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수봉
한자명
金壽鳳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1 ~ 1933
본적
경상북도 영양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27년부터 경북 영양군 석보면 소계동에서 사마 농민야학 지도자, 영양청년동맹 석보지부 소계지회 소년부 간사, 신간회 영양지회원 등으로 활동하고 1930년 2월 광주학생운동에 호응하여 만세시위를 벌이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8월, 집행유예 2년을 받음.

김수봉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수봉
한자명
金守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6 ~ 1945
본적
황해도 수안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19. 3. 10 황해(黃海) 수안(遂安) 3.1운동 사건(運動事件) 주동자(主動者)로 1919. 5. 24 평양복심법원(平壤覆審法院)에서 1919년 3월 10일 황해도(黃海道) 수안군(遂安郡)에서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만세시위를 벌이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수사
한자명
金修史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912 ~ 1984
본적
충청북도 청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30 이래(以來) 상해 등지(上海等地)에서 신익희(申翼熙)등과 항일 투쟁(抗日鬪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수산
한자명
金水山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910 ~ 1974
본적
경상남도 진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26. 8. 진농(晋農) 맹휴 책임자(盟休責任者)로 퇴학 처분(退學處分)을 당하고 동년(同年) 9월 만주(滿洲)로 망명(亡命) 2. 1927. 4. 임정(臨政)의 소개(紹介)로 중국군(中國軍)에 종군(從軍)하여 중국통일전(中國統一戰)에 가담(加擔), 1929. 1. 28 상해사변(上海事變)때 포병 관측통신반장(砲兵觀測通信班長)으로 활약 3. 1930. 5. 남경포병학교 졸업(南京砲兵學校卒業) 후 애국단(愛國團)의 지령(指令)에 의(依)하여 활동 중 일헌(日憲)에게 피체(被逮) <동아일보 1930. 11. 8> 1935. 8.20 신의주지법(新義州地法)에서 치안유지법위반(治安維持法違反)으로 10년 구형(求刑)에 5년 언도(言渡), 공소(控訴)로 동년(同年) 11월 평양복심법원(平壤覆審法院)에서 5년 언도<당시 변호인 이학천(李學泉)의 확인서> 4. 1940. 5. 출감(出監) 1942년 중국 망명(中國亡命) 항일(抗日) 가담(加擔) 5. 1945. 11. 중경(重慶) 임정(臨政)으로부터 화중구(華中區) 선무단(宣撫團)의 원호조(援護組) 주임(主任)으로 피임(被任). 교포(僑胞)의 귀국알선(歸國斡旋)에 노력(努力).

인물정보

성명
김수성
한자명
金壽成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미상 ~ 1919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0년

공적개요

1919. 3. 7. 평북(平北) 철산군(鐵山郡)에서 안태영(安泰英) 등이 주도하는 독립만세 시위 운동(獨立萬歲示威運動)에 참여하여 활동하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김수성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수성
한자명
金守性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7 ~ 2002
본적
충청남도 서산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43년 부산초량상업학교(釜山草梁商業學校)에 재학(在學) 중 차병곤(車炳坤)외 5명의 동지(同志)들과 독서회(讀書會) 활동(活動)을 통해서 동지(同志) 규합(糾合)에 노력하다가 1944. 5. 1 부산진(釜山鎭) 소재(所在) 신정호(辛正浩) 집에서 순국단(殉國團)을 조직(組織)하면서 행동책(行動責)에 임명되었으며, 독립군(獨立軍)에 합류하기 위해 만주(滿洲)로 망명(亡命)하던 도중 피체(被逮)되어 1945. 8. 1 구류취소(拘留取消)로 석방(釋放)될 때 까지 1년여(年餘)간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수영
한자명
金洙榮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7 ~ 미상
본적
황해도 평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4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31일 황해도(黃海道) 평산군(平山郡) 김암면(金岩面) 한포리(汗浦里)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4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수영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수영
한자명
金洙榮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2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0.11.1 만주(滿洲)의 독립군(獨立軍) 최경천(崔慶天)의 휘하(麾下)에서 활동(活動)하며 사도구(四道溝), 삼도구(三道溝) 등지(地)에서 군인(軍人)을 모집(募集)하고 밀정(密偵) 검거 활동(檢擧活動)을 하다가 일군(日軍)에게 오도구(五道溝) 산중(山中)에서 참살(斬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수영
한자명
金洙榮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3 ~ 1950
본적
전라북도 옥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5 군산부(群山府) 영명학교(永明學校)에서 독립만세시위를 위한 독립선언문(獨立宣言文)등 2,000여매를 제작하여 각 교회(各敎會)등에게 배포하고 주민을 규합하여 거사 준비 중(擧事準備中) 체포되어 징역 2년 6월을 받고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수영
한자명
金壽榮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7
본적
경상북도 봉화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4년

공적개요

1907년 12월 17일 경북(慶北) 봉화군(奉化郡) 부근에서 일본군과 교전(交戰)하다 체포되어 12월 19일 피살(被殺), 순국(殉國)함.

인물정보

성명
김수완
한자명
金壽完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1 ~ 1969
본적
강원도 홍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31일 차봉철(車奉哲) 등과 만세시위를 계획하고 4월 1일 강원(江原) 홍천군(洪川郡) 홍천면(洪川面) 신장대리(新場垈里) 시장(市場)에서 200여 명의 군중을 규합하여 동 시장 및 홍천군청(洪川郡廳) 앞에서 태극기를 흔들며 조선독립만세를 외치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수용
한자명
金秀瑢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2 ~ 미상
본적
함경북도 성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4일부터 함북 성진군 성진면에서 강학린(姜鶴麟) 등과 독립만세운동을 계획하고 동지를 규합, 독립선언서를 인쇄하여 같은 달 10일과 11일에 군중들에게 배포하고 독립만세를 외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음.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수봉

한자명

金壽鳳

생몰년도

1911 ~ 1933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봉

한자명

金守鳳

생몰년도

1876 ~ 194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수안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사

한자명

金修史

생몰년도

1912 ~ 1984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청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산

한자명

金水山

생몰년도

1910 ~ 1974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진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성

한자명

金壽成

생몰년도

미상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성

한자명

金守性

생몰년도

1927 ~ 2002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3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서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영

한자명

金洙榮

생몰년도

1887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4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평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영

한자명

金洙榮

생몰년도

1892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영

한자명

金洙榮

생몰년도

1883 ~ 195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옥구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영

한자명

金壽榮

생몰년도

미상 ~ 1907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4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봉화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완

한자명

金壽完

생몰년도

1901 ~ 196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홍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용

한자명

金秀瑢

생몰년도

1892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북도 성진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