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정숙
한자명
李貞淑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898 ~ 1941
본적
황해도 금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41년경 중국 상해에서 조선의용대원(員)으로 활동하던 아들 이효상(李孝相) 관련으로 일경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다 순국했다고 함.

인물정보

성명
이정순
한자명
李正淳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1 ~ 미상
본적
전라북도 옥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31년 서울 정동에서 고려공산청년회 여자부 책임자로서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 조숙현(趙淑顯)에게 교내 비밀결사 독서회를 조직할 것을 지도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 집행유예 5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정순
한자명
李廷順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9 ~ 1992
본적
경기도 고양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40년 11월 서울에서 송택영(宋澤永) 등의 주도로 조직된 조선인해방투쟁동맹(朝鮮人解放鬪爭同盟)에 참여하고 실천부(實踐部)에 소속되어 조선(朝鮮)의 독립과 신사회 건설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다가 체포(逮捕)되어 징역 2년에 집행유예(執行猶豫)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정순
한자명
李正淳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917 ~ 1941
본적
평안북도 벽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33년 중국에 망명, 중국육군군관학교 특별훈련반을 졸업하고 조선의용대에 입대하여 호남성(湖南省),남경(南京) 등지에서 활동하였으며 1941. 12. 12 화북(華北)에서 대적 선전(對敵宣傳) 및 유격전을 전개하던 중 하북성(河北省) 원씨현(元氏縣) 호가장(胡家莊) 부근에서 일본군과 맞서 싸우다 전사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정식
한자명
李定植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6 ~ 1910
본적
평안북도 선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08년 10월과 1909년 3월 사이에 평북(平北) 의주(義州)·철산(鐵山)·선천(宣川)·용천군(龍川郡) 등지에서 계석로(桂錫魯) 등과 함께 군자금 모집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교형(絞刑)을 받고 순국(殉國)함.

인물정보

성명
이정엽
한자명
李正燁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1925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9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6일 밤 대규모 시위가 일어난 경성부(京城府) 동부(東部) 철물교(鐵物橋) 부근을 왕래하다 그곳을 지나가는 전차를 향해 돌을 던져 유리창 1장을 파손하는 등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정오
한자명
李正五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0 ~ 미상
본적
전라남도 해남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29년 11월 12일 전남 광주공립농업학교(光州公立農業學校) 재학 중 광주학생운동에 호응하는 만세시위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금고 4월, 집행유예 5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정우
한자명
李正雨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23 ~ 1979
본적
경상북도 영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0. 3 장야현립농업학교 재학(長野縣立農業學校在學) 중 동기생(同期生) 이태호(李泰皓)와 같이 내선일체(內鮮一体)는 불가(不可)하니 우리도 독립국가 건설(獨立國家建設)을 위(爲)하여 일본인(日本人)과 대항(對抗)하여 싸우자 결의(決議)하고, 대중(大衆)에게 조선어(朝鮮語) 교육(敎育)을 실시(實施)하고 평상시(平常時)는 조선어(朝鮮語)로 대화(對話)하는 등 민족의식 계몽(民族意識啓蒙)에 노력(努力)하다 학교(學校)에서 소행불량 학생(素行不良學生)으로 근신처분(謹愼處分)받고 귀향 후(歸鄕後) 일경(日警)에게 체포(逮捕)되어 징역 2년형(年刑)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정우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정우
한자명
李廷雨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21 ~ 미상
본적
전라남도 강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0. 8. 15 ~ 1941. 2. 20 간에 오유근(吳有根) 외 노재용(盧在容)과 수차 밀회, 조선독립실현을 위한 모의를 반복하다가 피체, 1942. 11. 21 광주(光州) 지법에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1년형을 수형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정운
한자명
李正雲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4 ~ 1960
본적
경기도 양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9. 3. 15 경기도(京畿道) 양주군(楊洲郡) 와부면(瓦阜面) 송촌리(松村里)에서 동지들과 함께 군중 100여명을 규합하여 동면(同面) 덕소리(德沼里)를 향해 시위행진을 하다가 피체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정운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정의
한자명
李正儀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51 ~ 1933
본적
경상북도 문경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0년

공적개요

1896년 제천의진(堤川義陣) 및 1905년 원용팔 의진(元容八義陣)의 전군장(前軍將)에 선임되어 활동하였으며, 1907년 경북(慶北) 문경(聞慶)에서 이강년 의진(李康秊義陣)의 좌종사(坐從事)로서 지원활동을 전개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정의
한자명
李正儀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1 ~ 1937
본적
전라북도 임실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23 전북(全北) 임실군(任實郡) 둔남면(屯南面) 오수리(獒樹里) 장날에 이기송(李起松) 이만의(李萬儀)등과 함께 800여(餘) 군중(群衆)이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주재소(駐在所)를 습격(襲擊)하는등 시위중(示威中) 피체(被逮)되어 징역1년을 받고 미결기간(未決期間)을 합산(合算)하여 1년4월여(月餘)의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정숙

한자명

李貞淑

생몰년도

1898 ~ 1941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2019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금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정순

한자명

李正淳

생몰년도

1911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옥구

자세히 보기

성명

이정순

한자명

李廷順

생몰년도

1919 ~ 1992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8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고양

자세히 보기

성명

이정순

한자명

李正淳

생몰년도

1917 ~ 1941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1993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벽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정식

한자명

李定植

생몰년도

1886 ~ 1910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8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선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정엽

한자명

李正燁

생몰년도

1888 ~ 192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9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정오

한자명

李正五

생몰년도

1910 ~ 미상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2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남도 해남

자세히 보기

성명

이정우

한자명

李正雨

생몰년도

1923 ~ 1979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일

자세히 보기

성명

이정우

한자명

李廷雨

생몰년도

1921 ~ 미상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남도 강진

자세히 보기

성명

이정운

한자명

李正雲

생몰년도

1884 ~ 196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양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정의

한자명

李正儀

생몰년도

1851 ~ 1933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문경

자세히 보기

성명

이정의

한자명

李正儀

생몰년도

1861 ~ 193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임실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