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영종
한자명
金永鍾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15 ~ 1974
본적
평안북도 삭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43. 8월 중국 남경에서 광복군 남경특파원 이일범(李一凡)과 합류되어 한족동맹(韓族同盟)에 가담 활동하다가 1945. 7월 광복군 징모처(徵募處) 제3분처(分處)에 입대하고 종전 무렵의 대한민국임시정부 국군으로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주
한자명
金永柱
운동계열
의열투쟁
생몰년도
1896 ~ 1930
본적
경상남도 부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20. 8월 중국(中國) 상해(上海)에서 의열단원(義烈團員) 단장(團長) 김원봉(金元鳳)으로부터 부산경찰서장을 죽여 독입운동의 기세를 고양하자는 권유를 받고 폭탄을 지원받은 박재혁(朴載赫)이 부산경찰서를 폭파하는데 연계하여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주
한자명
金英柱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21 ~ 2000
본적
경상남도 고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41년 후 일본(日本) 동경(東京)에서 평소에 느끼고 품고 있던 한국민족(韓國民族)에 대한 차별대우에 분노가 겹쳐 더욱 민족적 의식을 고양(高揚)하고 모든 고난(苦難)을 극복하여 민족(民族)의 독립 발전(獨立發展)을 도모하여야 한다는 신념으로 학우(學友)인 강철규(姜哲奎), 나기욱(羅基郁), 엄호영(嚴昊永), 노병예(盧炳禮) 등과 같이 비밀리에 자주 회합하는 등의 활동(活動)을 하다 피체(被逮)되어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준
한자명
金永俊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8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08.2월 의병진(義兵陣)(진명(陣名) 미상)의 부장(副將)으로 함남(咸南) 영원군(寧遠郡) 신창면(新昌面)에서 일 순사(日巡査)를 처단하는 등 활동하다 영흥군(永興郡)에서 일 군경(軍警)과의 교전 중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준
한자명
金永俊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01 ~ 1956
본적
평안남도 대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45. 6 광복군(光復軍) 5지대 입대(入隊) 2. 1941. 6 전간단(戰幹團) 필업(畢業) 3. 1942. 8 광복군(光復軍) 2지대 편입(編入) 4. 1946. 6 귀국(歸國) 후(後) 사망(死亡)

인물정보

성명
김영준
한자명
金永俊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7 ~ 1910
본적
강원도 기타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07.8월 강원도(江原道) 평강(平康)에서 거의(擧義)하여 의병장(義兵將)으로 여주(驪州) 회양(淮陽) 금성(金城) 이천(伊川) 평강(平康) 등 각지(各地)에서 군자금(軍資金) 모집(募集)과 일군(日軍) 수비대(守備隊)와의 교전(交戰)을 벌이고 1908.11.5. 이천읍(伊川邑)에서 일경(日警)과 접전(接戰)하는 등 활동(活動)을 하다가 피체(被逮)되어 동년(同年) 교수(絞首)를 받고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중
한자명
金永中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4 ~ 미상
본적
함경남도 갑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7년 12월 23일 홍범도 의진(洪範圖義陣)에 소속되어 이군(里軍) 15명과 함께 함남(咸南) 갑산군(甲山郡) 천남면(天南面) 신흥덕리(新興德里)에서 일진회 회원 박중혁(朴重赫)과 최만선(崔萬善)을 총살 처단하였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중
한자명
金永仲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45
본적
경상남도 기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4. 2 통영시일(統營市日) 3.1운동에 참가 1919. 7. 15 대구복심법원(大邱覆審法院)에서 1년형 받고 1927년 경남도(慶南道) 평의원회의 석상(評議員會議席上)에서 매국적 발언을 한 김기정(金淇正) 성토로 구류중인 동지 석방 구출과 김기정(金淇正) 타도를 위한 주동적 활동으로 징역 8월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진
한자명
金永鎭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9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3년

공적개요

1907년부터 서응오(徐應五), 김내서(金乃西) 등을 이끌고 전북(全北) 부안 등지에서 활동하다가 1909년 경 순국(殉國)한 사실(事實)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진
한자명
金永鎭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1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9년

공적개요

1921. 12. 23. 대한독립군비단원(大韓獨立軍備團員)으로 함남(咸南) 삼수군(三水郡) 호인면(好仁面) 일대에서 활동하던중 일경이 체포하려 하자 저항하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진
한자명
金瑛鎭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0 ~ 미상
본적
충청남도 예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20년 조병채(趙炳彩)와 함께 중국(中國) 길림(吉林)의 길림군정부(吉林軍政府) 군무독판 겸 총사령관 김좌진(金佐鎭)에게 독립운동에 필요한 군자금을 제공하기 위하여 충청남도 및 전라북도 등지의 부호들을 대상으로 수천원의 군자금을 조달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0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진
한자명
金永鎭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3 ~ 미상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일 서울 종로(鍾路) 보신각 앞에서 학생 50여 명과 함께 독립시위운동을 전개하였고, 동년 6월 21~23일 서울 남대문 일대에서 파리평화회의에 독립을 호소하는 내용의 문서 20여 매를 배포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영종

한자명

金永鍾

생몰년도

1915 ~ 1974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1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삭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주

한자명

金永柱

생몰년도

1896 ~ 1930

운동계열

의열투쟁

포상훈격

199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부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주

한자명

金英柱

생몰년도

1921 ~ 2000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고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준

한자명

金永俊

생몰년도

미상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6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준

한자명

金永俊

생몰년도

1901 ~ 1956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대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준

한자명

金永俊

생몰년도

1867 ~ 1910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중

한자명

金永中

생몰년도

1874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갑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중

한자명

金永仲

생몰년도

1890 ~ 194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진

한자명

金永鎭

생몰년도

미상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3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진

한자명

金永鎭

생몰년도

미상 ~ 1921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9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진

한자명

金瑛鎭

생몰년도

1880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예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진

한자명

金永鎭

생몰년도

1883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