茂官屯溝)에 은닉한 소총과 폭탄이 발각되어 동년(同年) 11월 13일 일본군(日本軍)에게 총살당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치서
한자명
安致西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0년

공적개요

1896. 7월 유인석(柳麟錫)의병장이 이끄는 호좌의진(湖左義陣)에 소속되어 포군(砲軍)으로 활동하다가 호좌의진(湖左義陣)이 만주 서북지역으로 근거지를 이동할 목적으로 평북(平北) 양덕(陽德), 맹산(孟山), 희천(熙川) 등지를 경유하여 강계부(江界府)에 이르렀을 때 관군(官軍)에 체포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안창희

한자명

安昌熙

생몰년도

1883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1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북도 청진

자세히 보기

성명

안천수

한자명

安千壽

생몰년도

1913 ~ 1963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울진

자세히 보기

성명

안천종

한자명

安千鍾

생몰년도

1870 ~ 194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일

자세히 보기

성명

안철재

한자명

安喆載

생몰년도

1886 ~ 192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안성

자세히 보기

성명

안최언

한자명

安崔彦

생몰년도

미상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3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안춘생

한자명

安椿生

생몰년도

1912 ~ 2011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63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안춘흥

한자명

安春興

생몰년도

1879 ~ 1955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7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충주

자세히 보기

성명

안충국

한자명

安忠國

생몰년도

1893 ~ 1945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8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북도 경성

자세히 보기

성명

안치구

한자명

安致九

생몰년도

1914 ~ 1939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0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함안

자세히 보기

성명

안치대

한자명

安致大

생몰년도

1918 ~ 1986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7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경산

자세히 보기

성명

안치삼

한자명

安致三

생몰년도

1892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07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북도 회령

자세히 보기

성명

안치서

한자명

安致西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