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신태유
한자명
申泰惟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8 ~ 1920
본적
평안북도 정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8년

공적개요

1920년 중국(中國) 봉천성(奉天省) 통화현(通化縣) 솔교보(率敎堡) 제탑구(堤榻溝)에서 청년단(靑年團) 서기(書記)로 활동하다가 동년(同年) 11월 4일 일군(日軍)에 피체(被逮)되어 11월 11일 통화(通化)에서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신태윤
한자명
申泰允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4 ~ 1961
본적
전라남도 곡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3.29 전남(全南) 곡성군(谷城郡) 곡성읍(谷城邑)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하여 청소년에게 독립정신을 깨우쳐 주어 태극기와 격문을 미리 제작하여 수십명의 청소년들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 연창하며 시위하다 피체되어 징역2년을 받아 복역하였으며 출옥 후에는 조선사람은「얼」과 역사를 알아야 한다는 일념으로 신단오천년(神壇五千年) 정사(正史) 등을 저술하는 한편 단군국조(檀君國祖)의 영정(影幀)을 모시는 단군단(檀君壇)을 4개소에 설치하여 춘추재(春秋齋)를 올리며 민족정기를 선양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신태윤
한자명
申泰允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4 ~ 1932
본적
경기도 강화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8일 경기도 강화군 읍내 장터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공소 불수리 처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신태의
한자명
申泰義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1 ~ 1974
본적
경기도 강화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3년

공적개요

1919. 3. 18. 경기도(京畿道) 강화군(江華郡) 부내면(府內面) 읍내(邑內) 장터에서 전개된 독립만세 시위운동에 참여하여 군청, 경찰서 등에 쇄도하여 군수와 경찰서장에게 독립만세를 부르게 하는 등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신태익
한자명
申泰益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8 ~ 1986
본적
함경남도 신흥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39.5.28 함남(咸南) 함흥(咸興)에서 변호사로 활동 중 전국경제조사시찰단(全國經濟調査視察團) 일행의 환영회에서 일제(日帝)의 ‘내선일체’(內鮮一體)와 소위 황민화 정책(皇民化政策)을 비판하였다가 피체되어 징역8월을 받았고, 1943.12월 다시 일제의 정책을 비판하였다가 육해군형법(陸海軍刑法) 위반으로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신태익
한자명
申泰翼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4
본적
평안북도 영변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2년

공적개요

1922년 8월 중국(中國) 봉천성(奉天省) 환인현(桓仁縣)에서 출범한 통의부(統義府)의 교통부(交通部) 부감(部監)으로 활동하였고, 1924년 통의부와 의성단(義誠團)(의성단(義成團))의 연합을 위해 동단(同團)에 파견되어 무기와 군사 협조를 구하여 돌아오던 중 중병(中兵)의 공격으로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신태종
한자명
申泰鍾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1 ~ 1973
본적
경상북도 영덕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06년부터 1908년까지 경북(慶北) 영릉 의진(寧陵義陣)의 포대장(砲大將)으로 영덕(盈德), 영해(寧海), 영양(英陽) 등지에서 활동하였다고 하나 객관적인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음.

인물정보

성명
신태하
한자명
申泰廈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56 ~ 미상
본적
함경남도 이원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2년

공적개요

1919. 3. 11. 함남(咸南) 이원군(利原郡) 남면(南面) 차호시장(遮湖市場)에서 1천여 명의 군중과 함께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이라 쓴 기를 앞세우고 헌병주재소, 면사무소 등지로 행진하는 등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약 4개월의 옥고(獄苦)를 치르고 징역 8월 집행유예(執行猶豫)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신태형
한자명
申泰亨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15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35년 3월 조선혁명군에 입대하여 1937년 7월까지 중국 길림성 집안‧환인‧관전현 등에서 동군 제2‧3중대 소속으로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신태홍
한자명
申泰鴻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7 ~ 1951
본적
황해도 안악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19. 3. 9 황해도(黃海道) 안악(安岳)에서 태극기(太極旗) 180개를 비밀리에 제작하여 만세운동을 사전에 준비하는 한편 동년(同年) 3월 29일 동창리(東倉里) 장날에 태극기(太極旗)를 배포하고 독립만세(獨立萬歲) 시위(示威)를 주도하다가 일경(日警)에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신태휴
한자명
申泰烋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0 ~ 1931
본적
경상북도 청송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경북(慶北) 청송(靑松) 현서면(縣西面) 시장에서 3.1운동 만세사건의 주모자로서 1919. 5. 5 대구복심법원에서 2년형을 언도받었으며 청장년에게 항일사상 교육 등 민족주의 사상을 보급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신태희
한자명
申泰熙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1 ~ 1935
본적
충청남도 서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4.4 충남도(忠南道) 서산군(瑞山郡) 대호지면(大湖芝面)의 3.1독립만세 시위 운동(獨立萬歲示威運動)에 참가(參加)하여 일경(日警) 주재소(駐在所)를 습격(襲擊) 파괴(破壞)하는 등 활동(活動)하다 체포되어 징역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신태유

한자명

申泰惟

생몰년도

1888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8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정주

자세히 보기

성명

신태윤

한자명

申泰允

생몰년도

1884 ~ 196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곡성

자세히 보기

성명

신태윤

한자명

申泰允

생몰년도

1884 ~ 193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강화

자세히 보기

성명

신태의

한자명

申泰義

생몰년도

1901 ~ 197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강화

자세히 보기

성명

신태익

한자명

申泰益

생몰년도

1898 ~ 1986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6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남도 신흥

자세히 보기

성명

신태익

한자명

申泰翼

생몰년도

미상 ~ 1924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2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영변

자세히 보기

성명

신태종

한자명

申泰鍾

생몰년도

1881 ~ 1973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6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덕

자세히 보기

성명

신태하

한자명

申泰廈

생몰년도

1856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이원

자세히 보기

성명

신태형

한자명

申泰亨

생몰년도

1915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21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의주

자세히 보기

성명

신태홍

한자명

申泰鴻

생몰년도

1887 ~ 195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6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안악

자세히 보기

성명

신태휴

한자명

申泰烋

생몰년도

1870 ~ 193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청송

자세히 보기

성명

신태희

한자명

申泰熙

생몰년도

1871 ~ 193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서산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