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암우
한자명
金巖于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3 ~ 1967
본적
전라남도 해남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33. 1월 전남(全南) 해남군(海南郡) 북평면(北平面) 이진리(梨津里)에서 김홍배(金洪培) 황동윤(黃同允) 등과 완도(莞島) 해남(海南) 양군(兩郡)의 농민운동(農民運動) 지도 기관(指導機關) 설치에 관해 협의하고 동년(同年) 5월 해남군(海南郡)에 전남운동협의회(全南運動協議會)가 결성되자 이후 동지획득과 조직확대에 힘쓰는 한편 해태어업조합원(海苔漁業組合員)에 대한 저금 환불 문제(貯金還拂問題)와 풍수해(風水害)로 인한 농작물(農作物) 감수(減收)에 따른 소작료(小作料) 감면(減免)을 목표로 소작쟁의(小作爭議)를 일으킬 것을 계획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고 미결기간(未決期間)을 합산(合算)하여 3년간(年間)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암회
한자명
金岩回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1 ~ 1936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8. 8 - 11월 박처사 의진(朴處士義陣)에 소속되어 경북(慶北) 영양(英陽)과 예안(禮安), 강원도(江原道) 평해일대(平海一帶)에서 의병활동(義兵活動)을 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애련
한자명
金愛蓮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6 ~ 1996
본적
경상남도 부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4.8 동년 3.11의 일신여학교(日新女學校) 학생들의 의거 후 옥중 소식에 분개하여 부산진공립보통학교(釜山鎭公立普通學校) 학생으로서 동료 김호봉(金浩鳳), 이갑이(李甲伊) 등과 함께 일신여학교 학생 약50여명 등 인근 수백명의 군중을 규합하여 좌천동 신도로에서 독립만세시위운동을 전개하다 일경에게 피체되어 징역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야운
한자명
金野雲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31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29년 말(末) 만주(滿洲)에서 민족주의자(民族主義者)와 무정부주의자(無政府主義者)가 결합하여 결성(結成)한 한족총연합회(韓族總聯合會)에서 활동(活動)하였으며 동년(同年) 12월에는 해림(海林)에서 김종진(金宗鎭),이강훈(李康勳) 등과 북만(北滿) 민립중학기성회(民立中學期成會)를 개최하고 그 집행위원(執行委員)이 되어 교포 청소년들의 애국심 고취에 기여하였으며 1930. 3. 3 북만주(北滿洲)에서 결성(結成)된 신한농민당(新韓農民黨)의 위원(委員)으로 활동(活動)하다가 1931년 경(頃) 공산주의자에게 피살(被殺)당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약연
한자명
金躍淵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68 ~ 1942
본적
함경북도 종성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77년

공적개요

1907년 간도연변교민회장(間島延邊僑民會長), 1909년 명동중학교(明東中學校) 등을 설립. 배일사상 고취(排日思想鼓吹), 독립정신 계도(獨立精神啓導), 1912년 간도국민회장으로 독립운동의 선봉(先鋒), 1913년 간민교육회 창설(墾民敎育會創設), 의료기관(醫療機關)(제중원(濟衆院))을 설립하고 독립운동자를 치료하고 은신처 제공(隱身處提供), 1918년 이동휘(李東輝), 이승만(李承晩) 등 39인 서명(署名)으로 무오(戊午)독립선언서, 1919년 3. 13. 전북간도대한독립선언대회(全北間島大韓獨立宣言大會)에서 한족대표 김약연(金躍淵) 이하 17인 서명으로 대한독립선언서발표, 1923년 전간도주민 자치권주장 대회대표 등의 활약으로 왜인(倭人)들은 한족독립운동의 수령자(首領者)로 중국인은 한국대통령으로 호칭(呼稱)된 독립운동의 지도급(指導級)인사임이 사실로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약준
한자명
金若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47
본적
함경남도 이원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3.10 함남(咸南) 이원군(利原郡) 동면(東面)의 천도교구장(天道敎區長)으로 있으면서 이도재(李道在)가 가지고 온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를 보고 13인회의(人會議)를 소집하여 조선독립단(朝鮮獨立團) 이원지단(利原支團)을 결성하고 인근면(隣近面)에 동지를 파견하여 시위군중을 규합하는 한편 격문(檄文) 100여매를 작성하여 읍내(邑內) 민가(民家)에 투입하고 이날 모인 700여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8월을 받았으며 미결기간(未決期間)을 합산(合算)하여 11월8일간의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양모
한자명
金養模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50 ~ 1935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19. 3월 파리강화회의에 한국독립을 호소하기 위하여 김창숙(金昌淑) 등이 유림대표(儒林代表)가 되어 작성한 독립청원서에 유림(儒林)의 한 사람으로 서명(署名)한 특수공적 사실이 확인됨.

