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성재
한자명
金聖載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7 ~ 1942
본적
전라북도 순창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07.11.1 전남(全南) 함평군(咸平郡) 신광면(新光面)에서 거의(擧義)한 심남일 의병진(沈南一義兵陣)의 후군장(後軍將)으로 600여명(餘名)의 의병(義兵)과 함께 남평(南平) 강진(康津) 능주(綾州) 해남(海南) 보성(寶城) 영암(靈岩) 나주(羅州) 등지(地)에서 왜군(倭軍)과 전투(戰鬪)하였으며 1909.7.21 의병해산(義兵解散) 조칙(詔勅)으로 심남일 의병장(沈南一義兵將)이 의병(義兵)을 해산(解散)시키자 전북(全北) 정읍군(井邑郡)으로 피신(避身) 1년8월여간(月餘間)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재
한자명
金性在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4 ~ 1928
본적
전라북도 남원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9. 3. 2 전북(全北) 남원군(南原郡) 남원면(南原面) 천도교(天道敎) 교구실(敎区室) 동군(同郡) 교구장(敎区長) 유태홍(柳泰洪)으로부터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 9매(枚)를 수령하여 이를 광주지방법원(光州地方法院) 남원지청(南原支廳) 게시판등 8개소(個所)에 붙이는등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조
한자명
金聖祚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2 ~ 1920
본적
경상남도 동래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3년

공적개요

1919. 3. 31 경남(慶南) 동래군(東萊郡)에서 동래고등보통학교에 재학 중 동교생들과 함께 군청 앞 등지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고 옥고중 얻은 병으로 가출옥(假出獄)하여 곧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確認)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조
한자명
金成祖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2 ~ 미상
본적
전라북도 전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08년 음(陰) 5월에 전북(全北) 전주군(全州郡)에서 이중군 의진(李中軍義陣)에 참여하여 의병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성종
한자명
金性鐘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15 ~ 1945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38. 1월 일본 대판시 동성구 저사야중(猪飼野中)에서 이봉춘(李奉春)과 함께 한국인 무산자 자제를 모아 민족의식을 고취하여 독립국가를 건설할 목적으로 성심(誠心) 야학교를 개설, 운영하였으며 또 개인적으로 동성구 저사야서(猪飼野西)와 중천정(中川町) 2곳에 무명야학교를 개설하여 1942. 8월경까지 민족교육을 실시해오다 피체되어 징역 2년을 받는 등 5년 1월여 간의 활동 공적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진
한자명
金聲鎭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1 ~ 미상
본적
충청남도 청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20년 6월경(月頃) 서울에서 이민식(李敏軾) 등이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여 상해(上海)임시정부에 보내 조선독립을 달성할 목적으로 조직한 주비단(籌備團)에 가입하여 할당받은 임시정부발행 공채증권을 매각하여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진
한자명
金聖鎭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7 ~ 미상
본적
평안남도 대동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2년

공적개요

1919년 2월 28일 평남(平南) 평양부(平壤府) 천도교 평양교구(平壤敎區)에서 독립선언서 2백매를 전달받아 3월 1일 평남(平南) 중화군(中和郡) 천도교 중화교구(中和敎區)에 교부하였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성진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성진
한자명
金聲振
운동계열
의열투쟁
생몰년도
1857 ~ 1915
본적
경상북도 영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0년 경술국치(庚戌國恥) 직후 자결(自決)을 기도하여 식음을 전폐하였으나 노모(老母)의 만류로 단식을 중지한 바 있으며, 노모(老母)가 사망하고 3년상(年喪)을 치른 뒤인 1915년 2월 21일 마침내 자결(自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진
한자명
金成鎭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7 ~ 미상
본적
충청남도 아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4월경 충남 아산군 선장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태 6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성집
한자명
金成楫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9 ~ 1920
본적
평안북도 영변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8년

공적개요

1920년 중국(中國) 봉천성(奉天省) 통화현(通化縣) 김두화(金斗伙)에서 한족회(韓族會) 구정(區正)으로 활동하다가 동년(同年) 11월 24일 일군(日軍)에 피체(被逮)되어 11월 26일 호자구(蒿子溝)에서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찬
한자명
金性贊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1 ~ 미상
본적
전라북도 기타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9. 2월 경(頃) 이원오 의진(李元伍義陣)에 가담하여 의병(義兵) 수십명과 함께 전북(全北) 익산(益山)·고산(高山) 등지에서 활동(活動)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7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성찬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성천
한자명
金聲天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6
본적
황해도 옹진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통의부(統義府) 군자금(軍資金) 모집원(募集員)으로 1926. 5월 동지(同志) 이관조(李官祚)와 더불어 황해도(黃海道) 해주(海州) 일대에서 군자금 모집활동에 적극 노력하였으며 추격하는 일경(日警)과 격전(激戰) 중 자결 순국(自決殉國)한 사실이 확인된.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성재

한자명

金聖載

생몰년도

1877 ~ 1942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2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순창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재

한자명

金性在

생몰년도

1874 ~ 192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남원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조

한자명

金聖祚

생몰년도

1902 ~ 192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3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동래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조

한자명

金成祖

생몰년도

1882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5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전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종

한자명

金性鐘

생몰년도

1915 ~ 1945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1993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제주도 제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진

한자명

金聲鎭

생몰년도

1881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청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진

한자명

金聖鎭

생몰년도

1877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대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진

한자명

金聲振

생몰년도

1857 ~ 1915

운동계열

의열투쟁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진

한자명

金成鎭

생몰년도

1887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아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집

한자명

金成楫

생몰년도

1889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8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영변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찬

한자명

金性贊

생몰년도

1881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천

한자명

金聲天

생몰년도

미상 ~ 1926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6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옹진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