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승옥
한자명
金升玉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9 ~ 1964
본적
전라북도 고창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3.19 전북(全北) 고창군(高敞郡) 고창읍내(高敞邑內) 장날에 독립만세운동을 거사하기 위하여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 국민휘보(國民彙報) 조선독립가(朝鮮獨立歌) 등을 등사하여 준비추진중 적경(敵警)의 탐지로 일시 좌절되었으나 동월 21일 청년 학생 등 100여명을 규합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일으키고 활동하다 피체되어 징역1년6월을 받아 복역하였으며 출옥 후에는 고창청년회(高敞靑年會) 고창노동친목회(高敞勞動親睦會)의 위원장(委員長) 또는 회장(會長)으로 선출되어 14년간에 걸쳐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김승옥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승원
한자명
金承元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2 ~ 미상
본적
평안남도 중화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19년 평남(平南) 중화군(中和郡) 상원면(祥原面)에서 김동식(金東植), 이동흡(李東洽) 등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면서 시위운동을 벌이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승원
한자명
金承元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8 ~ 미상
본적
강원도 평강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37년 11월경 강원도 춘천군에서 춘천공립농업학교 재학 중 독립을 목적으로 하는 비밀결사 독서회에 가입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 집행유예 4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승은
한자명
金勝恩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915 ~ 미상
본적
평안남도 평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32년 만주사변 발발 후 이에 자극을 받아 조선독립의 달성을 위하여 중국(中國) 안동(安東) 북평(北平)에 건너가 학습하였으며 동년 4월 초순 군관학교 입학을 희망하고 남경으로 가 박남파(朴南波)(찬익(贊翊)) 등 민족주의자들의 가르침을 받았으며 1934년 이청천(李靑天)의 지시로 한국군인회에 가입, 1935년에는 낙양군관학교(洛陽軍官學校)를 수료하고 민족혁명당에 입당하였으며, 1936년 1월 초순경 김동우(金東宇)·오면직(吳冕稙) 등과 비밀결사 맹혈단(猛血團)을 결성하여 혁명단체의 조직과 군자금의 모집 등 활동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승조
한자명
金承祚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19 ~ 2013
본적
평안북도 용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94년 6월 광복군(光復軍) 제3지대 입대(入隊) 1945년 7월 서주지구(徐州地區)에서 지하 공작(地下工作) 중 8월 3일 서주시내(徐州市內) 대륙공사장(大陸公社長) 오학룡(吳學龍) 사무실(事務室)에 서 왜헌(倭憲)에 피체(被逮) 8.15 해방(解放)으로 석방(釋放)됨.

인물정보

성명
김승주
한자명
金承周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2 ~ 미상
본적
황해도 안악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황해도 안악(安岳)에서 서울의 만세운동 상황을 알려주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승준
한자명
金承俊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66 ~ 1925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2년

공적개요

1925년 평북(平北) 강계(江界)에서 독립군에게 식사와 숙소를 제공하였고, 이 사실이 일경(日警)에 발각되자 악형(惡刑)을 우려하여 자살(自殺)한 사실(事實)이 확인(確認)됨.

인물정보

성명
김승탁
한자명
金承鐸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0 ~ 1943
본적
경상남도 하동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20년 12월 경남 하동에서 제령7호위반으로 체포되어 징역 10월을 받음. 1923년 2월 진주노동공제회 적량지회 발기인, 1924년 하동기근구제회 모집부원으로 활동하고, 1925년 4월 서울에서 조선기자대회에 사상운동 하동지국 대표로 참석하였으며, 동년 11월 하동노농연합회(河東勞農聯合會) 및 하동청년연맹(河東靑年聯盟) 집행위원으로 활동함. 1926년 1월 하동기자단 상무위원, 동년 3월 하동노농회(河東勞農會) 집행위원, 6월 순종(純宗)의 인산(因山)을 앞두고 검속되었다가 방면됨.

인물정보

성명
김승태
한자명
金升泰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8 ~ 1940
본적
경상남도 김해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김해군 장유면 독립만세 시위운동에 가담한 주동자로서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승학
한자명
金承學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미상 ~ 1919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2일 평북(平北) 벽동군(碧潼郡) 읍내(邑內)에서 시위대와 함께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했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승학
한자명
金承學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81 ~ 1964
본적
평안북도 의주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2년

공적개요

1. 1919년 임시정부 독립신문 총경리(臨時政府獨立新聞總經理) 2. 1926년 임시정부(臨時政府)의 명령으로 참의부(參議府) 참의장(參議長)이 되어 일본 경찰(日本警察)의 공격을 받아 소멸(消滅) 직전(直前)에 있던 참의부(參議府)를 재건 3. 1928년 중국(中國) 몽강현(濛江縣)에 무관학교(武官學校)를 설치(設置)하여 군사(軍士) 200명(二百名) 양성(養成) 4. 참의부(參議府) 기관지(機關志) ‘‘정로’(正路)’ 발행(發行)

인물정보

성명
김승한
한자명
金承漢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7 ~ 1935
본적
경상북도 봉화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28. 2월 대구고등보통학교(大邱高等普通學校) 4학년 재학중(學年在學中) 윤장혁(尹章赫) 상술상(尙戌祥)등과 같이 신우동맹(新友同盟)을 비밀 결사(秘密結社)하고 조선(朝鮮)의 독립운동 방안(獨立運動方案)을 모색(摸索)하며 일본(日本) 제국주의(帝國主義)에 항거(抗拒)하다가 1928. 6. 11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 4년간(年間) 집행유예(執行猶豫)을 받고 미결기간(未決期間)을 합산(合算)하여 1년5월의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승옥

한자명

金升玉

생몰년도

1889 ~ 196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고창

자세히 보기

성명

김승원

한자명

金承元

생몰년도

1862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중화

자세히 보기

성명

김승원

한자명

金承元

생몰년도

1918 ~ 미상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21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강원도 평강

자세히 보기

성명

김승은

한자명

金勝恩

생몰년도

1915 ~ 미상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평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승조

한자명

金承祚

생몰년도

1919 ~ 2013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용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승주

한자명

金承周

생몰년도

1872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1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안악

자세히 보기

성명

김승준

한자명

金承俊

생몰년도

1866 ~ 1925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2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승탁

한자명

金承鐸

생몰년도

1900 ~ 1943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9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하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승태

한자명

金升泰

생몰년도

1878 ~ 194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김해

자세히 보기

성명

김승학

한자명

金承學

생몰년도

미상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승학

한자명

金承學

생몰년도

1881 ~ 1964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1962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의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승한

한자명

金承漢

생몰년도

1907 ~ 1935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봉화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