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송일
한자명
金宋一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51 ~ 미상
본적
미상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22년 10월 중국(中國) 요녕성(遼寧省) 관전현(寬甸縣)에서 대한독립노인단(大韓獨立老人團)을 조직하여 독립군(獨立軍)을 지원하기 위해 군자금(軍資金)을 모집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송죽
한자명
金松竹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40년 6월 중국 서안에서 한국청년전지공작대 대원으로 한중연합 전방위문공연의 일부인 가극 『아리랑』에 출현하고, 이후 1942년 3월까지 한국광복군 제5지대 대원으로 활동함.

인물정보

성명
김송혁
한자명
金淞爀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1 ~ 1943
본적
평안남도 중화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20. 6월 평양(平壤)에서 의용단(義勇團)을 조직하고 군무국장(軍務局長)에 피임(被任)되어 일 요인 주살(日要人誅殺)등의 활동을 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2년 6월을 받고 옥고를 치른 공적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수갑
한자명
金守甲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9
본적
경상북도 순흥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1년

공적개요

1907년 이강년 의병장(李康秊義兵將)이 재거의한 이래 의진(義陣)에 참여하여 충북 제천(堤川), 영춘(永春), 단양(丹陽) 등지에서 활동하였으며 이강년 의병장(李康秊義兵將)의 순국 후에는 김상태 의병장(金尙台義兵將)의 휘하에서 계속하여 활동하다가 1909년 11월 향리에서 일경에 체포되어 압송 도중 탈출을 기도(企圖)하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수곡
한자명
金水谷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6 ~ 1910
본적
경상북도 기타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7년 정관직[환직] 의진(鄭寬直[煥直]義陣)에 가담한 이후 의병 백 수십명과 더불어 동년(同年) 10월 29일 경북(慶北) 흥해군(興海郡) 읍내(邑內)의 우편취급소를 습격, 일인(日人) 소장(所長) 시원위태랑(市原爲太郞)을 처단하고 경무분파소(警務分派所)와 우편취급소를 방화 소각하였으며 11월 3-4일 신영군청(新寧郡廳)과 의흥군(義興郡) 경무분파소(警務分派所)를 습격 총기 수백정을 빼앗고 경무분파소(警務分派所)와 순검(巡檢) 가옥에 방화 소각하고 1909년에는 의성군(義城郡)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展開)하다가 피체(被逮)되어 교형 순국(絞刑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김수곡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수근
한자명
金壽根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7 ~ 1941
본적
경기도 경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4일 밤 서울 돈화문(敦化門) 및 그 부근의 도로에서 수십 명의 군중과 함께 ‘조선독립 만세(朝鮮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다 체포(逮捕)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수길
한자명
金壽吉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2 ~ 1932
본적
경상북도 김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9 대구(大邱)독립만세시위운동의 사전모의와 시위운동을 주도하고 격렬한 경고문을 발송하는등 주모자로서 체포되여 1919. 10. 9 대구복심법원(大邱覆審法院)에서 징역 4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수길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수남
한자명
金壽男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1 ~ 1967
본적
전라북도 군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군산지구(群山地區) 3.1운동의 주동자로 1919.5. 24 광주지법 전주지청(光州地法全州支廳)에서 10년형을 언도받어 복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수달
한자명
金守達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9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09. 4월 강원(江原) 회양(淮陽) 인제군(麟蹄郡) 등지에서 활동하던 중 일본수비대와 교전(交戰)하다가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수담
한자명
金壽聃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52 ~ 1896
본적
경상북도 의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896년 경북(慶北) 의성(義城)에서 거의(擧義)한 김상종 의진(金象鍾義陣)에 소속되어 의성군(義城郡) 구강(九岡)에서 적병을 격파하는 등 활동하다가 동년(同年) 3월 황산 전투(凰山戰鬪)에서 전사 순국(戰死殉國)한 공적(功績)이 확인됨.

김수담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수덕
한자명
金守德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4 ~ 미상
본적
경기도 파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3.25 파주군(坡州郡) 와석면(瓦石面) 교하리(交河里)에서 김선명(金善明) 염규호(廉圭浩)등과 3.28「윤환산(山)」으로 주민(住民)을 모이게 하여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거사(擧事)하자고 결의(決議)하고, 격문(檄文)60여매(餘枚)를 인쇄(印刷) 배포(配布)한 후 3.28 시위 군중(示威群衆) 700여명(餘名)을 이끌고 면사무소(面事務所)로 행진(行進)하면서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기물(器物)등을 파괴(破壞)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을 받아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수도
한자명
金壽道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13 ~ 1961
본적
전라남도 완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33년 7월 일본 대판에서 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회 금속대판지부(金屬大阪支部)의 대판시위(大阪市委) 남지구(南地區) ‘함마분회’ 책임자로 ‘적기(赤旗)’, ‘병사의 친구’ 등의 항일선전물 배포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1936년 4월 치안유지법위반으로 징역 2년, 집행유예 5년을 받음.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송일

한자명

金宋一

생몰년도

1851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0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송죽

한자명

金松竹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2022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송혁

한자명

金淞爀

생몰년도

1891 ~ 1943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중화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갑

한자명

金守甲

생몰년도

미상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순흥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곡

한자명

金水谷

생몰년도

1876 ~ 1910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근

한자명

金壽根

생몰년도

1887 ~ 194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경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길

한자명

金壽吉

생몰년도

1902 ~ 193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김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남

한자명

金壽男

생몰년도

1901 ~ 196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군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달

한자명

金守達

생몰년도

미상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6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담

한자명

金壽聃

생몰년도

1852 ~ 1896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의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덕

한자명

金守德

생몰년도

1904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기도 파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수도

한자명

金壽道

생몰년도

1913 ~ 1961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2019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완도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