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송병홍
한자명
宋柄虹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21 ~ 미상
본적
경상남도 울산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38. 4월 일본(日本) 동경(東京)에서 고학을 하던 중 손병계(孫柄桂) 등과 함께 일본이 세계대전에 말려들면 조선독립을 위해 일제히 봉기하자 하고 그 구체적 실천방안에 관해 협의하다 피체되어 1년간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송병홍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송복덕
한자명
宋福德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891 ~ 1965
본적
평안북도 의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1. 2. 이후 광복군(光復軍) 제5지대를 창설하고 총사령부(總司令部)에서 1945년 8월까지 활동함.

인물정보

성명
송봉룡
한자명
宋鳳龍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9 ~ 미상
본적
강원도 김화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37년 11월 강원도 춘천에서 춘천공립농업학교 재학중 독립운동을 목적으로 비밀결사 독서회에 가입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 집행유예 4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송봉숙
한자명
宋鳳淑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2 ~ 1920
본적
충청남도 서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4.4. 충남(忠南) 서산군(瑞山郡) 대호지면(大湖芝面) 적서리(赤鼠里)와 천의(天宜)장터에서 1,000여명(餘名)의 시위 군중(示威群衆)과 함께 독립만세(獨立萬歲)를 부르며 시위(示威)하면서 경찰 주재소(警察駐在所)를 엄습(掩襲)하여 시설물(施設物)등을 파괴(破壞)하며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형(年刑)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송봉운
한자명
宋逢云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1 ~ 1919
본적
충청남도 서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 4. 7 충남 서산군 대호지면(大湖芝面) 조금리(調琴里)에서 300여 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하다가 왜경의 무차별 발포로 인하여 총살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송사일
한자명
宋士一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4 ~ 1935
본적
충청남도 천안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1일 충남(忠南) 천안(天安) 갈전면(葛田面) 병천(並川)시장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송상근
한자명
宋相根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2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22년 3월 14일 임강현(臨江縣) 삼도구(三道溝) 삼서구(三西溝)에서 중강진서(中江鎭署)의 일경(日警) 4명과 교전(交戰)하다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송상대
한자명
宋尙大
운동계열
미주방면
생몰년도
1894 ~ 1970
본적
미상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19~1928년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나성지방회 재무·학무·법무 및 삼일절경축위원회 회계·재정수합위원, 상항지방회 서기, 1921년 신한민보사(新韓民報社) 통신원, 1945년 흥사단(興士團) 의사부원으로 활동하고,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제공함.

인물정보

성명
송상도
한자명
宋相燾
운동계열
문화운동
생몰년도
1871 ~ 1947
본적
경상북도 영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0년 대한제국 말기(大韓帝國末期)부터 1945년 광복시(光復時)까지 전국을 답사하여 일제(日帝)에 대항하여 항쟁한 애국선열(愛國先烈)들의 행적을 조사하여 기려수필(騎驢隨筆)을 편저(編著)하는 등 독립운동사연구(獨立運動史硏究)에 크게 공헌한 사실이 확인됨.

송상도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송상봉
한자명
宋相鳳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9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3년

공적개요

함남(咸南) 장진(長津) 출신으로 1908년 함남(咸南) 장진군(長津郡)에서 양봉익 의진(梁鳳翊義陣)에 참여하여 함남 삼수, 홍원, 함흥 등지에서 대일항전을 전개하였고, 1908년 8월 홍범도 의진(洪範圖義陣)에 합류하여 함남 장진군(長津郡) 등지에서 활동하다가 1909. 1. 12 일병(日兵)의 기습(奇襲)을 받고 싸우다가 전사 순국(戰死殉國)한 사실이 확인(確認)됨.

인물정보

성명
송상원
한자명
宋祥元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50 ~ 미상
본적
함경북도 경성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20년 3월 서울 광화문(光化門)에서 대한국민노인동맹단원(大韓國民老人同盟團員)으로 ‘노인단(老人團)’이라 쓴 적기(赤旗) 및 태극기를 들고 “조선(朝鮮) 민족(民族)은 분기(奮起)하여 일본제국(日本帝國)의 기반(羈絆)으로부터 벗어나 독립하여야만 한다”는 내용의 ‘통고문(痛告文)’을 반포하다 체포(逮捕)되어 징역 6월 집행유예(執行猶豫) 3년을 받았으며, 1923년 10월 김좌진(金佐鎭)이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동녕현(東寗縣) 소유분(小綏芬)에서 조직한 성동무관학교(成東武官學校) 교우회(校友會) 회장으로 회원 및 군자금 모집 등의 활동을 전개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송상익
한자명
宋相翊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75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초산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19년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집안현(輯安縣)에서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 외차구지단(外岔溝支團)에서 군자금을 모집하고, 1923년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 중앙의회(中央議會)에 집북(輯北) 지방대의원으로 참가하고, 1925년 진동도독부(鎭東都督府) 제6총관(總管)을 역임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송병홍

한자명

宋柄虹

생몰년도

1921 ~ 미상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1993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남도 울산

자세히 보기

성명

송복덕

한자명

宋福德

생몰년도

1891 ~ 1965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의주

자세히 보기

성명

송봉룡

한자명

宋鳳龍

생몰년도

1919 ~ 미상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21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강원도 김화

자세히 보기

성명

송봉숙

한자명

宋鳳淑

생몰년도

1892 ~ 192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서산

자세히 보기

성명

송봉운

한자명

宋逢云

생몰년도

1891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서산

자세히 보기

성명

송사일

한자명

宋士一

생몰년도

1874 ~ 193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천안

자세히 보기

성명

송상근

한자명

宋相根

생몰년도

미상 ~ 192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송상대

한자명

宋尙大

생몰년도

1894 ~ 1970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훈격

201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송상도

한자명

宋相燾

생몰년도

1871 ~ 1947

운동계열

문화운동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주

자세히 보기

성명

송상봉

한자명

宋相鳳

생몰년도

미상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3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송상원

한자명

宋祥元

생몰년도

1850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1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북도 경성

자세히 보기

성명

송상익

한자명

宋相翊

생몰년도

1875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5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초산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