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영진
한자명
金永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미상
본적
경기도 수원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일 서울 파고다 공원에서 경성의학전문학교 3학년 학생으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수천 명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며 만세시위를 벌이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 집행유예 3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영진
한자명
金永鎭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7 ~ 2020
본적
경상북도 봉화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43.6월부터 중국(中國) 서주(徐州)에서 광복군(光復軍) 초모 공작(招募工作) 및 적정 탐지(敵情探知) 활동 2. 1944.9 광복군(光復軍)에 입대 제3지대 창설요원과 특파공작 활약하다가 1945.3.13 왜군 특파대(倭軍特派隊)에 체포되어 남경형무소(南京刑務所)에서 징역 단기3년 장기5년형을 받고 6개월간 복역하다가 해방으로 출옥함.

인물정보

성명
김영진
한자명
金英鎭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0 ~ 미상
본적
함경북도 성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20년 4월 중국 길림성 연길현에서 대한학생광복단을 조직하고 참모장 겸 탐정장이 되어 ‘공함’이라는 제목의 독립운동 선전물을 작성하고 회원 및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영찬
한자명
金榮贊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6 ~ 1936
본적
충청남도 아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19년 4월경 충남(忠南) 아산군(牙山郡) 선장면(仙掌面)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태(笞) 40도(度)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영찬
한자명
金永瓚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24 ~ 2017
본적
경상남도 동래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1. 12월 동래공립보통학교(東萊公立普通學校) 재학시 조선독립당(朝鮮獨立黨)을 조직하며 일군사기밀 탐지 및 일군 탄약고 폭파 계획 등을 모의하고 결행직전에 일경에게 피체되어 구속 구류중 광복을 맞이하여 출옥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찬
한자명
金英贊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9 ~ 1954
본적
경상남도 고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19년 4월경 경남 고성에서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하여 만세를 부르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영창
한자명
金永昌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4 ~ 1943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7.21 임동(臨東) 편항(鞭巷)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하여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1919.8.19 대구복심법원(大邱覆審法院)에서 징역2년형을 언도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채
한자명
金永采
운동계열
의열투쟁
생몰년도
1873 ~ 1931
본적
전라북도 정읍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07년 3월 서울에서 나인영(羅寅永)이 주도하는 을사오적 암살계획에 동참하여 동조세력을 규합하고 거사자금을 조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다가 체포되어 유형(流刑) 10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철
한자명
金永哲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12 ~ 1983
본적
평안북도 의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9년

공적개요

1931년 11월 하순 중국(中國) 신빈현(新賓縣) 하남가(河南街)에서 조선혁명군(朝鮮革命軍)에 가입하여 통신 연락의 임무를 띠고 활동하다가 1932년 1월 20일 신빈(新賓)에서 피체(被逮)되어 동년 6월 30일 기소유예(起訴猶豫)처분을 받기까지 5개월(個月) 이상의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철
한자명
金永喆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8 ~ 1987
본적
경상북도 영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0년

공적개요

1919. 3. 1 경성의학전문학교(京城醫學專門學校)에 재학 중 파고다공원에서의 독립선언식(獨立宣言式)에 참석한 후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서울시내를 시위 행진하였고 동월 5일의 남대문(南大門)앞 시위에도 참가하였으며, 동년 4월 최익환(崔益煥)과 전협(全協) 등이 주도 조직한 조선민족대동단(朝鮮民族大同團)에 참여하여 ‘선언서’, ‘경고문’, ‘일본국민에게 고함’ 등의 항일격문의 배포책임을 맡아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1년 6월여(月餘)의 옥고(獄苦) 끝에 징역 6월에 집행유예(執行猶豫)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철
한자명
金榮哲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2 ~ 1969
본적
평안북도 영변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년

공적개요

1919년 관전현(寬甸縣) 청년단(靑年團) 연합회(聯合會) 의용대원(義勇隊員)으로 활동 광복군(光復軍) 총관부단장(總管副團長) 결사단장(決死團長). 1920년 미 의원단(美議員團) 내한(來韓)을 계기(契機)로 특파 폭탄대(特派爆彈隊)로 김성택(金聖澤) 김최명(金最明) 동지(同志)와 경성(京城)에 잠입 총독부청(總督府廳) 종로경찰서(鐘路警察署)와 남대문역(南大門驛)을 폭파하려다 사전에 발각되어 1920. 8. 21 아서원(雅敍園)에서 체포되어 10년 형의 언도를 받고 서대문옥(西大門獄)에서 복역 (동아일보(東亞日報) 1920. 8. 24;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236)

인물정보

성명
김영철
한자명
金永哲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4 ~ 미상
본적
경상북도 영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4년

공적개요

1907년 8월 경북(慶北) 안동군(安東郡)에서 박처사 의진(朴處士義陣)에, 동년 10월 유시연 의진(柳時淵義陣)에 참여하여 군수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15년을 받음.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영진

한자명

金永珍

생몰년도

1893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기도 수원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진

한자명

金永鎭

생몰년도

1927 ~ 2020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봉화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진

한자명

金英鎭

생몰년도

1900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21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북도 성진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찬

한자명

金榮贊

생몰년도

1876 ~ 193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아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찬

한자명

金永瓚

생몰년도

1924 ~ 2017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동래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찬

한자명

金英贊

생몰년도

1889 ~ 195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고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창

한자명

金永昌

생몰년도

1884 ~ 194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채

한자명

金永采

생몰년도

1873 ~ 1931

운동계열

의열투쟁

포상훈격

200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정읍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철

한자명

金永哲

생몰년도

1912 ~ 1983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9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의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철

한자명

金永喆

생몰년도

1898 ~ 1987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0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철

한자명

金榮哲

생몰년도

1892 ~ 1969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63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영변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철

한자명

金永哲

생몰년도

1884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4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북도 영양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