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용희
한자명
金龍熙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1 ~ 2001
본적
평안북도 선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인물정보

성명
김우곤
한자명
金宇坤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6 ~ 1919
본적
경상남도 함안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3.20 경남(慶南) 함안군(咸安郡) 군북(郡北)장날에 신창학교생(新昌學校生) 50여명이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를 벌이자 장터에 모인 3,000여명이 합세하여 출동한 일군(日軍)과 대치하고 투석전을 벌이며 주재소를 파괴할 때 일군경(日軍警)의 무차별 발포로 사살(射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김우곤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우곤
한자명
金佑坤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0 ~ 1951
본적
전라남도 광양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30년 1월 전남 여수수산학교 2학년 재학 중 광주학생운동 지지 시위로 체포된 학생들의 석방을 요구하는 동맹휴교를 계획하다 퇴학 처분을 받음.

김우곤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우권
한자명
金宇權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0
본적
경상도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년 3. 1. 운동(運動)이 봉기(蜂起)하자 만주(滿洲)에서 청년(靑年)들을 교도(敎導)하다가 일경(日警)에 피체(被逮)되어 옥고(獄苦)를 치르고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의용군(義勇軍) 중대장(中隊長)으로 활동(活動)하던 중 1920.6 월 유하현(柳河縣) 부근 야저구(野猪溝)에서 일경(日警)과 중국산림대(中國山林隊)의 포위(包圍) 습격(襲擊)을 받아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우근
한자명
金禹根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6 ~ 미상
본적
강원도 양양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9일 강원도(江原道) 양양군(襄陽郡) 현북면(縣北面) 면사무소 앞에서 김재한(金在漢)의 주동 하에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미결구류(未決拘留) 180일 통산(通算))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우근
한자명
金宇根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6 ~ 1968
본적
평안남도 안주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년

공적개요

○ 1919. 3.1 운동에 가단하여 적군토벌대장에 피임(被任) ○ 1920 광복군(光復軍) 제 1영 3대장으로 국내 벽동(碧潼), 창성(昌城), 삭주(朔州) 등지에서 적기관파괴, 왜적다수사살 ○ 1921 임정(臨政) 연통제(聯通制) 평북독판부비밀경감(平北督瓣府秘密警監) ○ 1922 통의부(統義府) 독립소대장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262, 항일순국의열사전 p.137)

인물정보

성명
김우득
한자명
金宇得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2 ~ 미상
본적
경상북도 기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07년 강원도(江原道) 울진군(蔚珍郡) 평해면(平海面)에서 성익현 의진(成益顯義陣)에 참여하였고, 이듬해 2월 신돌석 의진(申乭石義陣)에 참여하여 경북(慶北) 영해(寧海)․영덕(盈德)․진보(眞寶) 등지에서 활동하였으며, 1909년 11월 경북(慶北) 영덕군(盈德郡)에서 군자금 모집 및 의병밀고자 처단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 체포(逮捕)되어 징역 7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우락
한자명
金宇洛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54 ~ 1933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1년 2월 경북 안동에서 가족과 함께 만주로 망명한 뒤 ‘해도교거사’, ‘간운사’ 등을 지어 독립운동 참여를 다짐하는 등, 1932년 귀국할 때까지 경학사(經學社), 부민단(扶民團),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등을 이끌었던 남편 이상룡(李相龍)을 도와 독립운동을 지원함.

인물정보

성명
김우림
한자명
金佑林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6 ~ 1978
본적
경상남도 산청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2 - 3월 곽종석(郭鍾錫)의 지시로 윤충하(尹忠夏), 김창숙(金昌淑) 등과 함께 파리강화회의에 보낼 독립청원서(獨立請願書)의 작성 준비에 참여하여 연락, 교섭 등 적극적으로 활동하였고 1925년 김창숙(金昌淑)의 주도로 독립군 기지건설과 군사양성을 위한 군자금모집 활동에 참여하여 경남(慶南) 진주(晋州), 산청(山淸), 의령(宜寧), 거창(居昌) 지역을 맡아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우문
한자명
金又文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0 ~ 1963
본적
경상남도 마산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31년 9월 경남(慶南) 마산(馬山)의 산호리(山湖里)에서 김형윤(金炯潤) 등과 공산주의 사회 건설을 목적으로 마산적색교원회(馬山赤色敎員會)를 조직, 책임자로 취임하여 활동하다가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우섭
한자명
金禹燮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1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독립군(獨立軍)으로 활동하다 1920년 11월 11일 일제(日帝)의 보병(步兵) 제74연대(聯隊)에 의해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우옥
한자명
金羽玉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7 ~ 1908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4년

공적개요

1908년 이차봉(李且奉), 한치문(韓致文) 등 10여 명과 함께 의진(義陣)을 편성하여 경남(慶南) 산청(山淸) 순사주재소를 습격하여 관급품(官給品)을 수합하고 삼가군(三嘉郡), 합천군(陜川郡) 등지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동하였으며 일 순사에 체포되어 현지 조사 등을 위해 연행되던 중 탈출을 기도하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용희

한자명

金龍熙

생몰년도

1921 ~ 2001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선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우곤

한자명

金宇坤

생몰년도

1886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함안

자세히 보기

성명

김우곤

한자명

金佑坤

생몰년도

1910 ~ 1951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2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광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우권

한자명

金宇權

생몰년도

미상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도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우근

한자명

金禹根

생몰년도

1866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강원도 양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우근

한자명

金宇根

생몰년도

1896 ~ 1968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63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안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우득

한자명

金宇得

생몰년도

1872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북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김우락

한자명

金宇洛

생몰년도

1854 ~ 1933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9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우림

한자명

金佑林

생몰년도

1896 ~ 1978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산청

자세히 보기

성명

김우문

한자명

金又文

생몰년도

1910 ~ 1963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8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마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우섭

한자명

金禹燮

생몰년도

1891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06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우옥

한자명

金羽玉

생몰년도

1877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4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