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영휘
한자명
金永輝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3 ~ 1970
본적
전라남도 해남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4.4 해남군(海南郡) 해남읍(海南邑)에서 해남보통학교 학생(海南普通學校學生)과 주민 다수를 규합하여 독립만세시위를 주동하다 피체되어 징역10월을 받았으나 미결기간(未決期間)을 합산하여 1년여의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희
한자명
金永禧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1 ~ 1909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3년

공적개요

1909년 경 전남(全南) 벌교(筏橋)에서 30명의 의병을 이끌고 활동하다 1909. 9. 24 일병(日兵)에게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事實)이 확인(確認)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희
한자명
金永熙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5 ~ 1929
본적
경기도 안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양성면주재소(陽城面駐在所) 앞 만세 시위(萬歲示威)를 주도(主導)하다가 체포(逮捕)되어 7년형(年刑)을 받어 복역(服役)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예식
한자명
金禮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미상
본적
경기도 개성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31일 황해도 평산군 인산면에서 만세시위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예원
한자명
金禮元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5 ~ 1960
본적
충청남도 서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19. 4. 4 충남(忠南) 서산군(瑞山郡) 대호지면(大湖芝面)에서 800 여명(餘名)의 면민(面民)과 함께 만세시위 운동(萬歲示威運動)에 참가(參加)하여 동 면사무소(面事務所) 및 경찰관 주재소 앞에서 태극기를 앞세우고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다 피체(被逮)되어 태(笞) 90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예준
한자명
金禮俊
운동계열
미주방면
생몰년도
1881 ~ 1970
본적
미상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14년 미국 하와이에서 대한인국민회 하와이 총회가 운영하는 국민군단 참위, 1932년 임시정부 후원 목적의 하와이애국단 발기, 1941년 해외한족대회 하와이 지방위원, 1944년 한국독립당 하와이 총지부 고문부 부원으로 활동함. 1941~1945년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인물정보

성명
김예진
한자명
金禮鎭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898 ~ 1950
본적
평안남도 대동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2년

공적개요

1. 1919년 3.1운동(運動)에 참가하여 징역 6개월 복역. 2. 출옥 후 만주(滿洲)에 가서 독립단(獨立團)에 가입하여 군자금 모집(軍資金募集)하려 수차 평안남도(平安南道) 각군(各郡)에 들어왔다가 3. 1920년 다시 입국하여 의용단(義勇團) 서무부장(庶務部長)이 되었다. 동 6월에 강서(江西)에 가서 일신청년단(一新靑年團) 결사대(決死隊)를 조직하여 동 7월에 안주(安州)에서 경관(警官) 1명을 사살하였고, 4. 그길로 평양(平壤)에 들어가서 평남도청(平南道廳)을 폭파하여 명중시키지 못하였지만 일인(日人)의 간담을 서늘케 하였다. 5. 1926년 3월 상해 일본영사관(上海日本領事館)에 폭탄을 던졌으나 또 명중되지 않았다. 동월(同月) 15일 피체되어 평양(平壤)에서 15년 구형을 받았다.

인물정보

성명
김예호
한자명
金禮浩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13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운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20년 8월 미의원단(美議員團) 내한시(來韓時) 광복군(光復軍)의 지령(指令)을 받고 결사대(決死隊)를 조직(組織)하고 입단(入團)하여 신의주(新義州) 정거장(停車場) 호텔 등을 파괴하고 돌아가다.(동아일보(東亞日報) 1920. 8. 24, 1920. 9. 19, 1920. 12. 9,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302) 2. 1936년 조선혁명군정부(朝鮮革命軍政府) 중대(中隊) 무등병(無等兵)으로 활약(活躍)하다가 피체(被逮)되어 2년형(刑)을 받다.(가출옥(假出獄) 442)

인물정보

성명
김오룡
한자명
金五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3 ~ 미상
본적
충청남도 공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1일 충남(忠南) 공주군(公州郡) 정안면(正安面) 석송리(石松里)와 광정리(廣亭里)에서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10월(미결구류(未決拘留) 100일 통산(通算))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오명
한자명
金五命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9 ~ 1933
본적
경상북도 의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9.3.19 정오경 경북 의성군 안평면 창길동민(倉吉洞民)을 권유, 호응한 군중들과 함께 한국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안평면 하령동에서 봉양면(鳳陽面) 사부동(沙阜洞)까지 시위행진 하다가 다음날 주동인물로 피체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오복
한자명
金五福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7 ~ 미상
본적
평안남도 순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20년 음력 10월 평남(平南) 순천(順天)에서 조직된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 부인향촌회(婦人鄕村會)에 가입하고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를 지원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됨.

인물정보

성명
김오선
한자명
金悟善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8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영변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3년

공적개요

1919년 서울에서 대한민국애국부인회 회원으로 활동하다 체포되어 불기소 처분을 받음. 1922년 평양 기홀병원에서 간호사로 근무하던 중 부인적십자단(婦人赤十字團)에 연루되어 체포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영휘

한자명

金永輝

생몰년도

1903 ~ 197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해남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희

한자명

金永禧

생몰년도

1881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3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희

한자명

金永熙

생몰년도

1895 ~ 192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안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예식

한자명

金禮植

생몰년도

1897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2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기도 개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예원

한자명

金禮元

생몰년도

1885 ~ 196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서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예준

한자명

金禮俊

생몰년도

1881 ~ 1970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훈격

2022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예진

한자명

金禮鎭

생몰년도

1898 ~ 1950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1962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대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예호

한자명

金禮浩

생몰년도

1913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운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오룡

한자명

金五龍

생몰년도

1883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1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공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오명

한자명

金五命

생몰년도

1889 ~ 193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의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오복

한자명

金五福

생몰년도

1897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순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오선

한자명

金悟善

생몰년도

1898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영변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