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상훈
한자명
金相訓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4 ~ 1925
본적
충청남도 천안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4. 1 갈전면(葛田面) 병천(竝川)장날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에 참가하여 헌병 주재소(憲兵駐在所) 시설 파괴(施設破壞) 등 시위를 감행하다가 체포(逮捕)되어 1919. 9. 11 고등법원(高等法院)에서 징역 1년 6월형을 확정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상훈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상흠
한자명
金相欽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9 ~ 1991
본적
전라북도 고창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조선학생 동지회 연희전문학교(延禧專門學校) 학생 사건(學生事件)으로 징역 2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새협
한자명
金璽浹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5 ~ 미상
본적
함경북도 회령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19 간도에서 국민회를 조직하여 항일운동을 전개하다가 상해임정의 지령으로 총판부(總辦府)로 개칭, 그 지부인 독판부(督辦府)를 회령에 설치하고 연통제를 조직하여 회령의 관청, 은행, 친일파가를 파괴하려고 무기를 밀송하는 한편 군자금을 모집함 (동아일보(東亞日報) 1922. 2. 18) 2. 1921 동사실이 발각되어 청진지법에서 3년6월 선고 (동아일보(東亞日報) 1921. 11. 18) 3. 1922. 불복공소(不服控訴)하였으나 경성복심원(京城覆審院)에서도 3년 6월형을 확정받음(동아일보(東亞日報) 1922.2.18) 4. 연대미상 출옥 후 조선일보(朝鮮日報) 회령지사(會寧支社) 기자(記者)로 근무 5. 연대미상 해삼위(海蔘威)로 망명하여 계속 독립운동 하다가 행방불명

인물정보

성명
김생려
한자명
金生麗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76 ~ 미상
본적
평안북도 희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23. 9. 21 독립군(獨立軍) 천마산대(天摩山隊)의 사령관(司令官) 최시흥(崔時興)의 부하(部下)로서 평북(平北) 희천군(熙川郡) 북면(北面) 명문동(明文洞) 창참(倉站)에 진입하여 일경(日警) 파출소(派出所) 및 면소(面所)를 소각하고 일경(日警)을 처단하였다가 동년(同年) 10월 희천경찰서(熙川警察署)에 피체(被逮) 되어 징역 5년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서룡
한자명
金瑞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9 ~ 미상
본적
함경남도 북청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0일 함남(咸南) 북청군(北靑郡) 성대면(星垈面) 거주 김용원(金溶沅)으로부터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 20매를 받고 3월 11일 북청군(北靑郡) 북청(北靑) 읍내(邑內) 노상에서 독립만세를 외치며 행인들에게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를 배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서운
한자명
金瑞雲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0 ~ 1927
본적
평안북도 강계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20년 중국(中國) 간도(間島)에서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 서지방회(西地方會) 황초구지회(黃草溝支會) 통신구장(通信區長)으로 활동하고 1922년 장백현(長白縣)에서 광정단(光正團)의 단원으로서 함남(咸南) 삼수군(三水郡) 삼수경찰서(三水警察署) 영성 경찰관(嶺城警察官) 주재소(駐在所)를 습격, 일본 순사를 사살하고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무기징역(無期懲役)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서응
한자명
金西應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8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07년 정대무 의진(丁大武義陣)의 선봉장(先鋒將)으로 활동하였고 1908년 정대무 의병장(丁大武義兵將)이 해진(解陣)하자 경기(京畿) 지평군(砥平郡) 등지에서 재차 군사를 모집하여 일군(日軍)과 교전하는 등 활동하다가 체포되었다가 탈주 도중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서종
한자명
金書鍾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3 ~ 1943
본적
경상남도 함안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 1916년 대종교(大倧敎)에 입교후 대종교(大倧敎) 총본사(總本司)의 중진으로 독립정신 고취와 민족의식 교화활동 중 윤세부(尹世復) 등 20여명과 함께 피체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문일민(文一民)) 86면 확인] 2. 1943.8.27 일경(日警)의 고문으로 만주(滿洲) 목단강(牧丹江) 액하형무소(掖河刑務所)에서 옥사(獄死) 순국(殉國)함 [독립운동사(獨立運動史)(보훈처(報勳處)) 제8권 761,796,800, 802면 참조]

