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중달
한자명
李中達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6 ~ 1936
본적
경상북도 영덕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8년

공적개요

1919. 3. 18 경북(慶北) 영덕군(盈德郡) 영해면(寧海面) 성내동(城內洞) 시장 부근에서 그곳에 모인 군중들과 함께 “한국독립 만세(韓國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시위(示威)를 전개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6월에 집행유예(執行猶豫)3년을 받고 미결(未決)로 3개월이상(個月以上)의 옥고(獄苦)를 치름.

인물정보

성명
이중린
한자명
李中麟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38 ~ 1917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7년

공적개요

1895년 12월(음력) 경북(慶北) 선성(宣城)(예안(禮安))에서 거의(擧義)하여 이만도(李晩燾)를 의병장으로 추대하고 부장(副將)에 선임되어 안동의진(安東義陣)의 권세연(權世淵) 의병장과 안동관찰사 김석중(金奭中)의 처단을 계획하였으며, 1896년 3월 예안의진의 재기를 위하여 지역의 인사들에게 의진에 동참할 것을 역설하는 격문을 작성하였으며, 동월(同月) 청량산(淸凉山)에서 의진을 재결성하여 의병대장으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중린
한자명
李仲麟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2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0.10.26 만주(滿洲) 흔춘현(琿春縣)에서 최경천(崔慶天) 부하(部下)로 총기 조달(銃器調達) 및 군자금(軍資金) 모집(募集) 활동중(活動中) 일군(日軍)에게 피체(被逮)되어 참살(斬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중립
한자명
李重立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2 ~ 1931
본적
경기도 안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3.1 운동 당시안성(安城), 원곡(元谷), 양성(陽城) 만세사건에 가담하여 면사무소, 주재소 우편소등을 습격 기물을 파괴하고 방화등으로 2년 6개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중무
한자명
李中珷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1 ~ 1957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17 안동(安東) 예안면시장(禮安面市場)에서 이호명(李鎬明)이 주동(主動)이 되여 동지(同志) 22명(名)과 다수(多數) 군중(群衆)을 선동(煽動), 독립만세’(獨立萬歲) 시위(示威)를 주도(主導)하다 일경(日警)에 체포(逮捕)되여 징역 1년형(年刑)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중백
한자명
李仲伯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7 ~ 1910
본적
전라남도 장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0년

공적개요

1907년 기삼연(奇參衍)의병장이 전남(全南) 영광(靈光) 석수암(石水庵)에서 거의하여 호남창의회맹소(湖南倡義會盟所)를 결성하자 동년 12월 입진(入陣)하여 종사(從事)의 직임을 맡아 전남 장성군(長城郡) 일대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동하였고 기삼연의병장의 순국 후 독자 거의한 박도경(朴道京)의병장의 휘하에서 1백여명의 군사들과 함께 전북(全北) 고창군(高敞郡) 등지에서 활동하였으며 동년 8월 김여회 의진(金汝會義陣)에 참여하여 제4초십장(哨什長)으로 전남 장성(長城), 전북 순창(淳昌) 등지에서 밀고자를 처단하는 등 활동하였고 1909년초부터는 독자적으로 소규모의 의진을 편성하여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교형(絞刑)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중봉
한자명
李重鳳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충청북도 제천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895년 예안(禮安)에서 거의(擧義)를 촉구하는 통문(通文)을 각지에 발송한 바 있으며 1907년 전북(全北) 순창(淳昌)에서 이해수(李海秀) 등과 기의하여 활동하다가 이강년 의진(李康秊義陣)에 참여, 우군장(右軍將) 및 소모장(召募將)으로서 연풍(延豊)에서 일군(日軍)과 교전(交戰)하여 적병(敵兵) 4명을 처단하였고 적성(赤城)전투에서는 부상(負傷)을 당하는 등 활동하다가 동년 10월 상곡(上谷)전투에서 일군(日軍)에게 피체(被逮)되어 종신유형(終身流刑)을 받았으나 광무황제(光武皇帝)의 특지로 방면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중석
한자명
李重錫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1951
본적
경기도 이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3월경 경기도 이천군 마장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태 6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중선
한자명
李重善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1 ~ 1957
본적
충청남도 홍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4년

공적개요

1919. 4. 2. 충남(忠南) 홍성군(洪城郡) 홍성시장(洪城市場)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중섭
한자명
李重燮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9 ~ 1996
본적
경기도 강화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1년 1월 경성(京城)에서 조선독립운동협회(朝鮮獨立運動協會)에 가담 활동중 용산서(龍山署)에 체포되어 1943년 2월 25일 경성지법(京城地法)에서 치안유지법위반으로 2년형을 받고 복역한 사실이 확인됨.

이중섭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중수
한자명
李仲洙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1944
본적
경상남도 통영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2일 경남 통영군 이운면(현 경남 거제시)에서 윤택근(尹澤根) 등이 주도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이인수(李麟洙)와 함께 ‘대한제국 독립만세’라고 쓴 종이를 인가(人家)와 같은 면의 아주리(鵝洲里) 시장에 배포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기소유예 처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중식
한자명
李仲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1942
본적
경상북도 영덕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3.18 경북(慶北) 영덕군(盈德郡) 영해면(寧海面) 성내(城內) 장날을 이용하여 김세영(金世榮) 등이 주도(主導)한 독립만세 시위운동에 참가하여 2,000여 군중과 함께 시장을 행진하고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중달

한자명

李中達

생몰년도

1876 ~ 193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덕

자세히 보기

성명

이중린

한자명

李中麟

생몰년도

1838 ~ 1917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7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중린

한자명

李仲麟

생몰년도

1892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중립

한자명

李重立

생몰년도

1882 ~ 193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안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중무

한자명

李中珷

생몰년도

1891 ~ 195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중백

한자명

李仲伯

생몰년도

1877 ~ 1910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장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중봉

한자명

李重鳳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독립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북도 제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중석

한자명

李重錫

생몰년도

1880 ~ 195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이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중선

한자명

李重善

생몰년도

1891 ~ 195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4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홍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중섭

한자명

李重燮

생몰년도

1919 ~ 1996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강화

자세히 보기

성명

이중수

한자명

李仲洙

생몰년도

1899 ~ 194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통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중식

한자명

李仲植

생몰년도

1880 ~ 194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덕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