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상주
한자명
金相周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5 ~ 1927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참의부(參議府) 특무참사(特務參士)로 활동하다 1927년 5월 이전(以前)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집안현(輯安縣)에서 중국(中國) 관헌(官憲)에게 체포되어 일본(日本) 관헌(官憲)에게 인도된 후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주
한자명
金尙珠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1 ~ 미상
본적
경상남도 마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24년 8월 경남 마산에서 비밀결사 마산공산청년회를 조직하고, 1925년 4월경 서울에서 개최 예정인 전조선민중운동자대회 참여가 금지되자 적기(赤旗)를 들고 ‘민중운동자 대회 및 무산계급 노동자 만세’를 고창하며 시위행진을 벌이다 체포되어 징역 6월 집행유예 3년을 받았으며, 동년 8월 마산공산청년회를 고려공산청년회 마산야체이카로 개조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4년을 받음. 1931년 4월 신간회 마산지회 서무를 역임하고, 동년 11월경 전국 각지와 부산 시내 공장 등에 격문을 배포하다 체포되어 징역 3년을 받았으며, 1936년 9월 마산에서조선독립을 위해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잠행운동을 하다 검속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준
한자명
金相俊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3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통의부(統義府) 의용군(義勇軍) 제2중대(中隊) 제2소대원(小隊員)으로 1923. 10. 13 만주(滿洲) 고려성자(高麗城子)에서 일군(日軍) 및 이와 결탁한 중국군(中國軍)에 포위되어 항전(抗戰)하다가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준
한자명
金尙俊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5 ~ 미상
본적
경상북도 영덕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9일 경북(慶北) 영덕군(盈德郡) 창수면(蒼水面) 창수경찰관(蒼水警察官) 주재소(駐在所)로 가서 200여명의 군중과 함께 ‘‘한국독립만세’(‘韓國獨立萬歲’)’를 연창(連唱)하며 시위를 전개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준
한자명
金商俊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6 ~ 1926
본적
충청남도 청양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4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5, 6일 충남(忠南) 청양군(靑陽郡) 정산시장(定山市場)에서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가 일경(日警)에게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준
한자명
金商俊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5 ~ 1944
본적
충청남도 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박상진(朴尙鎭), 김한종(金漢鍾) 등 여러 동지들과 같이 광복회(光復會)를 조직 군자금 모집활동을 한 사실이 확인됨.

김상준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상준
한자명
金尙俊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16 ~ 1996
본적
경상북도 김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1~1945.8까지 광복군에서 투쟁 특히 1943년 이후 인도, 버마 등지에서 연합군과 합류 격전함.

인물정보

성명
김상중
한자명
金尙中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24 ~ 미상
본적
전라남도 장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43. 3월 광주사범학교(光州師範學校) 재학중(在學中) 무등독서회(無等讀書會)를 조직하여 월 2회의 모임을 통하여 조국독립과 전통역사관 확립에 힘쓰고 연합군 상륙시 행동대원으로 봉기할 것 등을 강령으로 정하는 등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직
한자명
金相稷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2 ~ 1983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3.1~3.2 서울 종로(鍾路) 보신각(普信閣) 앞과 태평통(太平通) 경성일보사(京城日報社) 앞에서 많은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였으며 동년(同年) 3.20에는「대한제국 만세(大韓帝國萬歲)」등 격문을 작성하여 사직단 문(社稷壇門) 앞 기둥에 첩부(貼付)하였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직
한자명
金尙直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6 ~ 1929
본적
경상북도 성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4. 2 경북(慶北) 성주군(星州郡) 성주면(星州面) 경산동(京山洞) 관제묘(關帝廟) 뒷산에 오의모(吳義模) 김재곤(金在坤) 김석규(金錫圭) 등 수명이 모여 태극기를 흔들며 조선독립만세를 연창(連唱)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진
한자명
金尙鎭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4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9년

공적개요

1924년경(年頃) 중국(中國) 봉천성(奉天省) 통화현(通化縣) 강산두도구(岡山頭道溝)에서 독립군(獨立軍)으로 활동하던 중 당지(當地) 중국 보갑대(保甲隊)와 무기매매를 교섭하다가 중국 보갑장(保甲長) 주기산(周岐山)의 무리한 요구로 인해 교섭이 결렬되자 보갑대(保甲隊)의 기습공격을 받아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김상진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상진
한자명
金相震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1946
본적
경상남도 합천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곽종석(郭鍾錫) 등 유림 137명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국제평화회의(國際平和會議)에 독립청원서(獨立請願書)(파리장서(巴里長書))를 제출할 때 서명에 참여한 사실이 확인됨.

김상진의 발자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상주

한자명

金相周

생몰년도

1895 ~ 1927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08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주

한자명

金尙珠

생몰년도

1901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0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남도 마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준

한자명

金相俊

생몰년도

미상 ~ 1923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준

한자명

金尙俊

생몰년도

1875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8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북도 영덕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준

한자명

金商俊

생몰년도

1876 ~ 192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4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청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준

한자명

金商俊

생몰년도

1885 ~ 1944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예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준

한자명

金尙俊

생몰년도

1916 ~ 1996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김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중

한자명

金尙中

생몰년도

1924 ~ 미상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남도 장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직

한자명

金相稷

생몰년도

1902 ~ 198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직

한자명

金尙直

생몰년도

1876 ~ 192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성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진

한자명

金尙鎭

생몰년도

미상 ~ 1924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9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진

한자명

金相震

생몰년도

1897 ~ 194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5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합천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