인물정보

성명
김서희
한자명
金瑞熙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12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30년 1월 평북 신의주에서 신의주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광주학생운동에 호응하는 동맹휴교를 주장하다 퇴학 처분을 받음. 1932년 일본 동경에서 전협 토건 성북지구 소압소개소분회 청년부 책임자, 일본공산청년동맹과 일본공산당에 가입하여 반제투쟁 및 동지 획득 활동을 하고, 동년 7월 재판 중인 일본공산당 간부 좌야학(佐野學)의 탈출을 시도하다 체포되어 징역 3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석
한자명
金晳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910 ~ 1983
본적
전라남도 함평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8년

공적개요

1930. 임정특무대(臨政特務隊)에서 활약 1931. 이수봉 등(李秀峰等)과 병인의용대(丙寅義勇隊)를 조직 중한민족항일대동맹 선전부장(中韓民族抗日大同盟宣傳部長) 「백천(白川)」암살 사건(暗殺事件)에 관여(關與) 1932. 임정외교부비서장(臨政外交部秘書長) 1933. 남경(南京)의 동아피압박민족연맹(東亞被壓迫民族聯盟) 중앙위원(中央委員) 1933. 11 피체(被逮) 7년 복역하고 1941. 11월에 출옥(出獄) 1942. 2 재투옥(再投獄)되어 청(淸)#형무소(刑務所)에서 복역중 1945. 1월 병보석(病保釋) 동아일보(東亞日報) 1933. 12. 14일자(日字) 1934. 12. 28일자(日字)

인물정보

성명
김석구
한자명
金石九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0 ~ 미상
본적
경상북도 대구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29년 7월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대구학생 비밀결사사건으로 퇴학을 당하고, 1931년 6월 말경 대구에서 비밀결사 사회과학연구회에 가입해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집행유예 4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석규
한자명
金錫奎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8 ~ 1929
본적
강원도 영월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2년

공적개요

1921년 강원도(江原道) 춘천(春川)에서 거주하던 중 마만봉(馬萬奉)과 박순구(朴順九) 등이 조직한 소위 ‘장총단’에 가입하여 동년 홍천군(洪川郡) 두촌면(斗村面) 어은리(於隱里) 경찰관 주재소(警察官駐在所)를 습격하였으며, 1926년 9월 13일 밤 9시경에 홍천군(洪川郡) 내촌면(乃村面) 광암리(廣岩里) 유익렬(柳益烈)의 집에 침입하여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수 차례 벌였다가 1927년 11월 체포되어 1929년 4월 4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사형순국(死刑殉國)한 사실이 확인(確認)됨.

김석규의 발자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상훈

한자명

金相訓

생몰년도

1874 ~ 192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천안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흠

한자명

金相欽

생몰년도

1919 ~ 1991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고창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새협

한자명

金璽浹

생몰년도

1905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북도 회령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생려

한자명

金生麗

생몰년도

1876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희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서룡

한자명

金瑞龍

생몰년도

1879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북청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서운

한자명

金瑞雲

생몰년도

1900 ~ 1927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08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강계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서응

한자명

金西應

생몰년도

미상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6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서종

한자명

金書鍾

생몰년도

1893 ~ 1943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함안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서희

한자명

金瑞熙

생몰년도

1912 ~ 미상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2022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의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석

한자명

金晳

생몰년도

1910 ~ 1983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1968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함평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석구

한자명

金石九

생몰년도

1910 ~ 미상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20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북도 대구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석규

한자명

金錫奎

생몰년도

1888 ~ 1929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2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영월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