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양숙
한자명
金良淑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64 ~ 1963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19년 음(陰) 6월 전남(全南) 나주(羅州)에서 유한선(劉漢先)의 취지에 찬성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 원조를 위해 조직된 국민회에 가입하고, 동년(同年) 음(陰) 7월말 동지(同地) 기독교도들을 대상으로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양순
한자명
金良順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1 ~ 1936
본적
충청남도 아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19. 4. 2 밤 충남(忠南) 아산군(牙山郡) 신창면(新昌面) 학성산(鶴城山) 위에서 이덕균(李悳均)의 주동으로 약 2백 명의 군중과 함께 횃불을 올리고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하며 시위를 벌이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양제
한자명
金亮濟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4 ~ 1967
본적
충청남도 보령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4. 17 충남(忠南) 보령군(保寧郡) 주산면(珠山面) 증산리(甑山里) 뒷산인 주렴산(珠簾山)에 올라가 국사봉(國師峰)을 비롯한 3개소(個所)에 태극기(太極旗)를 꽂고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를 낭독(朗讀)한 후(後) 시위 군중(示威群衆)과 함께 독립만세(獨立萬歲)를 부르다 피체(被逮)되어 태(笞) 90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양준
한자명
金陽俊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4 ~ 1910
본적
전라북도 기타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6년

공적개요

1907년 전북(全北) 함열(咸悅)․용안군(龍安郡)에서 김문삼(金文三) 등과 함께 군아(郡衙) 및 순사 주재소(巡査駐在所) 등을 습격하여 군자금과 군수품 등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15년을 받고 옥고를 치르던 중 순국(殉國)함.

인물정보

성명
김양칠
한자명
金良七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2 ~ 미상
본적
충청남도 서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2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4일 충남(忠南) 서산군(瑞山郡) 대호지면(大湖芝面) 천의시장(天宜市場)에서 400여 명의 군중과 함께 조선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벌이던 중 군중에게 발포한 일경(日警) 을 구타하고 천의경찰관(天宜警察官) 주재소(駐在所)에 투석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양한
한자명
金霷漢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9 ~ 1975
본적
충청남도 홍성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20년 1월경 서울에서 주비단(籌備團)에 참여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 후원을 위해 공채를 매각하며 군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양호
한자명
金良昊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4 ~ 미상
본적
경상남도 김해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2년

공적개요

1922년 2월부터 중국(中國) 봉천성(奉天省) 흥경현(興京縣) 대한의군부(大韓義軍府) 소속으로 호구조사(戶口調査), 군자금(軍資金) 및 독립군(獨立軍) 모집 활동을 하다 체포(逮捕)되어 일본(日本) 철령영사(鐵嶺領事)로부터 1924년 2월 27일부터 향후 3년간 중국 거류금지 처분(中國居留禁止處分)을 받고 동년(同年) 3월 24일 신의주지방법원(新義州地方法院)에서 징역 10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양훈
한자명
金暘壎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5 ~ 1943
본적
평안북도 희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년 평북(平北) 희천(熙川)에서 희천청년회(熙川靑年會)를 조직하여 연통제(聯通制) 계통으로 독립운동자금 을 모집하던 중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억쇠
한자명
金億釗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57 ~ 미상
본적
경상북도 봉화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09년 3월초에 경상북도(慶尙北道) 봉화군(奉化郡) 소천면(小川面) 풍애리(豊崖里)에서 정경태·정기철 의진(鄭敬泰·鄭基哲義陣)에 가담하여 의병활동을 전개하다 일군(日軍)에 체포(逮捕)되어 징역 10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언배
한자명
金彦培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0 ~ 1952
본적
충청북도 제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23년

공적개요

1920년 8월부터 함경남북도 일대에서 대한신민단 의연대원으로 군자금 및 단원 모집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6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언세
한자명
金彦世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8 ~ 1911
본적
함경남도 안변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09.7월 국권(國權)을 회복(恢復)하고저 의병(義兵)을 일으켜 활동(活動)하다가 군자금(軍資金) 모집(募集)에 부응(不應)하는 자(者)를 방화(放火) 응징(膺懲)하고 일 경찰(日警察) 주재소(駐在所)와 헌병(憲兵) 분견소(分遣所)를 습격(襲擊) 군총(軍銃) 등을 노획(鹵獲)한 후(後) 피체(被逮)되어 교수형(絞首刑)으로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언수
한자명
金彦洙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4 ~ 1944
본적
전라북도 정읍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2년

공적개요

보천교도(普天敎徒)였다가 1929년 무렵 삼성교(三聖敎)에 귀의하여 1942년 조선(朝鮮)의 독립(獨立)을 믿고 민족의식의 고취와 조직의 확장 등을 위해 노력하다가 1942년 경 체포되어 징역 4년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르다 가출옥(假出獄)하여 사망(死亡)한 사실(事實)이 확인(確認)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양숙

한자명

金良淑

생몰년도

1864 ~ 1963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나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양순

한자명

金良順

생몰년도

1881 ~ 193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6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아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양제

한자명

金亮濟

생몰년도

1894 ~ 196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보령

자세히 보기

성명

김양준

한자명

金陽俊

생몰년도

1874 ~ 1910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6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김양칠

한자명

金良七

생몰년도

1882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2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서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양한

한자명

金霷漢

생몰년도

1899 ~ 1975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0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홍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양호

한자명

金良昊

생몰년도

1884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2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남도 김해

자세히 보기

성명

김양훈

한자명

金暘壎

생몰년도

1895 ~ 1943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희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억쇠

한자명

金億釗

생몰년도

1857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8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북도 봉화

자세히 보기

성명

김언배

한자명

金彦培

생몰년도

1890 ~ 1952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3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제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언세

한자명

金彦世

생몰년도

1868 ~ 1911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남도 안변

자세히 보기

성명

김언수

한자명

金彦洙

생몰년도

1894 ~ 1944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2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정읍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