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중석
한자명
金仲錫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3 ~ 1966
본적
함경남도 함흥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2.26 함남(咸南) 함흥군(咸興郡) 함흥면내(咸興面內) 사립영신학교(私立永信學校) 교사(敎師)로 있으면서 이근재(李根哉), 한영호(韓泳鎬) 등과 시위계획을 주동(主動)하고 동년 3월3일 장날을 기하여 거사하기로 결정하고 독립선언서 3,000여매와 태극기 수십매를 제작하는 한편 학생과 읍민(邑民)들의 규합을 위해 명기(名己) 책임(責任) 분담(分擔)을 하여 활동하던 중 거사일(擧事日) 아침에 일경에게 탐지(探知)되어 주동자(主動者) 검거시(檢擧時)에 피체(被逮)되어 징역 8월을 받아 미결기간(未決期間)을 합산(合算)하여 9월 18일간의 옥고(獄苦)를 치른 주동자(主動者)로서의공적(功績)과 흥업구락부(興業俱樂部)에 가입(加入)하여 독립 정신(獨立精神)을 고취(鼓吹)한 사실(事實)이 확인됨.

김중석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중섭
한자명
金仲涉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16 ~ 1985
본적
평안북도 철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44년 4월 광복군(光復軍) 제3지대 편입(支隊編入). 2. 1944년 10월 중앙군교(中央軍校) 제10분교(分校) 한광반(韓光班) 수료(修了). 3. 1945년 1월 임정 내무부(臨政內務部) 파견(派遣) 근무(勤務).

인물정보

성명
김중승
한자명
金仲承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2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22. 음력11월 만주(滿洲) 집안현(輯安縣)에서 어인동(魚因洞) 백가장(百家長)으로서 관민교제(官民交際)의 중추가 되어 동포의 편의를 도모하는 한편 독립운동에도 참여하다가 피체되어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중식
한자명
金重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1 ~ 1946
본적
경기도 안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안성(安城), 원곡(元谷) 양성(陽城) 독립만세시위에 가담하여 양성면사무소(陽城面事務所), 주재소(駐在所), 우편소(郵便所)와 원곡면사무소(元谷面事務所)를 습격 기물파괴 방화하고 징역10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중신
한자명
金仲信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2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27년 1월 평북 의주에서 김만재(金萬財) 등과 함께 조선독립단원으로 군자금 모집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5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중한
한자명
金重漢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02 ~ 1934
본적
평안남도 용강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22년 12월 박열(朴烈), 홍진유(洪鎭裕) 등과 함께 무정부주의(無政府主義)를 표방하는 흑우회(黑友會)를 창립하였으며 1923년 4월 일본(日本) 동경(東京)에서 ‘‘불령사’(‘不逞社’)’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였고 동년(同年) 9월 소위 일왕(日王)의 아들 결혼식에 참석하는 일본의 귀족을 비롯하여 내각총리대신 등을 폭살하려는 계획에 동참하였다가 평남(平南) 용강(龍岡)에서 일경(日警)에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언도받았고 1927년 석방되었으며 1928년 평남(平南) 진남포(鎭南浦)에서 신간회(新幹會) 정치문화부 총무간사를 역임하다가 1929년 8월 일경(日警)에 체포되자 동년(同年) 9월 탈출(脫出)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중한
한자명
金重漢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7 ~ 1952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2 만주(滿洲) 신광무관학교(新光武官學校)을 졸업(卒業) 서로군정서(西路軍政暑) 해룡지구경비대(海龍地區警備隊)에서 항일운동(抗日運動)을 하고 1936년에는 한국인소학교(韓國人小學校)를 설립(設立) 교장(校長)으로 취임(就任)하여 민족 교육(民族敎育)을 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중현
한자명
金仲鉉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4 ~ 1974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38. 8월부터 제주도 제주읍 삼도리 소재(所在) 천주교회(天主敎會) 신자(信者)로서 동성당(同聖堂)의 영국인 선교사 손신부(孫神父)·이응범(李應範)·허봉학(許鳳鶴) 등과 함께 성당(聖堂)이나 자신의 집에서 일제는 중국과의 전쟁(戰爭)에서 대승(大勝)한다는 보도(報道)와 달리 패전할 것이며 결국 조선(朝鮮)은 독립(獨立)한다는 시국담(時局談)을 이야기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 금고(禁錮) 10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중현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중호
한자명
金仲浩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16 ~ 1992
본적
평안북도 철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44. 5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제3지대 입대(入隊) 2. 1944. 8 주 서안광복군(駐西安光復軍) 제2지대 편입(編入) 3. 1945 한미훈련반(韓美訓練班) 수료(修了) 4. 1946 귀국(歸國)

