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응전
한자명
金應典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미상
본적
평안북도 구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7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1일 평안북도(平安北道) 구성군(龜城郡) 사기면(沙器面) 신시장(新市場)에서 5~600여명의 군중과 함께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가 신시장(新市場) 헌병대에게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제
한자명
金應濟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2 ~ 미상
본적
함경남도 신흥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7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4일 강원도(江原道) 이천군(伊川郡) 낙양면(樂壤面) 내락리(內洛里) 자기 집에서 천도교도인 김이순(金利淳) 등과 함께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벌이기로 협의하고 태극기를 만들어 그날 오후 지석리(支石里) 장날에 주민들을 동원하여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다가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조
한자명
金應祚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91
본적
경상북도 영덕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77년

공적개요

서울 탑동공원(塔洞公園)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에 가담하여 불란서영사관(佛蘭西領事館) 앞에서 시위장면(示威場面) 사진을 해외(海外)에 첫 보도(報道)케 한 후(後) 영덕 독립 거사(盈德獨立擧事)에 참가하고 징역 1년 6월형(月刑)을 언도받고 복역 후도 기독교 목사(基督敎牧師)로서 8.15광복시(光復時)까지 삼애주의(三愛主義)를 제창(提唱)하여 민족독립 사상(民族獨立思想)을 고취(鼓吹) 등의 사실이 확인됨.

김응조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응주
한자명
金應柱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평안남도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4.10 3지대 입대 1945.3 중국(中國), 해주(海州), 귀덕(歸德) 등지에서 지하공작 대원으로 활동. 귀국 후 병사.

인물정보

성명
김응진
한자명
金應鎭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34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3. 7 경북(慶北) 안동군(安東郡) 예안면(禮安面) 예안시장(禮安市場)에서 태극기를 들고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집
한자명
金應集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7 ~ 1937
본적
경기도 경성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19년 8월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가 3·1운동의 민족대표 33명 외 14명에 대한 내란죄 기소 및 재판강행을 비판하고 국치기념일(國恥紀念日)을 맞이하여 ‘광복을 이루어 국치(國恥)를 설욕(雪辱)하자’는 내용을 『국민신보(國民新報)』국치기념(國恥紀念) 특별호(特別號)에 게재(揭載)하였다 체포(逮捕)되어 금고(禁錮) 8월을 받았고, 1929년 7월부터 1930년 11월까지 신간회 경성지회(新幹會 京城支會) 상무집행위원과 재정부장으로 활동했고, 1933년 9월부터 1935년까지 해외에 있는 독립운동가들에게 자금을 대어 주는 비밀결사(秘密結社)로 1925년에 결성된 ‘흥업구락부(興業俱樂部)’의 회원으로 ‘적극신앙단(積極信仰團)’에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김응집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응철
한자명
金應喆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9 ~ 193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2년

공적개요

1930년 7월 18일부터 20일까지 함남(咸南) 단천군(端川郡) 하다면(何多面)에서 일제 삼림조합의 부당한 처우에 항의하고, 동 문제(問題)로 잡힌 군민(郡民)들의 석방을 요구하며 단천군청(端川郡廳)과 경찰서(警察署) 앞에서 시위를 전개하다가 일경(日警)에게 총을 맞고 1930. 7. 21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事實)이 확인(確認)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초
한자명
金應焦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2 ~ 1920
본적
평안북도 구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20년 6월 평북(平北) 의주(義州), 선천(宣川), 철산(鐵山)등지에서 김중량(金仲亮), 김동식(金東植)등이 친일파 처단, 일제 관공서의 습격을 통한 조선독립의 달성을 목적으로 결성한 비밀결사 보합단(普合團)에 가입하여 군자금 모집, 일본순사 사살, 친일파 처단 등의 활동(活動)에 참여하다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칠
한자명
金應七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1921
본적
충청남도 홍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충남(忠南) 홍성군(洪城郡) 금마면(金馬面)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탁
한자명
金應鐸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1959
본적
경상남도 하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8일 경남 하동군에서 박치화(朴致和) 등과 함께 대한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1920년 10월에 징역 1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응태
한자명
金應泰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0 ~ 1957
본적
경기도 인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25년 1월 인천에서 인천철공조합 창립총회에서 이사에 선임되고, 1930년 1월 가등정미소(加藤精米所)의 임금차별에 동맹파업에 참여하다 검거되었으며, 1931년 1월 인천노동조합 청년부 위원으로 활동함.

김응태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응하
한자명
金應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58 ~ 미상
본적
황해도 수안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9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3일 오후 황해도(黃海道) 수안군(遂安郡) 수안 헌병분대(遂安憲兵分隊) 앞에서 헌병분대장에게 헌병분소의 인도를 요구하며 시위운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 3월을 받은 사실(事實)이 확인(確認)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응전

한자명

金應典

생몰년도

1880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7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구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제

한자명

金應濟

생몰년도

1872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7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신흥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조

한자명

金應祚

생몰년도

1896 ~ 199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77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덕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주

한자명

金應柱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진

한자명

金應鎭

생몰년도

1890 ~ 193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집

한자명

金應集

생몰년도

1897 ~ 1937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8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경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철

한자명

金應喆

생몰년도

1909 ~ 1930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2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초

한자명

金應焦

생몰년도

1902 ~ 1920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구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칠

한자명

金應七

생몰년도

1880 ~ 192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홍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탁

한자명

金應鐸

생몰년도

1893 ~ 195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하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태

한자명

金應泰

생몰년도

1900 ~ 1957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인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하

한자명

金應河

생몰년도

1858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9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수안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