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영삼
한자명
李永三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5 ~ 1910
본적
전라북도 기타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7년

공적개요

1909년 음력 7월 전북(全北) 김제(金堤), 전주군(全州郡) 등지에서 박찬중 의진(朴贊仲義陣)에 참여하여 짐을 운반하는 등 의병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6월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르던 중 순국(殉國)함.

인물정보

성명
이영삼
한자명
李泳三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8
본적
전라남도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08.8월 전남(全南) 보성군(寶城郡)에서 거의(擧義)한 안규홍 의진(安圭洪義陣) 선봉장(先鋒將)으로 활동(活動)하였고 의병(義兵)을 인솔(引率)하여 진산(眞山)에서 적 수비대(敵守備隊)와 격전(激戰)을 벌여 대승(大勝)을 거두었고 순천(順天) 병치(竝峙)에서 일군(日軍)과 교전(交戰) 중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영상
한자명
李永祥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1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선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23년

공적개요

1927년 6월경 중국 길림성 영고탑에서 신민부에 가입하여 하얼빈 등지에서 친일단체 공격, 군자금 모집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5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영선
한자명
李永善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8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08년 정선보(丁先甫), 김진용(金鎭鎔) 등과 의병진에 가담하여 강원(江原) 원주(原州) 등지에서 활동하던 중 체포되어 총살(銃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이영선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영선
한자명
李永善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9 ~ 1978
본적
황해도 송화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07년 의병대에 참가 1919년 송화군(松禾郡) 연방면 만세운동을 주도(主導)하고 만주로 탈출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에 입단하여 왜경(倭警) 2명 살해 1920년 의용대로서 국내에 입국 활약 1922년 대한독립단(‘광복단’(光復團)) 군영대표 군민부(軍民府)를 조직군사역임, 1927년 통의부(統義府) 각(各) 단체통합대회(團體統合大會)에 길림성대표(吉林省代表)로 참석(參席) 1931년 만주(滿洲)지방 한중항일(韓中抗日) 동맹회(同盟會)를 조직 활약 1945년 광복귀국시(光復歸國時)까지 독립운동에 상당한 공적이 있음

인물정보

성명
이영선
한자명
李永先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4 ~ 1910
본적
전라북도 순창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9년

공적개요

1908년 전북(全北) 순창군(淳昌郡) 구암면(龜岩面) 금동동(金桐洞)에서 회문산(回文山)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양윤숙 의진(楊允淑義陣)에 소속되어 일군(日軍) 토벌대(討伐隊)의 행동을 정찰해 의진(義陣)에 정보를 제공하는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영선
한자명
李英善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9 ~ 1955
본적
경기도 용인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년 신흥무관학교에서 군사교육을 받은 후 1921년 임시정부(臨時政府)로부터 자금모집 사명을 띄고 입국하여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4년형을 받어 옥고를 치루었으며 그 뒤 일경의 감시하에서 민족교육에 심혈을 기울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영섭
한자명
李永燮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0 ~ 미상
본적
황해도 수안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19년 황해(黃海) 수안군(遂安郡)에서 독립선언서를 반포하려다 일경(日警)에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영섭
한자명
李泳燮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60
본적
경상북도 영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3. 22 경북(慶北) 영일군(迎日郡) 청하면(淸河面) 덕성리(德城里)에서 독립만세 거사계획을 주동(主動)한 윤영복(尹永福) 오용우(吳用于)와 함께 덕성리(德城里) 시장 군중을 모아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주도적(主導的)으로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영성
한자명
李永成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3 ~ 1909
본적
경상북도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07년 12월 하순 경부터 경북(慶北) 경주군(慶州郡) 일대에서 군자금 등을 모집하고 1908년 1월 동도(同道) 장기군(長鬐郡)(현(現) 경북(慶北) 포항(浦項)) 읍내(邑內) 순사주재소 폭파 및 일본인순사 처단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교형(絞刑)을 받고 순국(殉國)함.

인물정보

성명
이영쇠
한자명
李永釗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1 ~ 미상
본적
경기도 수원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3일 경기도 수원군 장안면과 우정면(현 경기도 화성시)에서 2천여 명의 군중과 함께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동 면사무소와 화수리 경찰관주재소를 파괴, 일본 순사를 처단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5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영수
한자명
李英守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4 ~ 2022
본적
경상북도 고령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4년 10월 광복군(光復軍) 제3지대 입대(入隊) 1944년 12월 왜군 군속(倭軍軍屬)으로 있다 입대(入隊)한 고(故)로 왜군 내(倭軍內) 한적 병사(韓籍兵士)의 초모 공작(招募工作) 사명(使命)을 받고 임무 수행(任務遂行) 중 1945년 5월 일본(日本) 헌병(憲兵)에 피포(被捕)되어 한국내(韓國內) 압송 도중(押送途中) 구방자역(溝邦子驛)에서 탈출(脫出)에 성공(成功) 금주성(錦州省) 전장태(田莊台)에서 피신중(避身中) 8.15 해방(解放)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영삼

한자명

李永三

생몰년도

1875 ~ 1910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7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삼

한자명

李泳三

생몰년도

미상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상

한자명

李永祥

생몰년도

1901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23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선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선

한자명

李永善

생몰년도

미상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6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선

한자명

李永善

생몰년도

1889 ~ 1978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송화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선

한자명

李永先

생몰년도

1864 ~ 1910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9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순창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선

한자명

李英善

생몰년도

1889 ~ 1955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용인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섭

한자명

李永燮

생몰년도

1870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6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수안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섭

한자명

李泳燮

생몰년도

1898 ~ 196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일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성

한자명

李永成

생몰년도

1873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쇠

한자명

李永釗

생몰년도

1901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0독립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기도 수원

자세히 보기

성명

이영수

한자명

李英守

생몰년도

1924 ~ 2022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고령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