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일봉
한자명
李日奉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2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22년 3월 평북(平北) 창성(昌城)에 출동하였다가 일경(日警)에 피체(被逮)된 후 일본 순사 2명에게 부상을 입히고 도주중 1922. 3. 8 창성서(昌城署) 대길리(大吉里) 출장소(出張所)의 일경(日警)에게 피살(被殺)되어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일봉
한자명
李一峰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0 ~ 1980
본적
전라남도 완도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28. 1. 5 전남 완도군 완도면 대신리 유치원에서 이응길(李應吉), 장명재(張明在), 이정인(李正仁), 허치성(許致成) 등과 함께 김병규(金柄奎)의 지도로 대신리 신우회(新友會)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농민본위의 신사회 건설, 약자원조, 강자배척, 빈자친애(貧者親愛), 부자부인(富者否認)」등의 항일사상을 고취시키는 등 활동을 하다 피체되어 징역 1년에 3년간 집행유예를 받아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일선
한자명
李日先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1 ~ 2005
본적
전라남도 영암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32년 6월 전남 영암군 덕진면 영보정(永保亭)에서 영암농민조합 청년회원 70여 명과 함께 소작권 이전 방지를 협의한 후, 운암리(雲岩里) 일대에서 신구(新舊) 소작인의 집에 들어가 소작권 이전의 부당함을 꾸짖고 응징한 후 소작쟁의만세를 외치고 노동가를 부르며 시위행진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벌금 30원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일선
한자명
李日宣
운동계열
문화운동
생몰년도
1896 ~ 1971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4 독립신문(獨立新聞), 반도목탁(半島木鐸), 국민신보(國民新報) 등을 발간 배포한 후 상해(上海)에서 전단을 반입하고 항일활동하다 일경에 체포되어 보안법위반으로 징역 1년6월형을 언도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일순
한자명
李一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5 ~ 1954
본적
충청남도 홍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2일경(日頃) 충남(忠南) 홍성군(洪城郡) 홍성시장에서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운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일신
한자명
李一信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9 ~ 1988
본적
충청북도 충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2년

공적개요

1929. 12. 7. 서울 중동학교(中東學校)에 재학 중 광주에서 전개된 광주학생운동에 고무되어 동교(同校) 교실내에 ‘제국주의 교육 철폐’ 등의 격문(檄文)을 발견하자 교단(敎壇)에 올라가 ‘언론 집회 결사의 자유를 획득하기 위해 제국주의 교육을 배척하는 싸움에 분기(奮起)하라’는 내용의 격문을 낭독하고 광주학생운동에 호응하여 동맹 휴교(同盟休校)에 나설 것을 촉구하는 등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1년여의 옥고를 치른 끝에 징역 8월 집행유예(執行猶豫) 4년을 받았으며 1939. 2월 동경(東京) 유학생 출신의 박용칠(朴容七)과 사회주의 활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10개월의 옥고를 치르고 불기소(不起訴)되었으며 1942년 7월 서울에서 소위 행정집행령(行政執行令)으로 검속된 사실이 확인됨.

이일신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일영
한자명
李一榮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65 ~ 1925
본적
경기도 평택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4년

공적개요

1913년 2월 이래 독립의군부(獨立義軍府) 회계총감(會計總監)으로 ‘독립의군부(獨立義軍府) 정헌(正憲)’ 제정에 참여하는 한편 동지를 규합하고 자금 400원을 모집하였으며, 1919년 9~10월 서울 등지에서 조선민족대동단(朝鮮民族大同團) 단원(團圓)으로 동지를 규합하고 자금 50원을 모집한 혐의로 체포되었다가 면소(免訴)됨.

인물정보

성명
이일윤
한자명
李一允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54
본적
경상남도 창원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7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경남(慶南) 마산(馬山) 장날 군중들과 함께 만세시위운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4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일재
한자명
李日在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78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0.11.3. 만주(滿洲) 흔춘현(琿春縣)에서 국민회원(國民會員)으로 군자금(軍資金) 모집(募集)과 통신 첩보(通信諜報) 등의 활동(活動)을 하다가 일군(日軍)에게 피체(被逮)되어 흔춘현(琿春縣) 북일량구(北壹兩溝)에서 총살(銃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일현
한자명
李日鉉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2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2.6월 평북(平北) 후창군(厚昌郡)에서 독립당(獨立黨)에 가입(加入)하여 활동(活動)하다가 일경(日警)의 습격(襲擊)을 받아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일화
한자명
李壹華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8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용천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20년 음(陰) 8월 평북(平北) 용천군(龍川郡)에서 대한독립보합단(大韓獨立普合團)에 가입하여 군자금 모집 및 친일파 처단 활동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임배
한자명
李林培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4 ~ 미상
본적
함경남도 단천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7년

공적개요

1915년 함남(咸南) 단천군(端川郡)에서 비밀결사 자립단(自立團) 조직에 참여하고 부단장(副團長)으로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10월을 받음.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일봉

한자명

李日奉

생몰년도

미상 ~ 192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일봉

한자명

李一峰

생몰년도

1910 ~ 1980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완도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일선

한자명

李日先

생몰년도

1911 ~ 2005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영암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일선

한자명

李日宣

생몰년도

1896 ~ 1971

운동계열

문화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일순

한자명

李一淳

생몰년도

1885 ~ 195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홍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일신

한자명

李一信

생몰년도

1909 ~ 1988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02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충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일영

한자명

李一榮

생몰년도

1865 ~ 1925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4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평택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일윤

한자명

李一允

생몰년도

1890 ~ 195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7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창원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일재

한자명

李日在

생몰년도

1878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일현

한자명

李日鉉

생몰년도

미상 ~ 192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일화

한자명

李壹華

생몰년도

1898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5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용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임배

한자명

李林培

생몰년도

1884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7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단천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