김양모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양선
한자명
金良善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0 ~ 미상
본적
평안남도 순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19년 음력 10월 평남(平南) 순천(順川)에서 조직된 비밀결사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 부인향촌회(婦人鄕村會)에 가입하고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를 지원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됨.

인물정보

성명
김양선
한자명
金良善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8 ~ 1970
본적
평안북도 의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7년

공적개요

1930년 1월 21일 평양에서 광주학생운동에 호응하여 강한식(姜寒食) 등과 격문을 만들어 동월(同月) 22일 평양시내와 숭실전문학교 등 9개 학교에 배포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동년 7월 금고(禁錮) 3월, 집행유예(執行猶豫) 3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양수
한자명
金亮洙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미상
본적
함경남도 장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4일 함남 장진군 신남면 고토리에서 한영태(韓永泰) 등의 독립만세운동 계획에 호응하여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고, 헌병주재소를 공격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0월을 받음.

김양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양수
한자명
金陽洙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49 ~ 1930
본적
전라북도 정읍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1년

공적개요

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이 체결되자 고석진(高石鎭), 고예진(高禮鎭), 고성열(高聖烈), 고시덕(高時德), 강종회(姜鍾會) 등과 함께 최익현 의진(崔益鉉義陣)을 결성하기 위한 모의에 참여하였으며, 1919년 3.1운동 후 유림대표들이 주도한 파리장서에 서명한 사실(事實)이 확인(確認)됨.

김양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양수
한자명
金良洙
운동계열
문화운동
생몰년도
1896 ~ 1971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35년 이후(年以後) 조선어학회(朝鮮語學會)에 있으면서 조선어 사전(朝鮮語辭典) 편찬 사업(編纂事業)과 국어 보존(國語保存)에 주력(主力)하며 재무적(財務的) 지원(支援)을 상당(相當) 활약(活躍)하다가 1942. 10 일제(日帝)에 체포(逮捕)되어 2년3월간(月間) 옥고(獄苦)를 치름.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암우

한자명

金巖于

생몰년도

1913 ~ 1967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3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해남

자세히 보기

성명

김암회

한자명

金岩回

생몰년도

1881 ~ 1936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애련

한자명

金愛蓮

생몰년도

1906 ~ 199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부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야운

한자명

金野雲

생몰년도

미상 ~ 1931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약연

한자명

金躍淵

생몰년도

1868 ~ 194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77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북도 종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약준

한자명

金若濬

생몰년도

1896 ~ 194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남도 이원

자세히 보기

성명

김양모

한자명

金養模

생몰년도

1850 ~ 193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6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양선

한자명

金良善

생몰년도

1880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순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양선

한자명

金良善

생몰년도

1908 ~ 1970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7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의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양수

한자명

金亮洙

생몰년도

1898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장진

자세히 보기

성명

김양수

한자명

金陽洙

생몰년도

1849 ~ 193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1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정읍

자세히 보기

성명

김양수

한자명

金良洙

생몰년도

1896 ~ 1971

운동계열

문화운동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