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송상진
한자명
宋相振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7 ~ 1967
본적
경상남도 김해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2년

공적개요

1919. 4. 2 경남 김해군(金海郡) 김해읍(金海邑) 시장에서 다수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는 등 시위행진을 전개하다 체포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事實)이 확인(確認)됨.

인물정보

성명
송서룡
한자명
宋瑞龍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16 ~ 1979
본적
평안북도 미상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63년

공적개요

1945.7 한국광복군 제3지대(韓國光復軍第三支隊)에 입대(入隊).

송서룡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송석규
한자명
宋錫圭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5 ~ 1980
본적
충청남도 청양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6·8일 충남(忠南) 청양군(靑陽郡) 운곡면(雲谷面)에서 면민(面民) 600여명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가 체포되어 1919년 4월 21일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송석규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송석래
한자명
宋錫來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6 ~ 1910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07년 김태원[김준] 의진(金泰元[金準]義陣)의 중군장(中軍將)으로서 전남(全南) 영광(靈光), 광주(光州) 등지에서 일본군과 전투하여 일군(日軍)을 사살하는 등 전공을 세우다가 광주(光州) 어등산(魚登山) 접전시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송석봉
한자명
宋錫奉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1972
본적
충청북도 음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3일 충북(忠北) 음성(陰城) 감곡(甘谷) 문촌(文村) 응봉산(鷹鳳山)에서 리민(里民) 수 십 명을 이끌고 조선독립만세를 고창하였고, 동월(同月) 4일 면서기에게 독립만세를 고창할 것을 권유하는 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송석우
한자명
宋錫禹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1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20년 봄 만주(滿洲) 관전현(寬甸縣)에서 임시정부(臨時政府) 연통제(聯通制) 평북(平北) 독판부(督瓣府) 벽동군감(碧潼郡監)으로 임명되어 활동(活動)하던 중 1921. 6. 17 벽동(碧潼) 경찰서(警察署) 순사 임곡(林谷)에게 탐지되어 습격을 받고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송석준
한자명
宋錫峻
운동계열
계몽운동
생몰년도
1865 ~ 1907
본적
평안북도 의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미국(美國), 상항(桑港)에서 공립협회(共立協會)를 조직하여 총회장으로 공립신보(共立新報)를 창간(創刊)하여 주필(主筆)로 활동하면서 언론 출판(言論出版)을 통한 민족의식(民族意識)을 고취(鼓吹)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송석지
한자명
宋錫智,宋白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39
본적
충청남도 청양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6·8일 충남(忠南) 청양군(靑陽郡) 운곡면(雲谷面)에서 면민(面民) 600여명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가 체포되어 1919년 4월 21일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송석형
한자명
宋錫亨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19 ~ 2005
본적
충청남도 대전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1. 5. 부터 1942. 8. 까지 중국군(中國軍) 유격대(遊擊隊)에서 공작활동하다가 1942. 8. 광복군(光復軍) 제 2지대에 입대 한미특수훈련반(O.S.S), 군사특수무기반을 수료하고 간부대원에 임명되어 그 후 부위로 재임중 국내 침투공작계획을 하다가 8.15 광복을 맞이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송선호
한자명
宋善鎬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1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위원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22년 음력 1월 25일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집안현(輯安縣)에서 서로군정서 제1중대 가입한 뒤, 대한통의부 대원으로 고산진 경찰주재소를 공격, 방화, 군자금을 모집하고 1923년 6월 평북(平北) 강계군(江界郡)에서 일본수색대와 교전하여 일본 순사 2명과 밀정을 사살하고, 우편소 습격 등의 활동으로 참사(參事)로 승급함. 1924년 4월 임시정부 산하 남만주 독립군단을 통일하자는 선언서에 참의부(參議府) 제1중대 대원으로 서명하고 1925년 제2중대 부하들을 이끌고 평북(平北) 위원군(渭原郡) 지역에 출동하여 밀정을 총살하고, 군자금을 모집하였으며 1927년 12월경 중국(中國) 집안현(輯安縣) 대청구(大淸區)에서 체포되어 징역 13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송성겸
한자명
宋聖謙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7 ~ 미상
본적
평안남도 강서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평남(平南) 강서(江西)에서 3.1운동(運動)에 참여하여 체포되었다가 악형을 받고 방면되었고 같은 해 8월 기독교 감리파 애국부인회(愛國婦人會) 증산지회장(甑山支會長)을 맡아 군자금을 모집하였으며, 11월 장로파와 합하여 대한애국부인회(大韓愛國婦人會)가 조직되자 동 증산지회장(甑山支會長)으로 활동하면서 군자금을 모집하고 임시정부 연락원에게 전달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4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송성무
한자명
宋聖武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전라북도 기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09년 3월 전북(全北) 고부군(古阜郡)에서 국호남 의진(鞠湖南義陣)에 참여하여 군자금(軍資金)과 군량품(軍糧品)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5년을 받음.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송상진

한자명

宋相振

생몰년도

1887 ~ 196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김해

자세히 보기

성명

송서룡

한자명

宋瑞龍

생몰년도

1916 ~ 1979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6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송석규

한자명

宋錫圭

생몰년도

1895 ~ 198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청양

자세히 보기

성명

송석래

한자명

宋錫來

생몰년도

1876 ~ 1910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6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나주

자세히 보기

성명

송석봉

한자명

宋錫奉

생몰년도

1897 ~ 197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음성

자세히 보기

성명

송석우

한자명

宋錫禹

생몰년도

미상 ~ 1921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송석준

한자명

宋錫峻

생몰년도

1865 ~ 1907

운동계열

계몽운동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의주

자세히 보기

성명

송석지

한자명

宋錫智,宋白龍

생몰년도

1890 ~ 193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청양

자세히 보기

성명

송석형

한자명

宋錫亨

생몰년도

1919 ~ 2005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대전

자세히 보기

성명

송선호

한자명

宋善鎬

생몰년도

1901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5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위원

자세히 보기

성명

송성겸

한자명

宋聖謙

생몰년도

1877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8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강서

자세히 보기

성명

송성무

한자명

宋聖武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8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기타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