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창근
한자명
金昌根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1 ~ 미상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2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3일 서울 종로(鐘路) 4정목(丁目)에서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창근
한자명
金昌根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8 ~ 1959
본적
경상북도 봉화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26.1월 상순(上旬) 중국(中國)에 망명중(亡命中) 김창숙(金昌淑)이 내몽고지방(內蒙古地方) 미간지(未墾地) 20만평(萬坪)을 매입(買入)하여 중국(中國) 동삼성(東三省)에 산재(散在)하는 동포(同胞)들을 이주(移住)시켜 농경(農耕)케함으로써 얻어지는 수익금(收益金)으로 군대(軍隊)를 양성(養成)하고 둔병제도(屯兵制度)를 실시(實施)하여 독립운동(獨立運動)의 목적(目的)을 달성(達成)하려고 소요자금(所要資金) 20만원(萬圓)을 경북도(慶北道)를 중심(中心)으로 모집(募集)하려는 운동(運動)에 활동(活動)하다가 1926.12.28 나석주(羅錫疇)의 동척회사(東拓會社) 폭탄 투척시(爆彈投擲時)에 피체(被逮)된바 행형기록(行刑紀錄)을 확인(確認)할 수 없으나 1년간(年間)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김창근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창근
한자명
金昌根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902 ~ 1938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년

공적개요

1. 1926년 상해(上海)에서 병인의병대(丙寅義兵隊)에 가입하여 다음과 같은 활약을 함 (1) 상해공산당청년동맹(上海共産黨靑年同盟)을 해산시킴 (2) 상해 일본총영사관(上海日本總領事館)에 폭탄 투척 (3) 김구 살해 위계(金九殺害爲計)의 밀정(密偵) 이태서(李泰瑞) 사살 (4) 상해 일본총영사관(上海日本總領事館) 등정경부보(藤井警部補)에게 폭탄투척 불발 실패 2. 1936년3월 맹혈단(猛血團)에 가입 단장(團長) 오면식(吳冕植) 외 10여명과 상해 일본영사관(上海日本領事館)을 습격코자 잠입타가 왜경(倭警)에게 피체 3. 1938년 5월 16일 사형됨 (가출옥관계서류(假出獄關係書類) 264호 NO,16, 328호)

인물정보

성명
김창길
한자명
金昌吉
운동계열
노령방면
생몰년도
1900 ~ 미상
본적
함경북도 청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22년 10월경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고려혁명군에 가입하고 1924년 4월 조선혁명선언 등의 문서를 휴대하고 함북 청진에 잠입하여 선전활동을 기도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창덕
한자명
金昌德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0 ~ 1920
본적
평안북도 정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8년

공적개요

1920년 중국(中國) 봉천성(奉天省) 통화현(通化縣) 합마당(哈螞塘)에서 한족회(韓族會)의 기관지(機關紙)를 보급하는 등 활동하다가 동년(同年) 11월 4일 일군(日軍)에 피체(被逮)되어 11월 11일 통화(通化)에서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창도
한자명
金昌道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3 ~ 1923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 의용군(義勇軍) 제12중대원(中隊員)으로 1923년 7월경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통화현(通化縣) 통북(通北)부근에 주둔하다 중국군의 포위공격을 받아 피살(被殺)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창도
한자명
金昌道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7 ~ 1967
본적
평안남도 대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3.1운동에 참가후 평북(平北) 용천(龍川)으로 피신하고 만주(滿洲)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를 졸업한 후 남만주(南滿洲) 일대에서 독립군으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창락
한자명
金昌洛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9 ~ 1938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7일 경북 안동군 예안면 예안경찰관주재소 부근에서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8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창렬
한자명
金昌烈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5 ~ 1944
본적
강원도 양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3.1운동 당시 동리의 주동자로서 체포되어 징역8월형을 언도받었으며 1907년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 참여 및 1929년에 원산 노조 파업운동(元山勞組罷業運動)으로 체포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창렬
한자명
金昌烈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2 ~ 미상
본적
평안남도 순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4일 평남 순천군 자산면 자산리 시장에서 이승무(李昇茂), 김중현(金重鉉)이 연설을 하고 독립만세를 외치며 함께 할 것을 권유하자 이에 호응하여 시민들과 함께 독립만세를 부르는 등의 활동을 하고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창록
한자명
金昌祿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미상
본적
충청남도 천안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19년 4월경 충남 천안군 갈전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군중과 함께 만세시위를 벌이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태 6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창룡
한자명
金昌龍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0 ~ 1930
본적
평안북도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2년

공적개요

1920년 12월 대한청년회(大韓靑年會) 간사부(幹事部) 간사장(幹事長), 1923~1925년 통의부(統議府) 유격대(遊擊隊) 소대장(小隊長), 동대(同隊) 대장(隊長), 헌병대장(憲兵隊長), 동부(同府) 제8중대장(中隊長), 1926년 참의부(參議府) 제3중대(中隊) 소대장(小隊長) 등으로 활동하다 피살(被殺)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창근

한자명

金昌根

생몰년도

1881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김창근

한자명

金昌根

생몰년도

1878 ~ 1959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봉화

자세히 보기

성명

김창근

한자명

金昌根

생몰년도

1902 ~ 1938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1963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김창길

한자명

金昌吉

생몰년도

1900 ~ 미상

운동계열

노령방면

포상훈격

2022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북도 청진

자세히 보기

성명

김창덕

한자명

金昌德

생몰년도

1880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8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정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창도

한자명

金昌道

생몰년도

1883 ~ 1923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08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창도

한자명

金昌道

생몰년도

1897 ~ 1967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대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창락

한자명

金昌洛

생몰년도

1889 ~ 193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1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창렬

한자명

金昌烈

생몰년도

1885 ~ 194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양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창렬

한자명

金昌烈

생몰년도

1902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순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창록

한자명

金昌祿

생몰년도

1897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천안

자세히 보기

성명

김창룡

한자명

金昌龍

생몰년도

1890 ~ 193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2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미상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