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낙세
한자명
金洛世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0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0.10.24 만주(滿洲) 연길현(延吉縣)에서 의군단(義軍團) 산포병(山砲兵)으로 항일활동(抗日活動) 중 일군(日軍)에게 피체(被逮)되어 총살(銃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낙수
한자명
金洛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1919
본적
경상남도 울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4.2 경남 울산군 언양읍(彦陽邑) 남부(南部)장날에 태극기(太極旗) 40여본(餘本)을 제작(製作)하여 시위 군중(示威群衆)에게 나누어주며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고 복역(服役)하다가 옥중사(獄中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낙영
한자명
金洛永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1971
본적
황해도 장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4. 18 황해도(黃海道) 장연군(長淵郡) 대구면(大救面)에서 송천(松川)장날을 이용하여 김창현(金昌鉉) 등과 함께 시위를 주도하여 독립만세를 고창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낙원
한자명
金樂元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58
본적
경상북도 영덕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3. 18 경북(慶北) 영덕군(盈德郡) 영해읍(瀛海邑) 장날에 3천여명의 군중들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일경(日警) 주재소(駐在所) , 우편소(郵便所), 면사무소(面事務所) 등을 습격(襲擊), 기물(器物)을 파괴하며 독립만세 시위를 벌이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낙윤
한자명
金洛允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76 ~ 미상
본적
함경남도 단천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장백현(長白縣)에서 독립운동을 준비하였으며, 1920년 1월 동지(同地)에서 독립단의 별동대로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던 창여상회(昌與商會)의 회원(會員), 1921년 11월 군비단(軍備團) 장백지단(長白支團) 경호장(警護長), 1922년 1월 군비총단(軍備總團) 제4지단(支團) 재무원(財務員) 등으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낙인
한자명
金樂仁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4 ~ 미상
본적
충청남도 아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4월경 충남 아산군 선장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태 4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낙임
한자명
金樂任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1 ~ 1914
본적
경상북도 순흥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0년 8월 순흥군(順興郡)에서 의병(義兵)에 가담하여 동군(同郡) 박세현(朴世鉉)과 군자금(軍資金) 모집(募集)에 활동하다 일헌(日憲)에게 체포되여 1913.2.22 대구지방법원(大邱地方法院) 안동지청(安東支廳)에서 징역3월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낙천
한자명
金洛天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미상
본적
황해도 평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7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8일 황해도(黃海道) 평산군(平山郡) 보산면(寶山面) 산막리(山幕里)에서 남천(南川) 헌병분견소(憲兵分遣所) 헌병(憲兵)과 보조원들이 이민(里民)들을 모아놓고 향후 독립운동에 참여할 것인지를 묻자 만세운동에 참여하겠다고 하여 헌병이 발사한 총에 총상을 입고 체포(逮捕)되어 징역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낙철
한자명
金洛喆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8 ~ 1921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의용대원(義勇隊員)으로 국내(國內) 출장중(出張中)인 1921년 함남(咸南) 갑산(甲山) 성진(城津)등지에서 일본군(日本軍)과 교전(交戰)하다가 전사 순국(戰死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낙필
한자명
金洛必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5 ~ 미상
본적
전라북도 남원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8년 11월~1909년 4월 정성현(鄭聖玄) 의병진에 가담하여 전북(全北) 남원(南原)·임실군(任實郡)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낙헌
한자명
金洛憲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2 ~ 1965
본적
경상북도 영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4. 26 경북(慶北) 영천군(永川郡) 임고면(臨皐面) 양평동(良坪洞)에서 ‘대한독립만세’ 라는 문구와 자신의 이름을 적어놓은 태극기를 제작하고 이튿날인 4월 27일 동면(同面) 창구동(倉邱洞) 장터 부근에서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낙헌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낙현
한자명
金洛顯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7 ~ 1987
본적
경상남도 사천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4년

공적개요

1936년 1월부터 경남(慶南) 사천군(泗川郡) 삼천포읍(三千浦邑)에서 농촌중견인물 양성, 야학개최, 문자 보급운동, 독서력 배양, 농촌진흥회 간부들을 동지로서 확보, 야학을 이용하여 농촌자녀들을 계몽하는 등 삼천포 농민조합(三千浦農民組合) 활동으로 1939년 8월 징역 8월 집행유예(執行猶豫) 3년을 받고 1년 7월여(月餘)의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낙세

한자명

金洛世

생몰년도

1890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낙수

한자명

金洛綬

생몰년도

1880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울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낙영

한자명

金洛永

생몰년도

1899 ~ 197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장연

자세히 보기

성명

김낙원

한자명

金樂元

생몰년도

1898 ~ 195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덕

자세히 보기

성명

김낙윤

한자명

金洛允

생몰년도

1876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1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단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낙인

한자명

金樂仁

생몰년도

1894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아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낙임

한자명

金樂任

생몰년도

1881 ~ 1914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순흥

자세히 보기

성명

김낙천

한자명

金洛天

생몰년도

1880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7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평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낙철

한자명

金洛喆

생몰년도

1888 ~ 1921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낙필

한자명

金洛必

생몰년도

1885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남원

자세히 보기

성명

김낙헌

한자명

金洛憲

생몰년도

1902 ~ 196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낙현

한자명

金洛顯

생몰년도

1917 ~ 1987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4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사천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