인물정보

성명
김중화
한자명
金中和
운동계열
의열투쟁
생몰년도
1888 ~ 1972
본적
평안남도 중화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09. 12 이재명(李在明) 이응삼(李應三) 등과 오적암살을 모의하고 제일차로 이완용(李完用), 제이차로 김정익(金貞益), 이용구(李容九) 등을 암살하려 하였다. 이재명(李在明)이 서울 천주교당앞에서 리완용을 자상(刺傷)하다 공범으로 연좌되어 7년형 언도를 받아 복역하였다. 2. 1916년 출옥 후 만주(滿洲)로 망명, 흑룡강성역(黑龍江省域)에 황무지를 개간하고 독립운동자금을 조달하는 한편 군사 교육을 위한 학교를 설립하고 송강의원(松江醫院)도 개설

인물정보

성명
김지선
한자명
金知善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9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3년

공적개요

1909년 1월 5일 강원도 철원(鐵原)에서 명미상 의진(名未詳義陣)과 연락하며 활동한 혐의로 일병(日兵)에게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確認)됨.

인물정보

성명
김지섭
한자명
金祉燮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884 ~ 1928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대통령장
포상년도
1962년

공적개요

1. 21세 때(歲時)에 일어를 수삭(數朔)에 필(畢)하고 상주보통학교 교원(尙州普通學校敎員)이됨. 2. 1920년 5월에 북경(北京)으로 갔다가 뜻을 얻지 못하고 귀국함 3. 1922년 상해(上海)로 가서 김원봉(金元鳳)이 주도하는 의열단(義烈團)에 가입하고 상해 및 북경을 왕래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함 4. 익년(翌年) 3월 김시현(金始顯), 유석현(劉錫鉉)등과 왜적의 고관암살 중요시설(高官暗殺重要施設)의 파괴계획을 하다가 비밀이 폭로되어 상해로 망명한 후 동년(同年) 12월에 도일(渡日)함 5. 1924년 1월 5일 동경(東京)으로 와서 신년(新年)부터 제국의회(帝國議會)가 동경에서 열리는데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등이 참석한다는 소식을 듣고 폭탄으로 폭사(爆死)시키려다가 의회미개(議會未開)로 실패하고 1월 5일 저격 목적(狙擊目的)을 변경하여 위황궁성이중교(倭皇宮城二重橋)에 나타나 투탄(投彈)하매 1탄(一彈)은 불발 이탄(二彈)은 정문 석책 외(正門石柵外)에 떠러지고 삼탄(三彈)역시 불발로 목적 미달(目的未達)한채 근위대 초병(近衛隊哨兵)에 피검(被檢) 일 비곡경찰서(日比谷警察署)에 구속됨 6. 이 사건으로 일 내무장관(日內務長官) 총청본치(塚淸本治)는 견책(譴責), 정보국장(情報局長) 강전충언(岡田忠言)은 감봉(減俸) 경시총독(警視總督) 탕천창평(湯淺倉平)과 경찰부장(警察部長) 및 경찰서장(警察署長)은 면직(免職)함 7. 동년(同年) 10월 6일 일법원(日法院)에서 무기징역을 언도받고 불복 상고 중(不服上告中) 1928년 2월 20일 오전 8시반 천엽형무소(千葉刑務所)에서 병사(病死)함(향년 44세)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중석

한자명

金仲錫

생몰년도

1883 ~ 196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남도 함흥

자세히 보기

성명

김중섭

한자명

金仲涉

생몰년도

1916 ~ 1985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철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중승

한자명

金仲承

생몰년도

미상 ~ 192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6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중식

한자명

金重植

생몰년도

1901 ~ 194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안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중신

한자명

金仲信

생몰년도

1902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의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중한

한자명

金重漢

생몰년도

1902 ~ 1934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201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용강

자세히 보기

성명

김중한

한자명

金重漢

생몰년도

1897 ~ 195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중현

한자명

金仲鉉

생몰년도

1914 ~ 1974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3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제주도 제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중호

한자명

金仲浩

생몰년도

1916 ~ 1992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철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중화

한자명

金中和

생몰년도

1888 ~ 1972

운동계열

의열투쟁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중화

자세히 보기

성명

김지선

한자명

金知善

생몰년도

미상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3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지섭

한자명

金祉燮

생몰년도

1884 ~ 1928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1962대통령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