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안만순
한자명
安萬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1968
본적
충청북도 보은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4.12 충북(忠北) 보은군(報恩郡) 수한면(水汗面) 무서리(畝西里) 농암산(籠岩山)에서 부락민 60여명을 모아 독립만세운동을 권유하고 이들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안만순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안만이
한자명
安萬伊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5 ~ 1934
본적
경상북도 상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20년대 만주(滿洲)지역의 대표적인 독립운동 단체(獨立運動團體)인 참의부(參議府), 신민부(新民府),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등에서 활동하였으며, 특히 1931년 만주 사변 이후에는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의 군대인 한국독립군(韓國獨立軍)에서 활발한 대일투쟁을 전개하던 중 1932년말 일제에 의해 체포되었으며 옥고(獄苦)로 인하여 병사(病死)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맥결
한자명
安麥結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1 ~ 1976
본적
평안남도 강서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19년 10월 평양 숭의여학교 재학 중 일제의 이른바 ‘시정기념일’ 만세시위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20일간 구금되었고, 1925년 1월 중국(中國) 남경(南京)에서 흥사단(興士團) 원동위원부(遠東委員部)에 가입하였으며, 1927년 3월 평남(平南) 강서(江西)에서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에 참여했고, 1937년 11월 서울에서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 사건(事件)으로 체포되었다가 기소유예(起訴猶豫)로 석방됨.

인물정보

성명
안명근
한자명
安明根
운동계열
계몽운동
생몰년도
1879 ~ 1927
본적
황해도 신천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2년

공적개요

1. 안중근 종제(安重根從弟)로서 1910년 경술(庚戌)12월 왜 총독(倭總督) 사내(寺內)가 압록강철교 준공식전에 참가하는 기회에 이를 사살하려고 계획하였으나 발각되어 무기징역의 선고를 받고 10년 복역하였다

인물정보

성명
안명순
한자명
安命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0 ~ 1919
본적
경기도 수원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3.25 경기도(京畿道) 수원군(水原郡) 향남면(鄕南面) 발안리(發安里)에서 봉화를 올리고 독립만세를 고창하였으며 그 후 발안(發安)장날을 기하여 1,000여명의 군중과 함께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는데 1919.4.15 일군(日軍) 20여명이 제암리(堤岩里) 부락에 내습(來襲)하여 남자들을 교회에 모이게 한 다음 밖에서 석유를 뿌리고 방화하여 소사(燒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명옥
한자명
安明玉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2 ~ 1943
본적
경기도 용인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1일 경기도(京畿道) 용인군(龍仁郡) 원삼면(遠三面) 사무소 앞에서 황경준(黃敬俊) 등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고 시위를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0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무
한자명
安武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3 ~ 1924
본적
함경북도 종성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80년

공적개요

1910년 만주로 망명한 이래 독립운동단체의 중요한 간부를 역임하면서 봉오동전투와 자유시 등지에서 활약을 하였으며 일경과 교전하다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무상
한자명
安武商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3 ~ 1927
본적
경상남도 의령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9년

공적개요

1919. 3. 14 경남(慶南) 의령군(宜寧郡) 의령면(宜寧面) 의령읍내(宜寧邑內)에서 7백의 군중(群衆)이 조선독립만세(朝鮮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시위를 전개하자 이에 참가하여 함께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0월에 집행유예(執行猶豫) 2년을 받고 미결(未決)로 약(約) 5개월간(個月間)의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무순
한자명
安武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미상 ~ 1919
본적
경기도 수원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3.25 경기도(京畿道) 수원군(水原郡) 향남면(鄕南面) 발안리(發安里)에서 봉화를 올리고 독립만세를 고창하였으며 그 후 발안(發安)장날을 기하여 1,000여명의 군중과 함께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는데 1919.4.15 일군(日軍) 20여명이 제암리(堤岩里) 부락에 내습(來襲)하여 남자들을 교회에 모이게 한 다음 밖에서 석유를 뿌리고 방화하여 소사(燒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안무순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안미생
한자명
安美生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915 ~ 2008
본적
황해도 신천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40년대 중국 중경에서 한국독립당 당원, 대한민국임시정부 비서 등으로 활동함.

인물정보

성명
안미학
한자명
安美鶴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5 ~ 미상
본적
함경북도 온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20년 7월부터 중국 소재 대한북로독군부(大韓北路督軍府)의 징모과원(徵募課員)이 되어 함북(咸北) 온성군(穩城郡)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10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안배언
한자명
安拜言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6 ~ 미상
본적
경기도 양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7년 10월 25일경(日頃)부터 박내병 의진(朴來秉義陣)에 가담하여 경기도(京畿道) 양주(楊州), 가평(加平) 등지에서 일본병과 교전(交戰)하는 등 활동(活動)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유형(流刑) 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안만순

한자명

安萬淳

생몰년도

1899 ~ 196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보은

자세히 보기

성명

안만이

한자명

安萬伊

생몰년도

1895 ~ 1934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상주

자세히 보기

성명

안맥결

한자명

安麥結

생몰년도

1901 ~ 1976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8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강서

자세히 보기

성명

안명근

한자명

安明根

생몰년도

1879 ~ 1927

운동계열

계몽운동

포상훈격

1962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신천

자세히 보기

성명

안명순

한자명

安命淳

생몰년도

1900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수원

자세히 보기

성명

안명옥

한자명

安明玉

생몰년도

1882 ~ 194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6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용인

자세히 보기

성명

안무

한자명

安武

생몰년도

1883 ~ 1924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80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북도 종성

자세히 보기

성명

안무상

한자명

安武商

생몰년도

1883 ~ 192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의령

자세히 보기

성명

안무순

한자명

安武淳

생몰년도

미상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수원

자세히 보기

성명

안미생

한자명

安美生

생몰년도

1915 ~ 2008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2022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신천

자세히 보기

성명

안미학

한자명

安美鶴

생몰년도

1895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5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북도 온성

자세히 보기

성명

안배언

한자명

安拜言

생몰년도

1876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기도 양주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