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응성
한자명
金應星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60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21 편항시장(鞭巷市場)독립운동만세시위에 참가하여 활동하다가 체포(逮捕)되여 1919. 8. 18 대구복심법원(大邱覆審法院)에서 징역 2년형을 언도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수
한자명
金應水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7 ~ 1909
본적
전라북도 기타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3년

공적개요

1908년 11월 이도연(李道連)의 권유를 받아 의병(義兵)에 참여한 후 전북 태인(泰仁), 순창(淳昌) 등지에서 군자금 모집 등의 활동을 하다가 귀가(歸家)하였고, 1909년 2월 10일부터 다시 유양춘(柳陽春)과 함께 정읍(井邑) 등지에서 활동하다가 1909. 7. 5 일경(日警)에게 체포되어 1909. 7. 30 병사(病死)한 사실(事實)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수
한자명
金應洙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1959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9일 경북 안동군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2,000여 명의 군중과 함께 안동경찰서와 안동군청 앞에서 만세시위를 벌이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무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응수
한자명
金應守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1 ~ 1979
본적
경상남도 통영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3. 11 부산(釜山) 일신여학교(日新女學校) 고등과 학생으로 일신여학교(日新女學校)에서 일어난 독립만세 시위를 주도하다가 피체(被逮)되어 부산지방법원(釜山地方法院)에서 보안법위반으로 징역 5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숙
한자명
金應淑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0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의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20년 9월부터 1921년 7월까지 평북(平北) 의주군(義州郡) 가산면(加山面)에서 대한독립청년단(大韓獨立靑年團)에 가입하여 단원들이 중국(中國)과 조선(朝鮮)을 왕래할 때에 배를 제공하여 주는 등 활동을 지원하다 체포되어 징역 10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응식
한자명
金應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9 ~ 1944
본적
경기도 수원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2.부터 동지들을 규합하여 독립운동(獨立運動)을 하다 동년 4월 2,000여 군중(群衆)들과 만세시위를 하다 면사무소(面事務所), 주재소(駐在所)를 습격 파괴하고 순사부장을 타살(打殺)하다 왜헌(倭憲)에 체포되어 경성복심법원(京城覆審法院)에서 징역 3년을 언도받고 복역한 후 지하운동을 함.

인물정보

성명
김응식
한자명
金應植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7 ~ 1944
본적
평안북도 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20년 8월 광복군(光復軍) 신의주(新義州) 선천(宣川) 특파결사대의 선천(宣川)경찰서 폭파사건에 관련되어 1921년 4월 21일 평양복심원(平壤覆審院)에서 징역형 3년 언도.(동아일보(東亞日報) 1921.4.14자에도 게재) 1919년 4월 3일 수원(水原) 화수리(花樹里) 주재소를 소훼(燒毁)하고 피포되어 경성지방법원(京城地方法院)에 송치되었는데 송치된 인수가 7인(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164에 수록)

인물정보

성명
김응오
한자명
金應五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9 ~ 1908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4년

공적개요

1908년 이차봉(李且奉), 한치문(韓致文) 등 10여 명과 함께 의진(義陣)을 편성하여 경남(慶南) 산청(山淸) 순사주재소를 습격하여 관급품(官給品)을 수합하고 삼가군(三嘉郡), 합천군(陜川郡) 등지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동하였으며 일 순사에 체포되어 현지 조사 등을 위해 연행되던 중 탈출을 기도하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오
한자명
金應五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5 ~ 1949
본적
경기도 화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화성군(華城郡) 장안(長安) 일대(一帶) 3.1운동사건 주동자로 1920. 12. 9 경성복심법원에서 3년형을 언도받았으며 지역사회운동을 지휘한 공적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옥
한자명
金應玉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6 ~ 1934
본적
평안북도 강계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33년 조선혁명군(朝鮮革命軍)에 입대하여 제4중대(中隊) 부관(副官)으로 활동하다가 1934년 12월 중국(中國) 요령성(遼寧省) 통화현(通化縣) 강산령(崗山領)에서 일본군과 전투 중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원
한자명
金應元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6 ~ 1972
본적
평안북도 영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20년 8월경 미의원단 내한시(來韓時) 그들의 목전(目前)에서 무장독립투쟁(武裝獨立鬪爭)을 전개하여 한국인의 자주성과 반일사상을 전세계(全世界)에 알리고자 광복군부(光復軍府)의 지령으로 경성(京城)에 특파(特派)되여 활동중 거사(擧事)3일전(日前)에 일경(日警)에 피체(被逮)(동아일보(東亞日報) 1920. 8. 24) 2. 1920년 평북(平北) 영변(寧邊)에서 경성(京城)에 폭탄(爆彈)을 비밀(秘密)히 보내어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대관(大官)들을 살해코저 한 자(者)로 봉천(奉天)에 피체(被逮)(동아일보(東亞日報) 1922. 3. 3) 3. 체만독립운동(滯滿獨立運動)(동명(東明)3호편(号篇) 1922. 9. 17)

인물정보

성명
김응일
한자명
金應一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5 ~ 미상
본적
평안남도 평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23년 5월 중국 길림성 연길현 용정촌의 동양학원(東洋學院)이 주최하는 학생특별강연에서 신사상을 선전하다 체포되어 재류금지처분 1년을 받음. 동년 7월 국자가(局子街)에서 동양학원 강사 방한민(方漢旻)이 결성한 조선혁명단 단원으로 동년 8월 국자가 두도구(頭道溝)에서 개최될 천도경편철도(天圖輕便鐵道) 개통식에 즈음한 일본영사관 및 공관에 대한 폭탄 투척, 주요 관원 암살 및 신사상 선전삐라 살포 등을 계획하다 체포되어 징역 3년을 받음. 1926년 10월 중국 길림성 용정촌에서 동만청년총연맹 집행위원, 1927년 사주노동조합 집행위원 등으로 활동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응성

한자명

金應星

생몰년도

1890 ~ 196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수

한자명

金應水

생몰년도

1867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3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수

한자명

金應洙

생몰년도

1880 ~ 195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수

한자명

金應守

생몰년도

1901 ~ 197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통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숙

한자명

金應淑

생몰년도

1900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5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의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식

한자명

金應植

생몰년도

1879 ~ 194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수원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식

한자명

金應植

생몰년도

1897 ~ 1944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의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오

한자명

金應五

생몰년도

1879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4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오

한자명

金應五

생몰년도

1885 ~ 194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화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옥

한자명

金應玉

생몰년도

1896 ~ 1934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강계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원

한자명

金應元

생몰년도

1896 ~ 197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영변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일

한자명

金應一

생몰년도

1905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21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평양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