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승조
한자명
李承兆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1 ~ 1923
본적
충청남도 논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20년 재간도(在間島) 독립군 조직인 ‘광복단’(光復團)의 국내특파원 김국경(金國景)이 군자금 모집과 독립군 장병 모집을 위해 국내로 들어와 활동할 때 동단(同團)의 충남지부장(忠南支部長)인 박재옥(朴在玉)과 함께 충남(忠南) 논산군(論山郡)에서 부호(富豪)로부터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승종
한자명
李承綜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7 ~ 1969
본적
경상남도 창원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31년 12월 경부터 경남(慶南) 창원군(昌原郡) 웅동면(熊東面)에서 조맹규(曺孟奎), 조원갑(曺元甲), 백태식(白泰植) 등과 함께 공산주의의 선전을 기획하여 청년들을 모아 사상강좌(思想講座)를 열고 이듬해 4월경 웅동적색농민조합(熊東赤色農民組合)를 결성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 집행유예(執行猶豫)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승주
한자명
李承柱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2 ~ 1990
본적
평안북도 신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4. 12 한국광복군 총사령부(韓國光復軍總司令部) 경위대(警衛隊)(중경토교(重慶土橋))

이승주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승준
한자명
이승준
운동계열
미주방면
생몰년도
1882 ~ 1947
본적
미상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24년경부터 1934년까지 쿠바에서 대한인국민회 마딴사스지방회 구제원으로 활동하였고 1928년에는 한인동포의 국어교육을 지원하였으며, 1930년 광주학생운동을 원조하였고 1931년경 부터 해방 때까지 독립금 약 44원 58전을 지원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승준
한자명
李承俊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9 ~ 미상
본적
함경북도 경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6년

공적개요

1921년 12월경 러시아에서 군정서원(軍政署員)으로 김학섭(金學燮) 등의 일제 관공서 공격계획에 동참하여 무기를 운반하였고, 1923년 5월 궐석재판에서 징역 10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승준
한자명
李承駿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6 ~ 1946
본적
황해도 해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11년 소위(所謂) 105인 사건에 연루 체포된 바 있으며 1919년 연안지방 인사들과 비밀리 연락하면서 3·1 만세운동을 계획하였고 1920년 만주에 조직된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의 해주지단(海州支團)을 조직하고 구월산대(九月山隊)의 군자금 모집과 은율군수(殷栗郡守) 처단활동을 지원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았으며 1928년 강신호(姜信浩) 등과 함께 관공서 파괴와 일제 고관 암살을 목적으로 폭탄을 제조하는 등 활동하다가 일경의 추적을 받는 등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승직
한자명
李承稷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9 ~ 미상
본적
경상북도 영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6년

공적개요

1915년 음력 6월경 경성(京城)에서 이강래(李康來) 등과 ‘중국(中國) 총통(總統) 원세개(袁世凱)가 구(舊) 한국공사(韓國公使) 시절 광무황제(光武皇帝)로부터 빌린 은(銀) 26만 냥을 양도(讓渡)받아 독립운동자금으로 사용하고 원세개(袁世凱)로 하여금 만국평화회의(萬國平和會議)에서 한국독립을 제안하게 하는 한편, 중국(中國) 간도(間島)에 건북유한공사(建北有韓公司)라는 비밀단체를 설립하여 독립운동의 근거지를 건설한다’는 계획을 추진하려다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승창
한자명
李承昶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4 ~ 미상
본적
황해도 재령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2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황해도(黃海道) 봉산군(鳳山郡) 초와면(楚臥面) 은파시장(銀波市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2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승칠
한자명
李承七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50 ~ 1912
본적
충청북도 보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0년 경술국치(庚戌國恥)때 자결 순국(自決殉國)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1912년 일왕(日王) 명치(明治)의 사망(死亡)에 다른 복상강요(服喪强要)에 통분(痛憤)하여 동년(同年) 6월26일 내북면(內北面) 봉황태(鳳凰台)에서 투신 자결(投身自決)한 사실이 확인됨.

이승칠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승택
한자명
운동계열
미주방면
생몰년도
1913 ~ 미상
본적
미상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31년 쿠바에서 대한인국민회 카르데나스지방회 서기, 청년회 법무로 활동하고, 1932년 마탄사스청년회 회계원으로 활동하며 여러 차례 민족주의 관련 연설을 함. 1934년부터 1944년까지 마탄사스지방회 평의원, 총무, 서기, 집행위원장, 구제위원, 선전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1943년 재큐한족연합회 위원으로 활동함. 1935년부터 1944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인물정보

성명
이승필
한자명
李承邲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0 ~ 미상
본적
황해도 수안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황해도(黃海道) 수안군(遂安郡) 수안면(遂安面)에서 나찬홍(羅燦洪)으로부터 독립선언서를 교부받고, 독립만세시위운동을 주도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승학
한자명
李承鶴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57 ~ 1928
본적
전라남도 담양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896년 2월 전남(全南) 장성(長城)에서 기우만 의진(奇宇萬義陣)이 거의(擧義)하자 입진(入陣)하여 격문(檄文) 작성(作成) 등의 의병활동(義兵活動)을 전개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승조

한자명

李承兆

생몰년도

1891 ~ 1923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논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종

한자명

李承綜

생몰년도

1907 ~ 1969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6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창원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주

한자명

李承柱

생몰년도

1922 ~ 1990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신의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준

한자명

이승준

생몰년도

1882 ~ 1947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훈격

201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준

한자명

李承俊

생몰년도

1889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6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북도 경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준

한자명

李承駿

생몰년도

1886 ~ 1946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06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해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직

한자명

李承稷

생몰년도

1889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북도 영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창

한자명

李承昶

생몰년도

1884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2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재령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칠

한자명

李承七

생몰년도

1850 ~ 1912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보은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택

한자명

생몰년도

1913 ~ 미상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훈격

2015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필

한자명

李承邲

생몰년도

1870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수안

자세히 보기

성명

이승학

한자명

李承鶴

생몰년도

1857 ~ 192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5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담양

자세히 보기