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방재기
한자명
方載棄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1959
본적
충청남도 아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4월경 충남 아산군 선장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태 6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방정환
한자명
方正圜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6 ~ 미상
본적
미상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6년

공적개요

1920년 8월 중국(中國) 화룡현(和龍縣)에서 대한의군부(大韓義軍府) 서부지방(西部地方) 총리분국장(總理分局長)으로 의군부(義軍府) 중대장(中隊長)의 지시에 따라 함북(咸北) 부령군(富寧郡)에서 의군부(義軍府) 관련 문서를 배포하고 독립자금(獨立資金)을 모집하려다 체포되어 징역 10월을 받음.

방정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방정환
한자명
方定煥
운동계열
문화운동
생몰년도
1899 ~ 1931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7년 비밀 결사(秘密結社) 청년구락부(靑年俱樂部)를 조직하고 천도교(天道敎)청년회원으로 3.1운동 당시 독립선언문을 지하제작배포활동하였으며 1921년 필화 사건(筆禍事件)으로 왜경에 피검되는 등 전국청소년 및 어린이회장으로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방주익
한자명
方周翼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0 ~ 미상
본적
함경남도 단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15년 음력(陰曆) 11월 5일 함남(咸南) 단천(端川)에서 자립단(自立團)에 가입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고, 1921년 대한독립군비단(大韓獨立軍備團) 단원(團員),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함남교통국(咸南交通局) 참사(參事), 단천청년회(端川靑年會) 수하면지회(水下面支會) 평의부장(評議部長)으로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방준
한자명
方俊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7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27. 11. 13. 만주(滿洲) 화룡현(和龍縣) 연길시외(延吉市外) 연집강(延集岡) 소석구(小石溝)에서 혁신단(革新團) 제1분대장(分隊長) 한익(韓益)과 제2분대장(分隊長) 금강(金江)이 인솔하는 7명과 일본영사관(日本領事館) 경찰대(警察隊)와 3시간 30분 동안 교전(交戰)하다가 탄환이 떨어져 한익(韓益) 등 5명과 함께 전사 순국(戰死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방진형
한자명
房鎭馨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미상 ~ 1919
본적
전라북도 남원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 4. 4 전북 남원군 남원읍 장날을 기하여 시위군중 수 천명이 광한루(廣寒樓) 앞 광장에 집합하고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배부하며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헌병분대 앞으로 진행하자 일군(日軍)의 무차별 발포로 인하여 사살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방진형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방찬문
한자명
方贊汶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3 ~ 미상
본적
평안북도 태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22년 3월부터 중국 봉천성 통화현에서 통의부 제2중대 제3소대에 소속되어 1923년 2월 동지에서 군자금을 모집하고, 동년 11월 일제의 사주를 받은 중국 순경과 교전하다 부상을 입고 체포됨. 1926년 음 7월 정의부 부원으로 봉천성 개원현(開原縣) 전양목림자(前楊木林子)에서 밀정을 처단하고 동년 12월 길림성(吉林省) 장춘(長春)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8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방찬선
한자명
方贊善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2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9년

공적개요

1922. 12월 의용대(義勇隊) 대원(隊員)으로 군무(軍務)를 띠고 평북(平北) 강계군(江界郡) 문옥면(文玉面)에 출동(出動)하였다가 귀로(歸路)에 중국(中國) 집안현(輯安縣) 상화보(祥和堡)에서 일경(日警)의 습격을 받아 전사 순국(戰死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방창근
한자명
方昌根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5 ~ 1963
본적
충청남도 아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7년

공적개요

1920년 서울에서 이기하(李起夏) 등과 함께 결의단(結誼團)을 조직하여 비서장(秘書長)으로서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동하다가 일경(日警)에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방창희
한자명
方昌熙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4 ~ 미상
본적
평안남도 성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4일 평안남도(平安南道) 성천읍(成川邑)에서 4천여 군중과 함께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가 일경(日警)의 발포로 인해 총상을 입고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방치경
한자명
方致京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0 ~ 미상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9년

공적개요

1909년 8월 충청북도(忠淸北道) 영동군(永同郡)에서 재한(在韓) 일본인(日本人) 및 일본인(日本人)에게 사역(使役)하는 한인(韓人)을 처단하고 철도 정차장(鐵道停車場)을 파괴(破壞)할 것이라는 내용의 격문(檄文)을 배포하며 장정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류(流)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방치성
한자명
方致成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4 ~ 1919
본적
충청남도 천안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 4. 1 충남 천안군 갈전면(葛田面) 장터에서「대한독립(大韓獨立)」이라고 쓴 큰 깃발을 세운 후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장터를 누비고 시위할 때 일군(日軍)들의 야만적 기총난사로 총살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방재기

한자명

方載棄

생몰년도

1897 ~ 195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아산

자세히 보기

성명

방정환

한자명

方正圜

생몰년도

1886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6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방정환

한자명

方定煥

생몰년도

1899 ~ 1931

운동계열

문화운동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방주익

한자명

方周翼

생몰년도

1880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5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단천

자세히 보기

성명

방준

한자명

方俊

생몰년도

미상 ~ 1927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방진형

한자명

房鎭馨

생몰년도

미상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남원

자세히 보기

성명

방찬문

한자명

方贊汶

생몰년도

1903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21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태천

자세히 보기

성명

방찬선

한자명

方贊善

생몰년도

미상 ~ 192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9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방창근

한자명

方昌根

생몰년도

1885 ~ 1963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7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아산

자세히 보기

성명

방창희

한자명

方昌熙

생몰년도

1884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성천

자세히 보기

성명

방치경

한자명

方致京

생몰년도

1860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9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금산

자세히 보기

성명

방치성

한자명

方致成

생몰년도

1874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천안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